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과제제안요구서(RFP)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137-142)

제5장 과제제안요구서(RFP)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17

과제제안요구서(RFP)

제5장

• •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 기획연구보고서

11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EPA, DHA 및 ARA가 단리 형태로 추출 가능함으로 건강한 사람 태

반 혈액속에 포함 되어 있는 DHA/EPA Ratio 2의 구성 성분을 조절하 거나 단일 성분의 효능, 효과만을 원하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어느 쪽 의 효능 및 효과를 강화하고자 하는 제품을 생산하고자 할 때에는 상 당히 유리하고 어유에서 분리한 것보다 오히려 가격 경쟁력이 있음

기술개발 시 예상성과 및 파급효과 (구체적으로 명기)

○ 기술적 성과 및 파급효과

- 해양수산 지역 산업구조의 다원화 및 혁신 산업화

- 해양수산 지역 산업기반 구축을 통한 단기·중기적으로 실용화가 가능

한 해양미세조류 유용자원 이용을 극대화 하고 대외적 환경 변화(기 후변화, 미세먼지, 방사능 오염 및 자원고갈 등)에도 안정적인 다기능 소재 생산

- COVID-19 및 유사 바이러스 예방이 가능한 기능식품 세계 최초 개발

- 대한민국이 K-방역 성공 모델에 이어 바이러스 예방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종주국이 되어 국내외 시장 개척

○ 사회적 파급효과

- 예방의학 차원에서 면역증강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소재 개발로 사회

전반적인 건강지수 향상에 따른 국민 삶에 기여

- 저개발국의 아동 지능향상과 정서 안정을 위한 지원과 수출 외교 기대

- EPA, DHA 및 ARA 등의 기능성 물질 기반 생산으로 인한 보조 건강

기능식품 활용으로 폭발적 수요 창출 기대

- EPA, DHA 및 ARA등을 활용한 화장품 산업으로의 추가 시장 진입

○ 경제적 파급효과

- 한국은행에서 가장 최근인 2020년에 발표한 2018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되, 33부문 통합대분류 방식에 근거하여 381부문(기본부문)을 통합하고, 여기에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보조제 건강식품 개발 사업을 추가함으로써 총 34 부문을 대상으로 분석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

료보조제 건강식품 개발 사업은 제34부문으로 처리하였으며, 이 부문 을 외생화하게 되면 결국 33개 부문을 다루게 됨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

료보조제 건강식품 개발 사업의 총사업비 30,000백만원의 투자로 인 해 생산유발효과는 총 52,686.0백만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총 23,279.5 백만원, 취업유발효과는 총 336.2명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 경제성 분석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

료보조제 건강식품 개발 사업의 경제성 분석 결과 총비용의 현재가치 는 23,616백만원, 총편익의 현재가치는 28,003백만원으로 추정되어 순 현재가치는 4,387백만원으로 경제성 분석을 통과함

- 편익/비용 비율은 1.19로 산정되어 1.0을 초과하며, 내부수익률도 6.6%

로 사회적 할인율 4.5%를 초과하여 본 사업은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함

제5장 과제제안요구서(RFP)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19

다. 기타 요구사항

○ 해당 사업의 특성상 해양미세조류 원료생산/표준화 및 해당 제품의 산업화가 가 능한 기업 참여 필수

○ 항바이러스 효능 및 안전성 평가 기관 참여 필수

○ 임상 실험을 위한 CRO 및 병원 기관 참여 필수

○ 연차별 정량적 성과목표, 최종년도 연구개발 종료 후의 후속 대책 및 방안을 연 구계획서에 제시 요망

성과 지표

○ (최종 성과물 및 활용성)

- 항바이러스 치료보조제 건강기능식품 소재화 - 지식재산권 10건

- 국내외 논문 15건

성과 목표 성과지표 목표치 내용

건기식 및 기능성 식품

원료규격화 3건 이상

원료 규격서

(미생물, 중금속함량,

지표성분/효능성분 등) 해외특허 출원 및 등록 3건 이상 특허출원 및 등록증 국내특허 출원 및 등록 7건 이상 특허출원 및 등록증

SCI(SCIE 포함)급 논문 15건 이상 논문 게재 완료 여부

안전성 평가 3건 이상 생물학적 안전성 자료 확보 유무 인체적용시험 3건 이상 유의성 확보 유무

표준화 2건 이상 생산공정 및 지표성분

기술이전 1건 이상 기술이전 완료 유무

경재성분석 1건 이상 실행여부 식약처 인허가 등록 신청 1건 이상 식약처 개별인정 등록

신청서

국가 R&D

사업화 가능성 ○ 원천기술 개발 후 관련기업과 협업 R&BD 사업화 가능 기획연구 여부

이사부호 활용

계획(필요시) ○ 해당 없음 기존수행과제

연계추진 가능 여부○ 해당 없음

• •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 기획연구보고서

1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참고문헌

Global algae omega-3 ingredients market (2020-2025), 2020 IFFO. Trasde report. Week 32, 2020.

외교부, 코로나19에 대한 한국의 대응, 2020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2019.

한국무혁협회, 포스트 코로나 시대-식음료 소비행태 변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20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회정책 분야의 현황과 대책, 202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현황과 과제, 20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글로벌보건산업동향: 글로벌 주요 제약업체의 백신개발 동향, 20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내외 치료제 및 백신 개발 현황과 과제, 2020.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코로나19(COVID-19) 전세계 확산에 따른 주요국 동향 및 2020년 1/4분기 국내 보건산업 수출 현황과 시사점, 2020.

한국소비자원, 주요국의 코로나19 대응 동향 및 시사점, 2020

Abu-Farha M, Thanaraj TA, Qaddoumi MG, Hashem A, Abubaker J and Al-Mulla F (2020) The Role of Lipid Metabolism in COVID-19 Virus Infection and as a Drug Target.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1: 3544-54.

Bruce R. Bistria (2020) Parenteral Fish‐Oil Emulsions in Critically Ill COVID‐19 Emulsions. Journal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Online in press.

Chang JPC, Pariante CM and Su KP (2020) Omega-3 fatty acids in th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ilience against COVID-19. Prostaglandins, Leukotrienes and Essential Fatty Acids. 161: 102177.

참고문헌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21

Cox RJ and Brokstad KA. (2020) Not just antibodies: B cells and T cells mediate immunity to COVID-19. Nature Reviews Immunology. 20:581–582.

Das UN. (2020) Bioactive Lipids in COVID-19-Further Evidence. Archives of Medical Research. Online in press.

Das UN. (2020) Can Bioactive Lipids Inactivate Coronavirus (COVID-19)?. Archives of Medical Research. 51:282-286.

Guilliams T. (2008) Differentiating the Therapeutic uses of EPA and DHA in clinical practice. Point Institute. 2008:1-10.

Mourelle ML, Gómez CP and Legido JL. (2017) The Potential Use of Marine Microalgae and Cyanobacteria in Cosmetics and Thalassotherapy. Cosmetics. 4:46-59.

Rogero MM, Leão MC, Santana TM, Pimentel MVMB, Carlini GCG, Silveira TFF, Gonçalves RC and Castro IA (2020) Potential benefits and risks of omega-3 fatty acids supplementation to patients with COVID-19. Free Radical Biology and Medicine. 156: 190-199.

Szabó Z, Marosvölgyi T, Szabó É, Bai P, Figler M and Verzár Z. (2020) The Potential Beneficial Effect of EPA and DHA Supplementation Managing Cytokine Storm in Coronavirus Disease. Frontiers in Physiology. 11:752-756.

Weill P, Plissonneau C, Legrand P, Rioux V and Thibault R (2020) May omega-3 fatty acid dietary supplementation help reduce severe complications in Covid-19 patients?.

Biochimie. 179: 275-280.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137-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