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계획행동이론은 개인의 행동에 대한 의도와 실제 행동 수행과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고안된 이론으로 행동의도에 대한 선행 요인으로 특정 행동에 대한 태도와 특정 행동에 대한 사회적 압력, 타인으로부터 느껴지는 인식 정도를 나타내는 주관적 규범 그리고 개인의 특정 행동에 대해 스스로 느끼는 인식의 정도를 나타낸 행동 통제력에 영향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행동 의도는 행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선행 변수가 되기 도 하며 실제 행동을 수행하는 설명력과 예측력을 높여준다(Ajzen, 1985).

1) 태도

태도란, 개인이 특정 행동을 행하는데 있어서 일관성을 가지고 인물 혹은 사물에 있어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며, Fishbein & Ajzen(1981)는 태도와 행동 간에 있어서 대상의 요인과 행위의 요인은 서로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하 였으며, 행동에 대한 선행 변인으로서 태도가 사용되기 위해서는 특정 행동에 대한 태 도를 측정해 태도와 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하다(김무송, 2011).

이처럼 행동에 대한 태도는 20세기 초 심리학자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아 연구된 요 소로서,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다. (Zimbardo, 2010) 특정 행동을 수행하고자 결정을 내려야하는 상황에서 대상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 혹은 부정적인 평가의 수준으로 해석할 수 있다(Ajzen, 1991). 예를 들어 개인의 특정 행 동을 수행하는 것이 자신에게 있어서 이익 혹은 손해라고 인식할 수 있으며, 이는 호 의적이거나 비호의적인 상태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김형석, 조현익, 2008). 스스 로 이익이라고 생각되고 호의적인 감정이 생길수록 특정 행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형성된다. 태도는 행동의도에 따라 영향을 미치게 되며, 개인이 인지하는 태도는 쉽게 달라지지 않는다(윤설민, 신창렬, 이충기, 2014). 따라서 특정 행동에 대한 태도가 긍 정적이면 실제 행동을 수행하려는 행동 의도가 커지기 때문에 태도는 행동을 예측, 변 화시키고자 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는 요인이다(김동규, 2017; 한규석, 2009).

2) 주관적 규범

주관적 규범은 개인의 특정 행동에 대한 타인의 의견에 관한 지각과 수용 정도라고 정의하고 있다(Fishbein, 1963). 주관적 규범은 개인의 규범적 신념에 의해서 결정되 는데 특정 행동을 실행하거나 실행하지 않아야 한다는 사회적인 압력의 자각과 함께 개인의 동조 동기에 의해서 결정된다(이민규, 2001). 예를 들어 특정 행동에 대해 행 위자가 중요시하는 주변인들의 태도가 호의적이라면, 행위자는 특정 행동을 실행할 가 능성은 높아지며, 반대로 특정 행동에 대해 행위자가 중요시하는 주변들의 태도가 부 정적이라면 특정은 실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Ajzen I. & Fishbein 1980). 주 관적 규범은 특정 행동에 대한 행위자가 행동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주변 상황을 자신 의 힘으로 통제가 가능한 사회적 영향력과 관련이 있으며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주변인은 인간행동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에, 개인의 특정 행 동은 주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즉, 개인의 특정 행동의 실행 결정 여부에 있어서 주변인의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다(하충룡ㆍ이유경, 2009).

3) 지각된 행동 통제력

계획행동이론은 기존 합리적행동이론의 구성 요인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 이외에 지 각된 행동 통제력을 변인으로 추가한 모형이다.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특정 행동을 실 행하는데 있어서 행동에 대한 실현이 얼마나 쉽거나 어려운지에 관한 개인이 지각하는 믿음의 정도가 행동 의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작용한다. 즉, 개인이 특정 행동에 대

한 지각된 행동 통제력이 높다 면, 행동 실현에 대한 의도 또한 높아지는 것이며, 반대 로 개인의 특정 행동에 대한 지각된 행동 통제력이 낮다면, 행동 실현에 대한 의도 또 한 낮아지는 것이다. 이처럼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태도, 주관적 규범과 같이 개인의 특정 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문길봉, 2017). Stone, Jawahar, & Kisamore(2010) 은 지각된 행동 통제를 ‘부정행위의 시행에 대한 어려움의 정도로 정의하고 있으며 자신들이 행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방해물이 없다고 믿었을 때, 행동의 실행에 대한 자 신감과 지각된 통제력도 같이 향상된다 하였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개인에게 주어 진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확실성을 의미하는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이 있다.

자기효능감이란, 개인이 특정 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능력이나 자신감의 정 도를 의미하며,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것은 개인의 의지에 있다고 믿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외적 요인과 내적 요 인이다. 첫째, 외적 요인은 다른 사람에 대한 의존, 시간, 비용. 기회, 용이성 등이 있 다. 둘째, 내적 요인은 개인의 성격, 능력, 기술, 능력에 영향을 받으며, 개인이 통제하 지 못하는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은 행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방해가 된다. 이에, 특 정 행동을 수행함에 있어서 자원, 기회, 기술들을 필요로 하는 경우, 지각된 행동 통제 력이 특정 행동에 대한 의도와 특정 행동에 대한 영향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한덕웅, 이민규, 2001). 결론적으로 개인의 특정 행동의 수행에 대한 어려움을 부정확하게 예

O’Leary, 1995). 또한 일반적으로 특정 행동에 대한 개인의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호의적일수록 지각된 통제력 또한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특정 행동에 대한 의도는 증 가하게 된다(Schifter & Ajzen, 1985).

4) 의도

계획행동이론에서 개인의 행동은 행동에 대한 의도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간주한 다. 행동 의도는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력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러한 세 요인들의 측정을 통해 개인의 특정 행동에 대한 의지, 신념의 크기를 확인하면 실제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계획행동이론에서 행동에 대한 의 도는 행동하기 위해 지각하는 행동 계획의 강도를 의미한다. 이에, 행동 계획을 변경할 정도의 변화 요인이 없다면 행동 의도는 행동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다. 특정 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에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반대로 부정적인 감정에는 참여하지 않 게 된다는 계획행동이론의 동기유발과정에 따라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Ajzen, 1991).

5) 행동

계획행동이론에서는 행동에 대한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태도와 주관적 규범, 그리 고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측정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계획행동이론에 의하면 측정 요인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 그리고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받으며 이 론의 최종 목표는 개인의 특정 행동을 이해하려는 것이다(Ajzen, 1991).

3 장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제 1 절 연구 모형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를 파악하기 위해 계획행동이론을 적용시켜 이론의 하위 요인인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 범,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 치는지 파악하고자 하며, 또한 직장인들의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존 계획행동이론에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변수를 확장해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 직장 골프 동료들과의 공유된 목표와 계획행동이론의 모형과의 관계를 파악해 아래 [그림3-1]과 같이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림 3-1] 연구 모형

제 2 절 연구 가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의 직장 골프 참여에 따라 형성된 동료들 간 사회적 네트워 크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영 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앞서 제시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가 설을 설정하였다.

가.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이 태도, 주관적 규범 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은 사회 구성원 간의 관계를 연결 시키는 유대 관계이다. Putnam(2001) 은 사회적 자본의 발생 요인으로 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로 정의 하였다. 구체적 으로 첫째, 네트워크는 사회 구조 내에서 행위자들을 연결하는 사회적 관계들의 집합 체 중의 하나로 정의된다(Goodwin, 1994). 둘째, 신뢰는 특정 집단 내에서 일반적으 로 규정한 공유된 규범에 기초하여 집단 내 다른 구성원들이 서로 믿음을 가지고 협동 적으로 행동 할 것이라는 기대이다(Fukuyama, 1995). 마지막으로 셋째, 공유된 목표 란,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고 조직의 비전을 공유하는 행위로 정의된다(Portes, 1998).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개인 혹은 집단 간의 관계 형성에 따라 생겨나는 자본의 개념으 로 해석될 수 있으며(유석춘, 장미혜, 2003),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개인 혹은 집단의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행동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Castillo(2021)의 연구 결과와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개인 혹은 집단의 특정 행동을 수행하는 행동에 대 한 주관적 규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Chow(2008)의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들의 직장 골프 참여에 따라 형성된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 신뢰, 목표가 직 장 골프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 였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