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8-1 공유된 목표 -
> 태도 -> 재참여의 도
-.152 .238 .086 .06 .481
지지
H8-2 공유된 목표 -
> 주관적 규범 -> 재 참여의도
지지
* p<.05 ** p<.01 *** p<.001
[H6]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14) H6-1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는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 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 참여의도의 직접 효과는 -.017, 간접 효과는 .463 이며, 총 효과는 .445이다. 95%
신뢰 구간에서 Lower Bounds와 Upper Bounds의 범위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는 직장 골프 동료 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 증되었다.
15) H6-2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을 매개로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직접 효과는 -.017, 간접 효과는 .463 이며, 총 효과는 .445이다.
95% 신뢰 구간에서 Lower Bounds와 Upper Bounds의 범위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 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직 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 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16) H6-3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 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을 매개로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직접 효과는 -.017, 간접 효과는 .463 이며, 총 효과는 .445 이다. 95% 신뢰 구간에서 Lower Bounds와 Upper Bounds의 범위에서 0을 포함하 지 않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 동통제력은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관계에서 매 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H7]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은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와 직장 골 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17) H7-1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는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와 직장 골프 재 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을 매개로 직장 골프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 참여의도의 직접 효과는 -.26, 간접 효과는 .436 이며, 총 효과는 .176 이다. 95% 신 뢰 구간에서 Lower Bounds와 Upper Bounds의 범위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통 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는 직장 골프 동료들 에 대한 신뢰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 다.
18) H7-2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을 매개로 직장 골프에 대한 신뢰와 직장 골프 재참여 의도의 직접 효과는 -.26, 간접 효과는 .436 이며, 총 효과는 .176 이다. 95% 신뢰 구간에서 Lower Bounds와 Upper Bounds의 범위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직장 골프 동 료들에 대한 신뢰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 되었다.
[H8]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은 직장 골프 동료들과의 공유된 목표와 직 장 골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19) H8-1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는 직장 골프 동료들과의 공유된 목표와 직장 골 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직장 골프 동료들과의 공유된 목표와 직장 골프 재 참여의도의 직접 효과는 -.152, 간접 효과는 .238 이며, 총 효과는 .086 이다. 95%
신뢰 구간에서 Lower Bounds와 Upper Bounds의 범위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는 직장 골프 동료 들과의 공유된 목표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 증되었다.
20) H8-2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직장 골프 동료들과의 공유된 목표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을 매개로 직장 골프 동료와의 공유된 목표와 직장 골 프 재참여의도의 직접 효과는 -.152, 간접 효과는 .238 이며, 총 효과는 .086 이다.
95% 신뢰 구간에서 Lower Bounds와 Upper Bounds의 범위에서 0을 포함하지 않으 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는 직장 골프
제 6 장 논의 및 제언
제 1 절 논 의
본 연구는 직장인들의 골프 참여에 따라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과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사회적 자본과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으며, 연구 논의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과 태도의 관계
직장인들의 골프 참여에 따라 형성된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과 직장인들의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가 태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Butista & Bayang, (2015)의 선행 연구 결과에 의해 지지된다. 직장인들이 직장 동료들과 함께 골프에 참여함으로서 생겨나는 네트워크와 동료들에 대한 신뢰, 그리고 직장 동료들과의 직장 목표 의식인 공유된 목표가 높아짐에 따라, 직장 골프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재미있고, 가치 있고, 바람직하며, 유익하며 이는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과 주관적 규범의 관계
직장인들의 골프 참여에 따라 형성된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과 직장인들의 직장 골프에 대한 주관적 규범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가 주관적 규범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Butista & Bayang(2015)의 선행 연구 결과와 Chow(2008) 선행 연구 결과에 의해 지지된다. 직장인들은 직장 동료들과 함께 골프에 참여함으로서 생겨나는 인적 네트워크와 동료들간의 신뢰, 그리고 직장 동료들과의 직장 목표 의식인 공유된 목표가 증가됨에 따라, 직장 골프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동료들이 지지해주고 참여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 네트워크와 지각된 행동통제력의 관계
직장인들의 골프 참여에 따라 형성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력에 대한 관계를 검증한 결과 네트워크가 지각된 행동통제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Castillo(2021)의 선행 연구 결과에 의해 지지된다. 직장인들이 직장 동료들과 함께 골프에 참여함으로서 생겨나는 친밀함과 동료간의 관계에 대한 깊이를 나타내는 인적 네트워크의 향상을 통해 구성원들은 자발적으로 직장 골프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직장 골프 참여에
4.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과 재참여의도의 관계
직장인들의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Nguyen (2019)의 선행 연구 결과에 의해 지지된다. 직장 동료들과 함께 골프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개인이 호의적으로 생각하거나, 동료들이 개인의 골프 참여에 대해 지지하거나, 직장인들의 골프 참여에 대한 여건이 갖춰지면 스스로 직장 골프에 다시 참여하려는 재참여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5.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과 재참여의도의 관계
직장인들의 골프 참여에 따라 형성된 사회적 자본(네트워크, 신뢰, 공유된 목표)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왕즈웨이(2010)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식 공유 행위 의도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와 동일 하였다.
6.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과 네트워크, 재참여의도의 관계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접 효과인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는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간접 효과인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을 매개로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네트워크는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즉, 직장 동료들과의 골프 참여를 통해 서로 간의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직장 골프 참여에 대한 개인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낮으면, 직장 골프에 다시 참여하려는 재참여의도가 생기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7.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과 신뢰, 재참여의도의 관계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은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와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접 효과인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는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간접 효과인 직장 골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을 매개로 직장 골프 동료들에 대한 신뢰는 직장 골프 재참여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즉, 직장 동료들과의 골프 참여를 통해 서로 간의 신뢰가 형성되더라도, 직장 골프 참여에 대한 개인의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력이 낮으면, 직장 골프에 다시 참여하려는 재참여의도가 생기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