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의 골프참여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골프 재참여의도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할 것이다. 연구모델에 포함하는 잠재변수와 관 측변수 간의 관계, 잠재변수와 잠재변수 간의 관계 및 방향 등을 연구자가 사전에 가 설로 수립한 모델을 기초로 분석을 하게 될 것이다.
모형의 평가를 객관적으로 하기 위하여 적합도 지수를 사용하는데, 특히나 표본으로 의 영향을 받지 않는 모형의 간명성과 오류를 고려한 적합도 지수를 사용할 것이다.
표본 크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다는 문제점이 있는 카이 스퀘어(Chi-Square)은 문제 점을 가지므로 다른 적합도 지수와 함께 볼 필요성이 제기될 것이다. 구조방정식 모형 에서의 적합한 수치로는 CFI, TLI, 그리고 RMSEA를 권장하였다(Kline, 2010).
Browne and Cudeck (1993) 또한 구조모형을 분석하기 위하여 RMSEA, TLI, 그리고 CFI을 통해 모형적합도 평가를 권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모형적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CFI, TLI, RMSEA등을 통하여 진행할 것이다. CFI와 TLI의 값은 그 값이 .9 이상이면 적합도가 좋다고 평가한다 (Kline, 2010). RMSEA 수치는 .08이하인 수치를 일반적으로 선호 되며 모형이 적합 하다고 여겨진다(Kline, 2013).
제 5 장 연구 결과
제 1 절 인구통계분석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구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응한 290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3개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77 개를 최종 분석하였다.
277개 설문지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자는 180명(65.0%), 여자 는 97명(35.0%)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연령대 분포는 20대 45명(16.2%), 30대 85명 (30.6%), 40대 96명(34.6%), 50대 38명(13.7%), 60대 13명(4.6%)으로 구성되었다.
277개 설문지 응답자의 최종학력 분포는 초등학교 졸업 0명(0%), 중학교 졸업 0명 (0%), 고등학교 졸업 15명(5.4%), 대학교 졸업 223명(80.5%), 대학원 졸업 39명 (14.1%)으로 구성되었다.
277개 설문지 응답자의 골프 참여 빈도는 주 1회 158명(57.0%), 주 2회 58명 (20.9%), 주 3회 24명(8.3%), 주 4회 16명(5.8%), 주 5회 8명(2.9%), 주 6회 6명 (2.2%), 주 7회 이상 8명(2.9%)으로 구성되었다.
277개 설문지 응답자의 골프 평균 타수는 72타 이하 15명(5.4%), 73타 이상 79타 이하 31명(11.2%), 80타 이상 89타 이하 99명(35.7%), 90타 이상 99타 이하 74명 (26.7%), 100타 이상 58명(20.9%)로 구성되었다.
277개 설문지 응답자의 골프 경력은 6개월 미만 28명(10.1%), 6개월 이상 1년 미
만 46명(16.6%), 1년 이상 2년 미만 43명(15.5%), 2년 이상 3년 미만 31명 (11.2%), 3년 이상 4년 미만 35명(12.6%), 4년 이상 5년 미만 23명(8.3%), 5년 이 상 71명(25.6%)로 구성되었다.
277개 설문지 응답자의 월 평균 소비액은 199만원 이하 27명(9.7%), 200만원 이 상 299만원 이하 59명(21.3%), 300만원 이상 399만원 이하 54명(19.5%), 400만원 이상 499만원 이하 46명(16.6%), 500만원 이상 599만원 이하 29명(10.5%), 600만 원 이상 62명(22.4%)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분석 결과표는 아래 [표 5- 1]와 같다.
[표 5-1] 인구통계분석 (N=277)
특성 구분 빈도수(명) 비율(%)
성별 남성 180 65.0
여성 97 35.0
연령대 20대 45 16.2
30대 85 30.6
40대 96 34.6
50대 38 13.7
60대 13 4.6
최종학력 초등학교 졸업 0 0
중학교 졸업 0 0
고등학교 졸업 15 5.4
주 2회 58 20.9
주 3회 23 8.3
주 4회 16 5.8
주 5회 8 2.9
주 6회 6 2.2
주 7회 이상 8 2.9
골프 평균 타수 72타 이하 15 5.4
73타 이상 ~ 79타 이하 31 11.2 80타 이상 ~ 89타 이하 99 35.7 90타 이상 ~ 99타 이하 74 26.7
100타 이상 58 20.9
골프 경력 6개월 미만 28 10.1
6개월 이상 ~ 1년 미만 46 16.6
1년 이상 ~ 2년 미만 43 15.5
2년 이상 ~ 3년 미만 31 11.2
3년 이상 ~ 4년 미만 35 12.6
4년 이상 ~ 5년 미만 23 8.3
5년 이상 71 25.6
월 평균 소비액 199만원 이하 27 9.7
200만원 이상 ~ 299만원 이 하
59 21.3
300만원 이상 ~ 399만원 이 하
54 19.5
400만원 이상 ~ 499만원 이 하
46 16.6
500만원 이상 ~ 599만원 이 하
29 10.5
600만원 이상 62 22.4
제 2 절 기술통계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 문항에 사용된 측정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변인인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 직 장 골프 동료들과의 공유된 목표,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 범,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기술통계치인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기술통계량은 다음 [표 5-2]에 제시하였다.
[표 5-2] 측정 변수의 기술통계분석 결과
변인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 5.18 .81 1.00 7.00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 5.07 .77 1.00 7.00
직장 골프 동료들과
5.00 .88 1.00 7.00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 5.25 .77 1.00 7.00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 5.20 .81 1.00 7.00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 5.37 .77 1.00 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