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일반경쟁

계약대상물품의 규격과 계약조건 등 계약내용을 널리 공고하여 일정한 자격을 보유한 불특정 다수인의 입찰참여 희망자를 대상으로 경쟁입찰에 참여하도록 하여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 자와 계약을 체결하는 방법 이다. 각 중앙관서 및 공공기관에서 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 반경쟁으로 추진하는 것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일반경쟁은 입찰희망자에 게 공평한 기회를 제공하고 경제적인 조달이 가능하며 집행절차가 공개적 이며 투명하다. 반면 입찰참가에 대한 최소한의 자격만을 검증함으로 부 실업체 참여로 인한 품질저하나 계약불이행에 따른 위험부담이 내포되어 있다.

나. 제한경쟁

일반경의 유형이며 일반경쟁과 지명경쟁의 단점을 보완하고 경쟁에 따 른 장점을 취함으로 계약목적물을 도입된 제도이다. 제한경쟁에서는 입찰 참가자의 자격을 사전에 제한하여 그 자격을 갖춘 자로 하여금 경쟁 입 찰에 부쳐서 그 중 가장 유리한 조건을 제시한 자와 계약을 체결하는 방 법을 말한다. 이 제도는 경쟁 참가자의 참가자격을 제한하는 제도로 특수 설비 또는 기술이 요구되는 품목에 주로 적용된다. 발주자는 계약의 목 적·성질·규모 등을 고려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참가자의 자격을 도급한도액, 실적, 기술보유현황, 재무상태 등으로 제한하거나 참가자를 제한하여 경쟁에 부칠 수 있다(네이버 지식백과, 2015). 제한경쟁입찰 중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에 따라 정부 및

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등 공공기관의 장이 물품의 제조․구매 시 중소 기업자간 경쟁 입찰에서 낙찰자 결정에 적용할 계약이행능력심사를 위한 세부기준을 별도로 운영하여야한다. 이 기준에 따른 심사는 ‘중소기업제 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6조에 따라 중소기업청장이 지 정하는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중 물품에 대한 계약이행능력을 심사하여 낙찰자를 결정하는 입찰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다. 지명경쟁

입찰자의 신용과 실적 등에 있어서 적당하다고 인정하는 특정다수의 경 쟁참가자를 지명하는 입찰방법에 의거 계약상대자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제한경쟁과 함께 일반경쟁의 예외적인 계약방법이다. 이 제도는 필요한 조건16)에 있어서 우량업체를 지명하므로 계약이행이 신뢰도를 확보하고 구매계약에 소요되는 비용절약 및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고 긴급구매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입찰참가자를 지명할 경우 사전에 필요조건 보유여부에 대한 특혜 시비들을 불러올 수 있다. 지명입찰에 부치고자 하는 경우 5인 이상의 입찰대상자를 지명하며 그 중 2인 이상 의 참가자가 있어야 한다. 다만, 지명 대상자가 5인 이하인 경우 대상자 모두를 지명하여야 한다(국가계약법 시행령 제24조, 2015)

라. 수의계약

계약상대자를 결정함에 있어 경쟁 입찰 방법에 의하지 않고 특정인을 대상으로 계약상대자로 선정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계약방법으로 경쟁 입 찰에 포함되지 않은 계약제도이다(한전 계약운영반Ⅰ, 2013). 계약이행이 가능한 자가 1인 이거나 계약목적을 달성하기 곤란하여 경쟁 입찰을 통 하여 구매할 수 없는 특수한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시행한다. 또한 중소

16) 신용상태, 납품이행실적, 입찰참가자격, 경영상태 등을 말한다.

계약방법 계약건수(건) 건수대비(%) 계약금액(백만원)

일반경쟁 1,553 37.7 165,182

제한경쟁 855 20.7 102,554

제한경쟁(중소기업) 311 7.5 35,634

지명경쟁 15 0.4 36,631

수의계약17) 1,390 33.7 173,664

합 계 4,124 100.0 513,665

기업자가 직접 생산한 물품을 중소기업자로부터 제조·구구하는 경우와 국가유공자 또는 장애인 등에게 일자리나 보훈·복지서비스 등을 제공하 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단체 등과 물품의 제조·구매 또는 용역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수의계약 시행 시 예산절감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시담대상자의 선정에 대한 특혜시비와 부조리 발생이 상존하는 계약제도라 불리고 있어 규정과 절차에 따른 객관적인 계약집행이 필요한 제도이다. 이 외에 재공고 입찰에 부친 경우로 낙찰 자 또는 입찰자가 없거나, 1차 경쟁 입찰을 실시하였으나 1인 밖에 없는 명백한 경우에는 수의계약을 채택할 수 있다.

<표 2-5> 계약방법별 계약통계

17) 공공기관에서 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경쟁으로 추진함이 원칙임에도

<표2-5>에서 수의계약이 33.7%에 이르는 이유는 발전설비에 적합한 특수한 기술력이 요 구되는 물품구매(제조) 발주가 상당수 이뤄지기 때문이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