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측정모형 평가 결과 연구모형은 신뢰성을 확보하였고, 내용타당성을 충 족함과 동시에 구성타당성을 설명하는 수렴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모두 충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구조모형 평가를 위하여 smartPLS 2.0 M3를 사용하여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을 수행하 였다. PLS 분석은 새로운 이론에 대한 분석에 적합하여 IS분야의 선행 연구에서 두루 사용하여왔다(Igbaria et al. 1994). 이에 PLS분석은 본 연 구의 구조모형에 적합한 도구라 판단된다.

PLS 분석을 활용한 구조모형 평가에서는 선행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종 속변수의 분산값(), 경로계수의 크기와 부호, t검증값을 통한 통계적 유의성 등으로 연구모형을 평가하게 된다.

PLS분석에서의 t검증값 분석은 잭나이프 방법과(Jackknife method) 부 트스트랩 방법(Bootstrap method)(Chin 1998) 등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 서는 부트스트랩 방법을 채택하여 리샘플링(N=185, Bootstrapped 1,000 times)을 실시한 후 구조모형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선행변수로 능력중심 선발, 다양한 교육훈련, 성과지향 평가에 의해 설 명되는 잠재적 흡수능력의 분산값()은 0.363으로 나타났다. 성과중심 보상, 정보공유, 잠재적 흡수능력에 의해 설명되는 실현된 흡수능력의 분 산값은 0.581로 나타났으며, 선행변수인 잠재적 흡수능력과 실현된 흡수 능력에 의해 설명되는 종속변수로서의 ERP 사용성과 분산값은 0.225로 나타났다.

경로계수와 t값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 및 선행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종 속변수의 분산값()은 <그림 4>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산출되었다.

PLS 분석을 통한 가설 검증 결과 총 8개의 가설 중 6개의 가설이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 변수들 간의 영향을 설명하는 8개의 가설에 대한 검 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잠재적 흡수능력은 ERP 사용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다.

조직 구성원이 ERP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을 획득하고 해석하며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잠재적 흡수능력과 ERP 사용성과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 1의 경로계수 값이 –0.110(t=1.269)으로 나 타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가설 1을 기각하였다.

가설 2. 실현된 흡수능력은 ERP 사용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다.

조직 구성원이 ERP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한 지식을 발전시키고 업무에 적용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실현된 흡수능력과 ERP 사용성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 2의 경로계수 값은 0.547(t=6.379)로 나타나 유의수준

0.001에서 유의하였다. 이에 가설 2를 채택하였다.

가설 3. 잠재적 흡수능력은 실현된 흡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직 구성원의 잠재적 흡수능력과 실현된 흡수능력을 설명하는 가설 3 의 경로계수 값은 0.515(t=6.833)로 유의수준 0.001에서 유의하게 나타났 다. 이에 가설 3을 채택하였다.

가설 4a. 능력중심 선발은 잠재적 흡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다.

인적자원관리 구성 요소 중 능력중심 선발과 조직 구성원의 잠재적 흡 수능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 4a의 경로계수 값은 0.084(t=0.941)로 통 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4a를 기각하였다.

가설 4b. 다양한 교육훈련은 잠재적 흡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양한 교육훈련과 조직 구성원의 잠재적 흡수능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 4b의 경로계수 값은 0.384(t=3.759)로 유의수준 0.001에서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4b를 채택하였다.

가설 4c. 성과지향 평가는 잠재적 흡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다.

성과지향 평가와 조직 구성원의 잠재적 흡수능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 설 4c의 경로계수 값은 0.200(t=2.066)으로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4b를 채택하였다.

가설 5a. 성과중심 보상은 실현된 흡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다.

성과중심 보상과 조직 구성원의 실현된 흡수능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 설 5a의 경로계수 값은 0.178(t=2.651)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것으

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5a를 채택하였다.

가설 5b. 정보공유는 실현된 흡수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정보공유와 조직 구성원의 실현된 흡수능력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 5b의 경로계수 값은 0.192(t=2.803)로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가설 5b를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가설 검증 결과는 <표 12>와 같이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가 설 경 로 경로계수 t 값 유의수준 검증결과

가설 1 PAC→PER -0.110 1.269 - 기각 가설 2 RAC→PER 0.547 6.379 p〈0.001 채택 가설 3 PAC→RAC 0.515 6.833 p〈0.001 채택

가설 4

a SEL→PAC 0.084 0.941 - 기각 b TRA→PAC 0.384 3.759 p〈0.001 채택 c APP→PAC 0.200 2.066 p〈0.05 채택

가설 5 a COM→RAC 0.178 2.651 p〈0.01 채택 b ICO→RAC 0.192 2.803 p〈0.01 채택

<표 12> 가설검증 결과

제 6 장 연구 결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