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핵심과제 도출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119-123)

□ 분석적 계층화법 (AHP, Analyric Hierarchy Process)을 통한 우선순위 도출

○ 분석적 계층화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는 피츠버그 대학의 사티(Thomas L. Satty)교수에 의하여 최초로 고안된 의사결정을 위한 수학적 모델로서 중요도 를 계층으로 나누어 파악함으로써 각 대안들의 정성적 특성을 정량화하는 기법

○ 계층구조로 제시된 평가항목에 대하여 각 계층의 항목을 일대일 비교하여 각 항 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방법임

○ AHP 설계

- 변수의 정의: 비교항목의 중요도를 수치화하는 변수를 정의하며, 기준 항목으로 설정

- 중요도 계산: 홀수 1, 3, 5, 7, 9 등을 사용

• •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 기획연구보고서

10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AHP의 유용성

- 정성적 혹은 유형적(Qualitative or intangible criteria) 요소와 정량적 혹은 유형적 (Quantitative or tangible criteria) 요소를 비율 척도로 측정

- 큰 문제를 점차로 작은 요소로 분해함으로써 단순한 이원비교에 의한 판단으로 문제해결을 가능토록 함

○ AHP의 원칙

- 이원비교(Reciprocal comparison): 의사결정자의 두 대상이 되는 이원비교가 반드 시 가능해야 하며 중요도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어야

- 독립성(Independence): 상대적인 중요도를 평가하는 요인들은 특성이나 내용 측면 에서 서로 관련성이 없어야 함

- 기대성(Expectation): 계층구조는 의사결정에 필요한 모든 사항들을 완전하게 포함 하는 것으로 가정

○ AHP 평가 결과

- 현안 과제인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대한 내용의 AHP 중요도 평가를 진행함 - 연구과제의 중요성 평가 척도를 다음과 같이 8개 군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음 (미

래소요 충족성,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 파급성, 기술개발 가능성, 기술 혁신성, 소요예산 적정성, 수입대체 효과 및 시장가치)

- 각각의 평가 척도에 대한 결과를 취합하여 하기와 같이 기하평균 (Geometric mean)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음

여기서 : 결과 값

: 속성개수

점수 1 3 5 7 9

중요도 동등 약하게 중요 중요 강하게 중요 절대적 중요

<표 4-1> AHP 평가 척도의 의미

제4장 핵심기술 도출 및 총괄기술 로드맵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01

- 각각의 평가 척도에 대한 중요도 평가 결과 상기와 같이 나타났으며,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기술개발 시급성과 기술 파급성에서 가장 높은 가중치가 설정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

○ AHP 결과의 일관성 비율 (CR, Consistency ratio) 검토 및 결론

- 일관성 비율 (CR, Consistency ratio)은 비교 수행자가 얼마나 일관성을 가지고 결 과를 적었는지 보여주는 지표임

구분 미래소요 충족성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 파급성

기술개발 가능성

기술 혁신성

소요예산 적정성

수입대체

효과 시장가치 기하평균 중요도 미래소요

충족성 1 1/7 1/5 5 3 3 1 1 0.73 0.09 기술개발

시급성 7 1 7 5 7 7 3 7 3.07 0.38 기술

파급성 5 1/7 1 7 7 7 7 5 2.13 0.27 기술개발

가능성 1/5 1/5 1/7 1 1 1 1/3 1 0.32 0.04

기술

혁신성 1/3 1/7 1/7 1 1 1 1/3 1/3 0.27 0.03

소요예산

적정성 1/3 1/7 1/7 1 1 1 1 1 0.35 0.04 수입대체

효과 1 1/3 1/7 3 3 1 1 1 0.64 0.08 시장가치 1 1/7 1/5 1 3 1 1 1 0.48 0.06

합계 15.87 2.25 8.97 24.00 26.00 22.00 14.67 17.33 8.00 1.00

<표 4-2> AHP 평가 결과

평가항목 미래소요 충족성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 파급성

기술개발 가능성

기술 혁신성

소요예산 적정성

수입대체

효과 시장가치 가중치 0.09 0.38 0.27 0.04 0.03 0.04 0.08 0.06

<표 4-3> 평가항목에 따른 가중치 결과

• • •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 기획연구보고서

10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일관성 없는 경우 : 어떤 사람이 A는 B보다 중요하고, B는 C보다 중요하다고 했는데, A는 C보다 덜 중요하다고 평가

- 일관성 높은 경우 : A가 B보다 2배 좋고, B가 C보다 3배 좋다면, A는 C보다 6 배 좋다고 응답한 경우

- CR이 0.1이하이면 일관성을 가지고 비교를 했다는 의미

- 일관성 비율 (CR) 측정 결과 0.0963으로 0.1 보다 낮은 결과를 확인하여 일관성 있는 자료 인 것으로 확인되었음

- AHP 분석 결과에 따라 얻어진 중요도 대비 100점 만점 기준으로 변환 점수로

환산 후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 관련 점수를 계산한 결과 71.42점으로 우선과제 타 당성을 확보한 것으로 확인됨

여기서 : 일관성 지수 (Consistency index) : 무작위 지수 (Random Index) : 고유값 (Eigenvalue)

: 속성개수

□ 우선순위 도출을 통한 핵심과제 도출

○ 핵심과제 도출을 위한 방법으로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 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대한 「경영과학기법 (수명 주기론), 포트폴리오 및 분석적 계층화법 (AHP, Analyric Hierarchy Process)」을 바 탕으로 기술을 분석하였음

- 논문, 특허 및 시장 동향 조사를 통해 본 기술은 발전기(성장기)에 속한 기술인 것을 확인하였음

- AHP 분석 결과, 기술개발 시급성 및 기술 파급성에서 매우 높은 중요도를 보이

는 것으로 평가되었음

- 따라서, 2020년부터 시작된 COVID-19 팬데믹 사태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어 본 기획과제인 해양미세조류 유래 항염증 소재를 활용한 바이 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 보조제 건강기능식품 개발은 최우선 순위로 개발해야 할 과제 인 것으로 판단됨

제4장 핵심기술 도출 및 총괄기술 로드맵 •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103

Dalam dokumen 제 출 문 (Halaman 119-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