•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alaman 81-112)

3.1. 산업연관분석 방법론

□ 산업연관분석의 개요

o

본 절의 목적은 동해 가스전 활용 사업의 국민경제적 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적용하는 연구방법론인 산업연관분석에 대해 설명하면서 각종 파급 효과를 구하여 계량적인 수치로 도출하는 것이며

,

특히 경제적 파급효과 로서 생산유발효과

,

부가가치 유발효과

,

취업유발효과 등에 초점을 맞춤

o

이를 위해서는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경제부문

을 미시적으로 파악하면서도 거시적인 상호관계도 관찰하여야 하는데

,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

(inter-industry analysis)

을 적용함

o

산업연관분석 또는 투입산출분석

(input-output analysis)

이란 생산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산업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수량적으로 파악하는 분석 방법으로 국민경제 전체를 포괄하면서 전체와 부분을 유기적으로 결합함

o

따라서 산업연관분석은 거시적 분석이 미치지 못하는 산업과 산업 간

의 연관관계까지도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경제구조를 분석 하는 데 유리함

o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타 부문과의 비교를 시도 할 뿐만 아니라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총산출 변동에 초점을 맞추어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을 외생화

(exogenous specification)

한 분석도 수행함

o

산업연관분석에서는 내생변수와 외생변수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

,

외생 적인 힘이 될 변수를 밖으로 내어주어 그 변수가 내생적인 경제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수 가 있는데 이를 외생화라고 하며

,

외생화 기 법을 적용하면 총수요가 아닌 특정부문의 산출물이 미치는 영향과 그 산출물이 타 산업에 유발하는 효과를 보다 명확히 알 수 있음

o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원활한 생산활동을 위해서는 여러 부문의 산출

활동

,

즉 다른 부문의 산출물을 중간재로 수요하므로

,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생산활동은 타 산업의 생산활동에 직

·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

o

특히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부문은 투자가 타 부문에 미치는 파급효과

가 클 수 있는데

,

이 파급효과는 생산유발의 관점

,

부가가치 유발의 관 점

,

취업유발의 관점이라는

3

개 관점에서 살펴 볼 수 있음

3.2.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분석절차

o

분석의 내용은 크게 수요유도형 모형의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 유발 효과

,

취업유발효과

3

가지를 다룸

o

아울러 수요유도형 모형의 운용결과를 활용하여 영향력계수와 감응도 계수를 계산함으로써 다른 산업과 비교한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경 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봄

o

본 연구가 가지는 중요한 특징은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을 외생화한 분 석

,

즉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을 중심에 놓고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 을 배제함으로써 타 부문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보다 정확히 관찰

o

본 연구는 한국은행 기본부문 산업연관표에서 출발하여 동해가스전 활

용 사업 부문을 별도의 부문으로 외생화 한 후

, 31

부문 산업연관표를 만들어 이에 근거하여 분석

o

한편 본 연구에서는

2016

년에 발표된

2014

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동해가스전활용 사업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인 생산유발효과

,

부가가치유발효과

,

취업유발효과를 분석

□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정의

o

한국은행

(2016)

에서 발표한

2014

년 산업연관표에는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부문이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산업연관표에 포함되어

있는 산업들을 재분류하여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부문의 범위를 정의

o

본 연구에서는

403

기본부문 산업연관표 상에서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과 직

·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부문을 추출하여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부문을 구성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코드 산업명 코드 산업명 코드 산업명

14

운송장비

43

선박

95

선박

44

기타 운송장비

97

항공기

20

운송서비스

55

수상운송서비스

119

수상운송서비스

56

항공운송서비스

19

항공운송서비스

22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

95

통신서비스

128

유 무선 통신서비스

129

기타 전기통신서비스

61

정보서비스

131

정보서비스

62

소프트웨어개발 및 컴퓨터 관리

서비스

132

소프트웨어개발공급

133

컴퓨터관리서비스 표

6.11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부문의 분류

o 384

기본부문에서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부문을 별도로 분리해내고

,

과적인 분석을 위해 한국은행

30

부문 대분류 방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산업연관표를 재구성

부문

코드 산업명 부문

코드 산업명 부문

코드 산업명

01

농림수산품

12

전기 및 전자기기

23

금융 및 보험서비스

02

광산품

13

정밀기기

24

부동산 및 임대

03

음식료품

14

운송장비

25

전문

,

과학 및

기술서비스

04

섬유 및 가죽제품

15

기타 제조업 제품 및

임가공

26

사업지원서비스

05

목재 및 종이

,

인쇄

16

전력

,

가스 및 증기

27

공공행정 및 국방

06

석탄 및 석유제품

17

수도

,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

28

교육서비스

07

화학제품

18

건설

29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08

비금속광물제품

19

도소매서비스

30

문화 및 기타서비스

09 1

차 금속제품

20

운송서비스

31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10

금속제품

21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11

기계 및 장비

22

정보통신 및

방송서비스 표

6.12

재분류된

31

부문 산업연관표

□ 산업간 연쇄효과 분석결과

o

모든 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발생할 때

,

중간재로 사 용되는 동해 가스전 활용 사업의 산출물 공급도 증가해야 하며

,

이때 중간 재 산업으로서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이 받는 영향의 정도가 감응도 계수임

-

감응도 계수로 파악할 수 있는 전방연쇄효과는 동해가스전 활용 사 업의 산출물을 다른 산업생산의 원료로 파악하는 것인데

,

일반적으 로 한 산업의 제품이 각 산업부문에 중간재로 널리 사용되는 산업일 수록 감응도 계수는 커짐

o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영향력 계수는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최종

수요가 한 단위 발생할 때 중간재로 사용되는 타 산업부문에 미치는

영향력을 의미

-

영향력 계수로 파악할 수 있는 후방연쇄효과는 동해가스전 활용 사 업의 산출물을 최종재로 보고 다른 산업의 산출물을 동해가스전 활 용 사업에서의 생산을 위한 원료로 파악

-

일반적으로 생산과정에서 여러 산업으로부터 중간재를 필요로 하는 산업일수록 영향력 계수는 커짐

o

감응도 계수의 평균과 영향력 계수의 평균은 정확하게

1

이므로

1

보다 낮으면 평균보다 낮으며

, 1

보다 크면 평균보다 크다고 볼 수 있음

o 31

개 부문에 대해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 계수를 계산한 결과는

58

페이 지 표에 제시되어 있음

o

각 산업별 감응도 계수는 화학제품 부문이

2.0587

로 가장 크며

, 1

차 금속 제품과 도소매서비스 부문이 각각

1.9658

1.8177

로 각각

2

위 및

3

위를 차지하고

,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감응도 계수는

1.1532

11

위를 차지함

o

감응도 계수가

1

보다 크다는 것은 일반적인 경기가 활황일 때 동해가스

전 활용 사업이 전반적으로 산업성장에 자극받는 정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

즉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은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는 산업 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

최종수요적 성격보다는 중간수요적 성격을 가짐

o

각 산업별 영향력 계수는 운송장비 부문이

1.1760

으로 가장 높게 나타

났으며

, 1

차 금속제품 및 금속제품 부문이 각각

1.1409

1.1203

으로

2

위 및

3

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영향력 계수는

1.0706

으로

7

위를 차지하고 있어 비교적 큼을 알 수 있음

-

영향력 계수가 크다는 것은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의 투자지출에 따 른 경제적 파급효과

,

즉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정도가 다른 부문보다 상대적으로 큼을 의미하며

,

원시산업적

(primary production)

성격보 다는 제조업적 성격을 가짐

o

따라서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은 전방연쇄효과과 후방연쇄효과가 모두 크기에 중간 수요적 제조업형이라 할 수 있음

7)

7) 전후방연쇄효과의 크기에 따라 산업을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전후방연쇄효과가 모두 높은 산업은

산업

번호 부문명

감응도 계수

(

전방연쇄효과

) 

영향력 계수

(

후방연쇄효과

) 

값 순위 값 순위

1

농림수산품

1.3367 4 0.8862 20

2

광산품

0.5413 30 1.1072 5

3

음식료품

1.2777 7 0.9770 14

4

섬유 및 가죽제품

0.8273 20 0.9021 18 5

목재 및 종이

,

인쇄

0.9453 14 1.0214 10 6

석탄 및 석유제품

1.2797 6 0.6409 31

7

화학제품

2.0587 1 1.0243 9

8

비금속광물제품

0.7127 22 1.0387 8 9 1

차 금속제품

1.9658 2 1.1409 2

10

금속제품

1.1079 12 1.1368 3

11

기계 및 장비

0.9273 15 1.1203 4 12

전기 및 전자기기

1.2190 8 0.9221 16

13

정밀기기

0.6070 26 1.0068 12

14

운송장비

0.8291 19 1.1760 1

15

기타 제조업 제품 및 임가공

1.0337 13 0.9886 13 16

전력

,

가스 및 증기

1.3233 5 0.7075 27 17

수도

,

폐기물 및 재활용서비스

0.6931 23 0.9296 15

18

건설

0.5627 27 1.0825 6

19

도소매서비스

1.8177 3 0.8798 21 20

운송서비스

1.2153 9 0.8091 24 21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

0.8455 18 1.0076 11 22

정보통신 및 방송 서비스

0.6183 25 0.8998 19 23

금융 및 보험 서비스

1.2016 10 0.8238 23 24

부동산 및 임대

0.8964 16 0.6904 29 25

전문

,

과학 및 기술 서비스

0.8944 17 0.8088 25 26

사업지원서비스

0.8266 21 0.7493 26 27

공공행정 및 국방

0.5627 28 0.6909 28 28

교육서비스

0.4970 31 0.6869 30 29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0.5502 29 0.8682 22 30

문화 및 기타 서비스

0.6729 24 0.9202 17 31

동해가스전 활용 사업

1.1532 11 1.0706 7

6.13

한국은행 대분류 기준

31

개 산업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 계수

중간수요적 제조업형, 둘째, 전방연쇄효과가 높고 후방연쇄효과가 낮은 산업은 중간수요적 원시 산업형, 셋째, 후방연쇄효과 가 높고 전방연쇄효과가 낮은 산업은 최종수요적 제조업형, 마지막으로 전후방연쇄효과가 모두 낮은 산업은 최종수요적 원 시산업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한국은행, 1987).

Dalam dokumen 한국해양과학기술원 (Halaman 81-112)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