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주요국 R&D 투자 동향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52-57)

가. 미국 R&D 투자 동향

□ 투자규모 및 추이

○ 2017년 미국의 국내 총 연구개발비(GERD)는 5,433억달러로, 2016년도 대비 5.23%

증가하였으며(227억달러, PPP달러 기준), 총연구개발비 규모는 2007년 부터 2017 년까지 연평균 4.0% 수준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글로벌 경제위기가 찾아온 2009 년(2.81%)을 정점으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2년(2.68%) 이후 차츰 증가하여 2017년에는 2.79%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음([그림 2-4])

[그림 2-4] 미국의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참고자료: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 미국의 보건환경 분야 투자규모 및 추이

○ 최근 5년간(’14년~’18년) 각 분야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정부 총 연구 개 발 예산이 지난 5년간 3.5%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증가한 가운데, 보건 환 경 분야에만 40,020 백만 달러에 달하는 예산이 편성되었으며 가장 큰 분포를 가 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제2장 대내외 환경 분석 및 타당성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 특히, 보건환경 부분은 매년 3.9%으로 지속적인 증가율을 보였으며, 다른 예산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의 증가율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됨

□ 미국 정부의 R&D예산 우선순위

○ 미 정부는 5가지 R&D예산 우선순위를 제시하고 있으며, 5가지 우선순위는 과학 적 진보 (the forefront of scientific progress), 국가 및 경제 안보 (national and economic security), 개인 복지 (personal well-being), 신기술 개발과 미래산업의 표 준 제공 (continuing to serve as standard-bearer for today’s emerging technologies and Industries of the Future)하는 것으로 두었음

○ 5가지 예산 우선순위 중, 본 기술과 관련된 분야는 의료 및 바이오경제 혁신으로

서, 바이오약품 (Biomedicine), 의료와 건강의 전문성 (Veteran Health and Wellness), 공공성을 위한 바이오경제 (Bioeconomy) R&D를 강조 하고 있음

[그림 2-5] 미국 경제사회목적별 정부연구개발 예산 추이. 참고자료: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나. 일본 R&D 투자 동향

□ 투자규모 및 추이

○ 일본의 총 연구개발비(GERD)는 최근 10년간 소폭 증가 추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2017년에는 연구개발비가 전년 대비 약 50억 달러 증가하며 1,709억 달러로 최초 로 1,700억 달러를 넘어섰음

• •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 기획연구보고서

3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그림 2-6] 일본의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참고자료: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 일본의 보건환경 분야 투자규모 및 추이

○ 일본의 정부연구개발 예산을 경제사회목적별 6개 부문(경제개발, 보건환경, 교육 사회, 항공우주, 비목적연구, 일반대학기금)으로 나눈 현황은 아래 그림과 같음

○ 정부연구개발 예산 중 보건환경 분야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7~8% 수준을 유 지한 가운데, 2018년 11.2%로 전년 대비 3.2%p의 투자비중이 증가하였으며, 투자 금액 역시 2018년 40억 달러로 전년대비 68% 증가(14억 달러)하며, 큰 폭의 증가 를 나타냈음

[그림 2-7] 일본 경제사회목적별 정부연구개발 예산 추이. 참고자료: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제2장 대내외 환경 분석 및 타당성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5

다. 중국 R&D 투자 동향

□ 투자규모 및 추이

○ OECD MSTI(ma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dicators)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국 내 총 연구개발비(GERD, gross domestic expenditure on R&D)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 또한,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역시 꾸준히 증가하여 2007년 1.37%에서 2017 년 2.15%로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19년 3월 개최된 중국 공산당 전국인민정치 협상회의(정협, 政協)에서는 2019년도 국내 총 연구개발비를 GDP 대비 2.5% 수 준까지 증가시킨다고 발표하였음

○ 또한, 중국의 2018년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 중점 전문프로젝트 및 지원경비에 따 르면 바이오의료기술 분야에 총 18개의 사업이 있으며, 총 2.3억 위안의 금액이 편성되어 있던 것으로 확인됨

[그림 2-8] 중국의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참고자료: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라. EU(28개국) R&D 투자 동향

□ 투자규모 및 추이

○ 최근 약 10년 간 EU의 총 연구개발 투자 추이는 지속적인 상승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G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중은 2015년에는 GDP 대비 총 연구개발비 비중이 1.96%까지 상승하였고 2017년에는 약 1.97%에 달하며 최 근 10년 중 최고 수준을 나타내었음([그림 2-9))

• •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 기획연구보고서

3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EU의 총 연구개발투자는 약 4,301억 달러로 전년 3,991억 달러 대비 7.78% 증가

하였으며 이는 최근 10년 동안의 일관된 투자 확충의 추세 속 최대 규모를 나타 내고 있음

□ EU(28개국)의 보건환경 분야 투자규모 및 추이

○ EU의 정부연구개발예산은 경제사회목적별로 경제개발, 보건환경, 교육사회, 항공

우주, 비목적 연구, 일반대학기금의 6개 부문으로 나뉘고 있으며, 보건환경은 2.2%의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됨([그림 2-10])

[그림 2-9] EU의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참고자료: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그림 2-10] EU의 경제사회목적별 정부연구개발 예산 추이. 참고자료: 2019년도 글로벌 R&D 투자동향 분석 (KISTEP)

제2장 대내외 환경 분석 및 타당성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7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5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