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경제협력

Dalam dokumen 중국의 주변외교 전략과 (Halaman 36-49)

가. 중국의 주변국 경제전략

(1) 중국 경제발전 전략의 변화

중국은 시간과 환경에 따라 자국의 경제전략을 달리해왔다. 냉 전 시기 중국은 주로 사회주의 진영의 일원으로 소련의 경제전략

26_軍事科學院軍事戰略硏究部 編著, 󰡔戰略學󰡕, pp. 176~177.

을 모방해왔으나, 1960년대 중반 이후 중소관계 악화에 따라 외부 의 도움 없이 오지 군수산업을 중심으로 한 소위 삼선(三線) 건설 노선을 선택하였다. 중국의 폐쇄적이고 자립자족형 경제전략은 덩 샤오핑(鄧小平)의 개혁개방 선언을 통해 폐기되었고, 이후 선부론 에 입각하여 연해지역 주요 항구도시를 중심으로 점진적 개방과 경제특구 건설을 경제전략으로 활용하였다. 1980년대까지 중국은 경제제도 개선에 몰입하면서 부분적으로 서방 선진국들의 자본 투 자에 주로 관심을 기울였다.

그러나 경제개혁에 대한 보수파들의 반발과 1989년 천안문 사태 를 겪으면서, 서방 선진국과의 협력을 주로 하는 경제전략이 공산 당 지배체제에 위협이 된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중국은 외교 의 다원화를 시도하였고, 이 과정에서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한국 등 주변국 등과 관계정상화를 도모하였다.27 국내적으로는 주변국 들과의 경제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변경지역 도시들에 개방정책이 촉진되었다.28 특히 경제 자원의 확보 차원에서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였다. 이러한 관심은 장쩌민(江澤民)집권기인

1999년 서부대개발 전략으로 발현되었다. 서부대개발 전략이 시작

된 주요 원인은 연해지역 우선 발전에 따른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 기 위한 지역 균형 발전 때문이기도 했지만, 지역경제전략 차원에 서 인접한 천연자원의 보고인 중앙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관련 산업

27_주재우, “다자간협력체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정책변화: 상해협력기구와 ‘10+1’

의 구상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제4권 2호 (2002), pp. 197~198.

28_연해지역 외에 러시아와의 변경지역인 헤이허, 만저우리 등, 몽골과의 변경지역 인 얼롄하오터, 카자흐스탄과 접경지역인 이닝, 미얀마, 베트남와 접경지역인 루 이리, 동싱 등 13개 지역을 개방하였다. 이러한 개방정책은 파키스탄, 인도네시 아, 인도 접경지역 도시들까지 확대되었다. 毛漢英, “中國周邊地緣政治與地緣經 濟格局和對策,” 󰡔地理科學進展󰡕, 2014.3., p. 293.

육성 및 장기적 에너지 네트워크 구축이 중요하였기 때문이다.

후진타오(胡錦濤) 정부는 장쩌민(江澤民) 정부의 서부대개발 전 략을 계승하는 동시에, 지역균형 발전전략을 더욱 확대 구성하였 다. 하나는 동북3성지역의 경제재건 및 러시아, 동북아지역과의 연 대를 위한 동북진흥 전략이고, 다른 하나는 남부지역 개발 및 동남 아시아 즉, 아세안지역과의 협력을 위한 일축양익(一軸兩翼) 전략 이었다.29 중국의 동북지역은 개혁개방 이전 시기 중화학 공업을 선도했다는 점에서 산업인프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상당한 교역이 진행 중인 한국, 일본 등의 우수한 협력 파트너가 존재하였다. 반면 중국 남부지역인 윈난, 광시지역은 소수민족 거 주 지역으로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낙후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아 세안 국가들과 인접해 있다는 지리적 잠재성이 있었다.30

특히 이 시기는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

WTO) 가입 등 국제경제질서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자국기업의

해외진출 소위 저우추취(走出去) 전략을 강조하기 시작하던 때였다.

중국이 저우추취 전략을 강조한 이유는 1990년대 중반이후 8% 이상 의 고도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 해외 에너지, 자원, 첨단기술 확보가 중요했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은 지속적으로 흑자 경제를 유지하고, 외환보유고까지 증대되어 해외진출에 대한 자신감이 있었다.31

29_일축인 경제회랑은 주로 육상을 통한 경제협력을 의미하고, 한쪽 날개인 남부 환북부만 협력은 해상을 통한 아세안국가들과의 협력을, 다른 쪽 날개는 메콩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지역협력을 의미한다. “一軸兩翼,構建中國-東盟區域經濟 合作新格局,” 󰡔廣西日報󰡕, 2006.11.21.

30_陳長爲, “新形勢下中國西南與東盟區域經濟合作戰略,” 󰡔廣西社會主義學院學報󰡕,

第17期, 3 (2006), p. 41.

31_김익수, “중국 기업의 국제화 전략: 추진배경, 기대효과 및 한계,” 󰡔현대중국연구󰡕, 제7권 2호 (2006), p. 8.

면, 중국 산업 기술구조의 변화 및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국유기업 의 구조조정에 따른 내수부진, 노동인건비 상승 등 국내시장의 한 계에 따른 해외시장의 필요성이 제고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 러한 전략은 당시 10차 5개년 규획(2001~2005년)에서 대외경제협 력의 주요 방법론으로 설정되었고, 현재까지 중국의 일관된 대외 경제전략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주변국에 대한 경제투자를 견인하 고 있다.32

이어 시진핑 정부는 일대일로 구상을 제기하였다. 일대일로 구상 의 핵심은 중국의 서쪽인 중앙아시아, 서아시아를 거쳐 유럽까지 물류 통로를 연결, 경제 벨트를 형성하고, 동시에 남중국해를 중심 으로 서쪽으로는 인도양과 지중해로, 동쪽으로 태평양으로 해상 물 류 루트를 활성화시키겠다는 것이다.33 일대일로 구상은 일종의 시 대별로 제기된 중국 경제발전 전략의 종합판이라고 할 수 있다. 특 히 연해지역 우선 성장 모형의 한계로 인해 낙후지역을 실질적으로 성장시키지 않으면 지속적인 경제성장 동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위 기가 그 주요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다. 더구나 중국의 낙후지역 특 히, 서남부지역은 인구와 자체 성장동력이 적기 때문에 무엇보다 주변국과의 연계를 통한 발전이 중요한 상황이다. 물론 중국의 지 속적 성장을 담보하기 위한 안정적 에너지 공급 루트 확보와 새로 운 시장 개척이라는 에너지, 시장안보 차원의 이유도 무시할 수 없다.

32_최필수 외, 󰡔중국의 신흥시장 진출과 한국의 대응방안: 동남아, 중남미, 아프리카 를 중심으로󰡕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3), p. 40.

33_國家發展改革‧外交部‧商務部, 󰡔推動共建絲綢之路經濟帶和21世紀海上絲綢之路

的願景與行動󰡕, 2015.3.28; 2013년 9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카자흐스탄 방문 기간에 실크로드 경제벨트 건설(一帶)을 제안하였고, 10월 인도네시아 방문 시

21세기 해상 실크로드(一路) 건설을 제안하였으며, 2015년 보아오 포럼을 계기

로 액션플랜까지 천명하였다.

중요한 점은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이 주변국과의 경제협력을 핵 심내용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대일로 구상이 자국의 지속적 경제발전이라는 필요에 의해 제시되었지만 중국의 힘만으로 실현 되기는 근본적으로 힘들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일대일로의 실 현을 위해서는 주변국들과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으며 실 크로드 기금,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등에 대한 다수 국가들의 참여, 그리고 무엇보다 시장 주도, 정부 지원의 원칙에 입각하여 주변국 정부 및 민간(기업)과의 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34

(2) 중국의 주변국 경제협력 현황

중국은 주변국과 정치안보적으로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지 만, 경제적으로는 상호의존 관계를 심화시켜왔다. 2014년 중국과 주 변 20개국의 상호무역 총액은 1조 4,061억 달러로 중국의 당해 연도 무역총액의 32.65%를 차지하였다. 이 중 태국‧싱가포르‧라오스‧대 만‧한국은 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이며, 말레이시아‧러시아‧일본 은 중국이 두 번째 무역국이며, 필리핀은 중국이 세 번째 무역국이 될 정도로 중국은 주변국과의 경제협력을 확대시켜왔다.35 중국의 주변국 경제협력은 지역별로 다음과 같은 분류가 가능하다.

첫째, 북부지역이다. 중국의 북쪽 접경국인 러시아, 몽골과는 정 치적으로 안정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국가와는 우선적으

34_장윈링, “일대일로와 한중관계,” 󰡔일대일로와 한중관계(一帶一路與韓中關系)󰡕

(성균중국연구소 세미나, 2015.5.19.).

35_KITA의 해외통계(중국 및 주변국)의 2014년 무역통계를 참조하여 재구성하였다.

참고로, 중국의 주변 20개국은 한국‧러시아‧북한‧일본미얀마‧라오스‧인도‧베트 남‧네팔‧부탄‧태국‧말레이시아‧싱가포르‧필리핀‧몽골‧대만‧키르기스스탄‧아 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우즈베키스탄이다.

로 1990년대 후반까지 복잡한 국경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국경 문제 해결을 바탕으로 우호관계가 급진전했으며, 경제‧과학기술‧

사회문화 등 다양한 방면에 교류가 확대되고 있는 중이다. 특히 러 시아와의 경제협력 성과는 눈부시다. 물론 중국의 급성장에 대한 전통적인 러시아의 경계심이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미국의 본격 적인 아시아 회귀 이후 양국관계가 과거 동맹으로 회귀되어야 한 다는 논의가 진행될 정도로 상호협력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특히 러시아의 에너지 자원 수출 및 러시아 극동지방에 대한 중국의 투 자가 활발한 상황이다.36

둘째, 서부지역이다. 중국의 서부지역인 중앙아시아는 서부 대개발 전략의 주요 연계 대상이다. 중국은 1990년대 후반 구소련 에서 독립한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국경 문제를 협의하면서 영토 안전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후 2001년 상하이협력기구(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SCO)를 주도적으로 출범시키면서 최 근에는 이 국가들과 전면적 전략협력동반자관계까지 외교적 관계 를 승격시켰다. 이러한 우호적 정치관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경제 협력의 성과도 급성장하였다. 중앙아시아의 천연가스관이 중국 서 부에 안정적으로 공급되기 시작하였고, 중국 역시 중앙아시아 지 역에 기술 이전 확대 및 기초 인프라 부문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이 지역을 방문했을 당 시, 신실크로드 경제지역 구상을 천명하면서, 향후 중국과 중앙아 시아의 경제협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36_이에 대해서는 閻學通, “俄羅斯可靠嗎,” 󰡔國際經濟評論󰡕, 第3期 (2012), pp. 21~25;

俞正樑, “關於中國大戰略的思考,” 󰡔毛澤東鄧小平理論研究󰡕, 第5期 (2012), pp.

95~101; “中俄應構建歐亞大聯盟,” 󰡔環球時報󰡕, 2012.1.30.

Dalam dokumen 중국의 주변외교 전략과 (Halaman 3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