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 경제 환경 변화

○ 1990년 까지 몽골은 60년간 계획경제하에 대규모 정부 독점의 생산

및 분배 체제를 유지하여 공산권경제상호원조협의회(COMECON:

Council for Mutual Economic Assistance)의 회원국으로서 경제활동 에 있어 러시아 의존도가 높은 국가였음.

○ 1990년 소련 연방체제의 붕괴와 더불어 몽골은 평화적인 개혁에 의해

공산주의 체제를 무너트리고, 시장-지향적 경제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야심찬 개혁프로그램을 시작함.

- 법․제도의 재정비를 통하여 정부의 역할을 축소시키고, 민간 부문 의 역할을 확대함.

- 국제 금융기관을 포함하여, 국제 관계를 다변화하고 강화함.

- 가축의 민간 소유에 대한 규제를 철폐하고, 관세 및 소득세 개혁을 단행했으며, 중앙은행제도(central banking system, two-tier banking) 를 택했으며, 환율평가절하를 단행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실시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의 재정원조 중단, 동 및 캐시미어 수출가격 하락, COMECON 회원국들의 무역 및 결제수단으로 교환성통화 (convertible currencies) 채택 등의 요인으로 인해 몽골 경제는 1991 년에 극심한 어려움에 처함.

- 낮은 일인당 국민 소득, 63세의 짧은 평균수명, 그리고 만연하는 사

회적 배제(social exclusion), 실업률 증가, 재정수입 감소 및 지출 증 가, 신용과 통화량 증가에 의한 인플레이션 등 경제․사회적 문제에 봉착함.

- 이로 인해 1990년에서 1993년 사이 산업 생산이 22% 감소했으며, 소 득은 1989년보다 10% 낮은 수준을 유지함.

○ 하지만, 1993년부터 1996년까지는 서비스, 가축 그리고 광업 분야의 성장에 의해 다소의 경제회복을 경험함.

○ 1996년에서 1997년 사이에는 공공부문의 개혁 및 민영화 프로그램과

더불어 국제 구리가격의 상승, 국제유가의 하락에 힘입어 경제성장에 개선이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 각각 2.4%와 3.3%의 경제성장률을 기 록함.

- 이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도 45%에서 20%로 감소했으며, 환율도 안 정화되고, 경상수지(current account)도 다소나마 흑자를 기록함. - 수입관세 대부분을 철폐하고, 기업 및 개인 소득세의 간소화 및 인

하, 판매세 기반 강화 및 소비세 합리화 등의 세제개혁도 단행함.

○ 1998년에서 1999년 사이에 국제 시장의 캐시미어, 금, 동 등의 물가하 락에 의해 몽골의 교역 조건이 악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몽골 정부의 재정 수입의 감소를 초래함.

- 은행의 여신 포트폴리오가 악화되어 주요 은행들의 지불능력이 악화 되었고, 실질이자율이 40%로 증가하였으며, 부실대출율도 41%에 달 하게 됨.

- 5% 수입관세의 부활과 몽골화폐 환율의 평가절하에 힘입어, 몽골의

인플레이션은 9.5%로 감소하였으며, 미국으로의 수출이 1999년에 57.5% 증가하여 미화 4,630만 불에 이름.

○ 우호적인 기후 조건, 가축류 증대(2004년 대비 8.8% 상승), 금과 동의

국제 가격 상승, 수송 및 전자통신 확장 그리고 지대한 자본 유입으 로 인해 몽골의 경제는 2003년 5.6%에서 2004년 10.6%, 그리고 2005 년 6.2%로 비약적인 성장을 함.

- 금융 부문, 광업 그리고 섬유 부문에 FDI 꾸준히 증가하여, 2004년 에는 미화 93백만 불, 그리고 2005년에 110백만 불 유입된 것으로 추정됨.

. 주요 경제 변수 동향

○ 몽골의 명목 GDP는 2006년 3조1,724억 투그릭이었으며, 2000년 불변 가격 대비 실질 GDP는 1조4,590억 투그릭이었음.

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실질GDP (10억 MNT)

IFS1 1,019 1,030 1,071 1,130 1,251 1,329 -

MSY2 - - 1,071 1,135 1,257 1,346 1,459

명목GDP (백만 MNT)

IFS 1,112 1,243 1,329 1,549 1,977 2,316 -

MSY - - 1,241 1,480 1,946 2,524 3,172

GDP 성장률 IFS - 1.05 4.00 5.57 10.72 6.24 -

MSY - - - 5.96 10.77 7.11 8.39

1인당 GDP (1,000MNT)

IFS 445 493 521 600 757 874 -

MSY - - 501 591 768 985 1,223

1인당 GDP (USD)

IFS 413 449 470 524 639 725 -

MSY - - 451 515 648 817 1,036

환율(연평균) IFS 1,077 1,098 1,110 1,147 1,185 1,205 -

MSY - - 1,110 1,147 1,185 1,205 1,180

인구(백만명) IFS 2.5 2.52 2.55 2.58 2.61 2.65 - 자료 출처: 1. IMF,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2. Mongolian Statiatical Yearbook 2006 * 2006년 자료는 Mongolian Statistical Yearbook 2006 자료를 활용했으며, IMF 자료와

차이를 보임.

<표 2-3> 몽골의 GDP 및 GDP 성장률 변화 추이 (2000년 불변가격)

-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愷廒 MNT

0 2 4 6 8 10

% 12 GDP

GDP 昷沫幦

[그림 2-2] 몽골의 GDP 및 GDP 성장률 변화 추이 (2000년 불변가격)

자료 출처: IMF의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 GDP 증가율은 2000년 1.06%로 다소 낮았으나, 최근 2004년에는 10.72%, 그리고, 2005년에는 6.24%로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음.

Mongolian Statistical Yearbook 2006 자료에 의하면 몽골의 2006년 1인당 명목 GDP는 122.3만 투그릭이고, 이를 2006년 평균 환율인 1,179.6 투그릭을 이용하여 달러로 환산하면 미화 1,036달러임.4)

○ 몽골의 총 산업 생산은 2005년에 8,643억 투그릭이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4.2%가 감소한 수치임.

- 이중 광업 및 채석 부문이 4,924억 투그릭으로 전체 산업생산의 57%

를 차지하고, 제조업과 전력/열/물 부문이 각각 2,535억 투그릭과 1,184억 투그릭으로 29%와 14%를 차지함.

4) IMF의 IFS(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자료에서 명목 GDP와 실질 GDP, 그리고 GDP 디플 레이터 간 명목GDP/GDP 디플레이터 = 실질 GDP의 항등관계가 성립하지 않아 자료의 오류가 있음. 몽골의 국가 통계인 Mongolian Statistical Yearbook 2006의 명목 GDP와 IFS의 명목 GDP 도 많은 차이를 보여, 어느 것이 정확한 자료인지 검증이 필요함. 결과적으로 자료의 신뢰도가 낮음.

연도 2002 2003 2004 2005

산업 생산 770.5 814.1 902.1 864.3

광업/채석 341.4 335.2 447 492.4

제조업 321.5 370.3 341.6 253.5

전력/열/물 107.5 108.6 113.5 118.4

자료 출처: Mongolian Statistical Yearbook 2005

<표 2-4> 몽골의 산업 생산 구조

(단위: 2000년 10억 투그릭)

○ 2004년에 국제 유가상승, 석유수출국의 세율 증가 등의 요인 때문에

11%에 달했던 인플레이션은 2005년 전반기의 통화긴축정책덕분에

9.5%로 감소함. 통화량 증가율은 2004년 20.3% 및 2005년 31.4%였음.

여신 금리는 낮아지는 추세이지만 2005년 기준 28.3%로 아직 높은 상황임.

52,7 325,5

183

66,3 53,1

44,6 20,5

6 10 8,1 8 1,6 4,7 11 9,5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1991 1992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Year Rate %

[그림 2-3] 몽골의 인플레이션 변화 추이

자료 출처: 몽골 국가 보고서

○ 국가 예산 면에서, 몽골 정부는 지속가능한 거시경제 성장을 위해 건 전한 금융구조와 예산 확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예산 적자 를 줄이고, 정부 부채 수준을 낮추는데 주력을 한다고 천명함.

- 정부의 재정 적자가 2002년에 6%였으나 2004년에 1.4%로 줄었고, 급기야 2005년에는 3.7%의 흑자로 돌아선 것으로 추정됨. 이는 동 및 금의 국제가격 상승에 의한 정부 수입의 급증과 재정 지출의 개선에 기인함. 정부 재정경영정보시스템(GFMIS: Government Financi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역시 재정규율(fiscal discipline)과 타이트한 예산 통제에 기여했음. 총 정부 수입은 2005년 기준 GDP 의 36.7%였으며, 지출은 2004년 41.7%에서 2005년에 33%로 감소함.

○ 몽골은 2000년 수출 5억3,576만 불과 수입 6억7,590만 불을 기록하여 1억4,014만 불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2002년까지 적자가 증가 한 이래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2005년에는 적자액이 9,500만 불로 상당히 감소함.

○ 몽골 중앙은행의 할인율은 4.4%이며, 시중은행의 예금 이자는 13%이 고, 대출 이자는 23.56%임.

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무역수지(백만 USD) -140.14 -169.96 -228.9 -185.15 -151.5 -95 무역수지(GDP 대비 %) -14.81 -16.72 -20.48 -14.53 -9.4 -5.05

수출 535.76 523.17 523.9 615.87 869.7 1,064.9

수출 증가율(%) 17.93 -2.35 0.14 17.55 41.21 21.16

수입 675.9 693.13 752.8 801.02 1021.2 1,184.3

수입 증가율(%) 19.14 2.55 8.61 6.41 27.49 12.49 자료 출처: Guide to Investment and Trade-Mongolia

<표 2-5> 몽골의 무역 수지 변화 추이

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은행 할인율 8.65 8.6 9.9 11.5 15.75 4.4 수신 이자율 16.8 14.3 13.22 14 14.15 13 여신 이자율 32.75 30.24 28.38 26.31 25.38 23.56 자료 출처: IMF, IFS

<표 2-6> 몽골 금융기관의 이자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