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은행 할인율 8.65 8.6 9.9 11.5 15.75 4.4 수신 이자율 16.8 14.3 13.22 14 14.15 13 여신 이자율 32.75 30.24 28.38 26.31 25.38 23.56 자료 출처: IMF, IFS
<표 2-6> 몽골 금융기관의 이자율
○ 정책적 관점에서 볼 때,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민간 부문의 참여 (PSP: Private sector participation)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장려하고, 에너 지 기업들을 상업화하고, 점진적으로 민영화하는 것임.
○ 2002년에 몽골 의회는 “몽골통합전력시스템(MIPS: Mongolia Integrated Power System)"을 채택하여, 이 프로그램을 통해 몽골 국민의 에너지 접근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하고, 운영 경비를 절감하며, 지역 발전을 위한 사회-경제적 여건을 조성하고,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을 보장하 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MIPS의 궁극적 목적은 몽골의 중앙에너지시 스템을 서부 및 동부에너지시스템과 연계하여 통합전력계통망을 구 축하는 것임.
○ 또한, 몽골 정부는 2002년에 “몽골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부문 개발전
략계획(2002-2010)”을 승인하였으며, 이는 국제사회와 자선단체들이
천명하고 있는 “빈곤퇴출형 성장(PRGF: the Poverty Reduction Growth Facility)” 프로그램의 목표를 반영하는 것임. 이 전략의 주요 목표는 비용효율적인 빈곤층에 에너지접근성을 제고하는데 있음.
나. 에너지 수급 현황
○ 1990년에 몽골의 총 1차 에너지공급은 347만 TOE이었으나, 구 소련 체제가 붕괴된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1995년에 258만 TOE이었고, 점 진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에는 286만 TOE로 상승하였지만 아직 1990 년 당시의 1차 에너지공급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 2005년 한국의 총 1차 에너지공급 2억2860만 TOE와 비교하면 몽골 은 한국에 비해 약 1.3%에 그치는 수치임.
1990 1995 2000 2005
총 1차 에너지 공급 (천 TOE) 3473.3 2588.4 2631.4 2856.7
에너지 수입의존도 (%) 25.2 17.5 18.8 19.5 자료 출처: 몽골 국가보고서
<표 2-7> 몽골의 에너지 공급 추이
○ <표 2-8>에서 보듯이 1990년 에너지 수요는 307만 TOE이었으나, 1995년에는 188만 TOE로 급격히 감소하여 연평균 증가율이 -4.76%였 으며, 2000년까지 188만 TOE로 감소하였으나, 2005년에는 217만 TOE 로 증가하여, 2000년부터 2005년 사이 연평균 증가율이 2.58%였음.
년도 연평균증가율(%)
1990 1995 2000 2005 90 - 00 00 - 05 GDP (1995 1조 투그릭) 0.64 0.55 0.63 0.83 -0.04 5.47 에너지수요 (백만 TOE) 3.07 2.07 1.88 2.17 -4.76 2.85
1인당 에너지수요 (TOE) 1.42 0.92 0.78 0.85 -5.81 1.57
에너지/GDP (TOE/1조tug) 4.83 3.76 2.98 2.63 -4.72 -2.48 자료 출처: 몽골 국가보고서
<표 2-8> 주요 경제지표 및 에너지 지표
1990 1995 2000 2005
석유 871 (28.4) 467 (22.6) 480 (25.4) 644 ( 29.7) 석탄 907 (29.6) 480 (23.2) 297 (15.8) 275 (12.7) 수력 0 (0) 0 (0) 0 (0) 0 (0) 기타 1,290 (42) 1,119 (54.1) 1,109 (58.8) 1,250 (57.7) 총 에너지 수요 3,067 2,066 1,885 2,168 자료 출처: 몽골 국가보고서
()는 총 에너지 공급에서 차지하는 비중
<표 2-9> 최종 에너지 소비 추이
단위: 천 TOE
○ 몽골의 1차 에너지 수요의 구성을 살펴보면, 2005년 기준 석유
29.7%, 석탄 12.7%, 수력은 0,5) 그리고 기타가 57.7%의 비율을 차지
5) 몽골은 Kharkhorin, Chigjiin, Bogdiin, Mankhan Guulin, Munkh, 그리고 Khairkhan 등 7개 지역 에 소수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총 설비능력이 3,508kW밖에 되지 않음.
함. 기타에는 몽골 시골 지역의 가장 보편적인 에너지원인 동물의 배 설물과 풍력 등이 포함됨.
○ <표 2-10>에는 몽골 원별 에너지 공급이 정리되어 있음. 2005년 몽골 의 총 에너지 공급은 2,856.7천 TOE였으며, 석유는 4,673.2천 배럴을 공급했고, 유연탄과 갈탄이 각각 356.6천 톤, 4,955천 톤이었음. 수력
은 1990년과 2000년 사이에 주로 증가하였으며, 연평균 증가율이
14.38%임. 2000년과 2005년 사이에는 석유와 유연탄이 에너지 공급의 증가를 주도하여, 그 증가율이 각각 5.8%와 5.98%였음.
1990 1995 2000 2005 연평균증가율(%) 90-00 00-05 총 에너지 공급(1,000TOE) 3,473.3 2,588.4 2,631.4 2,856.7 -2.7 1.7
석유 (1,000 배럴) 6,370.8 3,463.2 3,518 4,673.2 -5.8 5.8
유연탄 (1,000톤) 602.5 394.4 267.5 356.6 -7.8 5.98
갈탄 (1,000톤) 6,148 4,756 4,960 4,955 -2.18 -0.028
코킹콜 (1,000톤)l 0 0 0 0 0 0
수력 (GWh) 0.00076 0.001 0.0029 0.0031 14.38 1.38
기타 (1,000TOE) 173.1 277.2 292.8 314 5.4 1.4
자료 출처: 몽골 국가보고서
<표 2-10> 몽골의 에너지 공급 추이
제2절 몽골 전력산업 개요
○ 적은 인구와 낮은 산업화 수준으로 인해 몽골의 전력수요는 비교적 낮은 편이며, 전력 생산능력도 낮음. 전력공급 대부분은 7개의 열병합 석탄화력발전소와 러시아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그러나 낮은 인구밀도 때문에 인구밀집 지역까지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력계 통망이 방대하며, 송․배전 선로가 길고 부하가 낮아 손실이 많은 등 문제가 있음.
○ 혹독하고 긴 겨울 때문에 난방의 수요가 높아 지역난방은 국민의 복 지를 위해 중요한 부문임.
○ 몽골의 전력시스템은 독립된 3개의 전력계통망인 중앙에너지시스템 (Central Energy System, CES), 서부에너지시스템(Western Energy System, WES), 그리고 동부에너지시스템(Eastern Energy System, EES)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5개의 지방(Soum)이 이들 전력 계통망과 연계가 되지 않은 독립 전력시스템으로 운영됨.
- CES는 5개의 석탄을 이용한 발전 시설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러시 아의 전력계통망과 연결되어 있음.
- 다른 두개의 시설망은 규모가 작은 편임. WES설비는 러시아로부터 전력을 수입하고 있으며, EES는 초이발산시(Choibalsan)를 중심으로 함.
- CES의 기저부하를 담당하는 발전소의 열악한 피킹 능력으로 인해 일일 시스템 수요를 원활하게 맞추지 못하고 있음.
- 송전 및 배선 시스템에서의 손실은 높은 편으로 송전 손실률은 약 12%이고 배전 손실률은 약 4-5%임.
- 지역난방은 일반적으로 매년 9월15일부터 5월 15일까지 제공되나, 정부 기관의 경우는 5월1일까지만 제공됨. 증기와 지역난방은 1년 내내 제공됨.
○ 전력산업으로 석탄을 공급하는 주요 공급자은 바가누어(Baganuur), 쉬와와(Shivee-Ovoo) 그리고 샤린(Sharyn)탄광이며, 이들 탄광은 각각 연 4백만 톤, 50만 톤 그고 1백만 톤의 공급능력을 보유하고 있음. 총 석탄 생산량은 연간 770만 톤이며 이중 500만 톤이 전력 발전부분 에 쓰임.
○ 몽골의 Soum이 총 310개가 있는데, 그중 3대 에너지시스템과 연계된
Soum은 185개로 59.6%만 3대 에너지시스템에 연계됨.
○ 배전회사는 총 4개 그리고 송전회사 2개가 있음.
○ 몽골의 화력발전은 7개의 열병합 화력발전소와 약 600개의 소형 디젤 발전기, 소수력발전소 5개, 풍력발전소 2개, 태양광발전소 2개, 그리고 복합태양광/풍력발전소 5개로 전력을 공급하고 있음. 경유 발전기는 아이막과 소움에 위치하고 있는데, 배전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고 전 국의 몇 개 지역에 분산되어 있음.
- 화력발전의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국내 생산으로 충당되나 중유와 디젤은 수입에 의존함.
- 디젤 발전기는 3개의 전력계통망에 연계되지 않은 아이막과 소움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아이막 센터나 소움 센터에 설치됨.
열병합발전소
전력생산 능력 (MWe)
가용 생산능력
(MWe)
보일러 생산능력
(MWth)
지역난방1) (MWth)
산업용 스팀 (MWth)
건설시기 울란바타르
TPP No. 2 21.5* 17.6 80 43 58 1961 - 1969
울란바타르
TPP No. 3 148.0 105.1 1,448 562 105 1968 - 1982
울란바타르
TPP No.4 540.0 432.0 2,450 918 29 1983 - 1991
Darkhan 48.0 38.6 477 210 49 1966, 1986
Erdenet 28.8* 21.0 318 140 24 1987 - 1989
Subtotal CES 786.3 614.3 4,773 1,873 265
Choibalsan
EES 36.0 29.5 397 130 22 1969, 1979
Dalandzadgad 6.0 5.0 38 8 - 2000
Total 828.3 648.9 5,208 2,011 287
주 : 1) 1999년 자료
<표 2-11> 열병합발전소(CHP) 현황
Name Aimag Capacit y (kW)
Head (M)
Discharge (m3/s)
Output (GWh/
year)
In service since Hydro power
1 Kharkhorin Ovorkhangai 528 11 5.6 1.2 1959
2 Chigjiin Uvs 200 17 1.4 0.4 1989
3 Bogdiin Zavkhan 2000 35 6.6 6 1997
4 Mankhan Khovd 150 11 1.6 0.4 1998
5 Guulin Gobi-Altai 480 18 3.2 0.9 1998
Wind power
6 Erdene tsagaan Sukhbaatar 100 2004, Dec
7 Bayan-Undur Bayankhongor 1.5 1999.Aug
Solar energy
8 Noyon Umnigovi 200 2003, Sept
9 Bogdiin Uburkhangai 1 1999, July
Combined Solar & Wind
10 Naran Sukhbaatar 8 2003, Dec
11 Tariat Arkhangai 5 2000, Aug
12 Tsagaanchuluut Zabkhan 6.1 2001.Nov
13 Adaatsag Dundgovi 5 2000 Aug
14 Bayan-Undur Uburkhangai 5 2000,Aug
자료출처 : 몽골 에너지 국가보고서
<표 2-12> 몽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현황
○ 몽골의 총 발전설비용량은 834.3MW로서 CES 지역에 5개, EES 지역 에 1개, 기타 1개 등 총 7개의 화력발전소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고 있으며, 2006년 총 발전량은 3,544GWh이었음.
- 2006년 기준 한국의 설비용량 65GW 및 발전량 40만4,737GWh와 비 교하면 몽골은 각각 한국의 1.3%와 0.87%임.
○ CES지역 내에 총 발전설비용량은 786.3MW로써 2005년 첨두부하는
570MW였고 2005년 연간 발전량은 3028 GWh였음.
- 산업 부문에서 전력 소비의 약 62%를 소비하고 있으며, 가정 부문
에서 약 24%, 수송 부문에서 약 4%, 농업 부문에서 1%, 그리고 기 타 부문에서 9%를 소비함.
○ EES에는 Choibalsan의 열병합발전소가 36MW의 설비능력을 갖추고
있으나, 실제 최대전력수요는 12MW임.
○ 신규 Dalandzadgad 열병합발전소는 총 6MW의 전력생산능력을 갖추
고 있으며 독자적으로 지역 전력망에 공급함.
○ 기존 6개의 화력발전소는 모두 러시아에 의해 설계됐으며, 기저부하,
지역난방을 위한 온수 그리고 산업용 증기를 생산하기 위한 열병합 발전임.
제3절 전력 유관 기관 및 역할
가. 정부 및 감독 기관
○ 몽골 의회(Great Khural)
- 새로운 몽골의 에너지법에 의하면, 몽골 의회는 에너지 부문 정부 정책을 승인하는 기관임.
○ 몽골 연료에너지부(MOFE: Ministry of Fuel and Energy)
- 몽골 연료에너지부는 에너지 부문 정부 정책을 수립하는 기관임. - 연료에너지가 담당하는 정책 분야는 에너지자원 개발, 에너지 이용,
에너지 수출입, 발전소 건설, 전력계통망, 에너지절약, 신재생에너지 자원의 이용, 에너지 분야 모니터링, 에너지 분야 규칙과 조례 승인, 그리고 국제 협력 등이 해당됨.
- 연료에너지부의 웹사이트 주소는 http://www.mfe.pmis.gov.mn임.
○ 재경부(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ics)
- 에너지 부문의 주요 기업이 국영기업이기 때문에, 송배전선 및 전력 계통망 건설 등에 대한 투자는 재경부에 의해 실행됨.
○ 에너지규제청(ERA: Energy Regulatory Authority)
- 에너지규제청은 몽골의 에너지법에 따라 에너지 생산, 송전, 배전, 공급, 급전 등에 대한 관리 및 감독을 담당하는 기관임.
- 주요 업무는 운영자에게 라이센스를 발급하고, 요금을 승인 및 감독 하고, 궁극적으로 소비자와 운영자의 이해를 보호하는 것임. 생산자 와 분배자를 위한 경쟁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에너지규제청의 역 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