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다고 본 선행 연구(모경환 외, 2015; 구정화 외, 2015; 박철웅 외, 2015; 이혁규 외, 2019; 이정우, 임은진, 2019; 박은아, 김명정, 2018)와 직 무 연수가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본 선행 연구(황흠 외, 2016 ;김찬종, 2009; 황준오, 정철영, 1998)를 토대로 ‘통합사회’ 직무 연 수 경험 여부를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효능감’이라는 잠재변인 에 대한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통합사회’ 직무 연수 경험은 참여한 경우 ‘1’, 참여하지 않은 경우 ‘0’으로 코딩하였다.
[그림 Ⅳ-1]의 구조 관계 분석을 위해 설계된 연구 모형에 대한 적합 도는 다음 <표 Ⅳ-6>과 같다.
<표 Ⅳ-6> 연구 모형의 적합도 지수
**p<.01 먼저 Chi-square()값이 유의수준 .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모형이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완벽하게 설명한다는 영가설을 기 각하였다. 그러나 검증은 사례 수에 민감하므로 다른 적합도 지수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TLI와 CFI의 값이 .9이상이 면 연구자가 설정한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다고 해석한다(우종필, 2017). 연구 모형의 경우 TLI는 .935, CFI는 .953으로 나타나 양호한 적 합도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표본의 크기에 영향을 가장 덜 받는 지수인 RMSEA는 일반적으로 .05 이하면 매우 좋으며, .08 이하면 양호 하고, .1 이하면 보통인 것으로 판단한다(우종필, 2017). 연구 모형의 RMSEA는 .063으로 양호한 수준의 적합도를 나타냈다.
다음 <표 Ⅳ-7>은 구조 관계 분석 모형의 모수 추정치에 대한 결과 이다.
(df) TLI CFI RMSEA(90%신뢰구간) 73.10(40)** .935 .953 .063(.040-.086)
<표 Ⅳ-7> 연구 모형의 모수 추정치
*p<.05, **p<.01, ***p<.001
모수 비표준화
계수
표준화 계수
구 조 계 수
학교풍토의
개방성 → 교사효능감 .203** .354 학교풍토의
개방성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219* .223
교사효능감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440** .258 직무 연수 경험 → 교사효능감 -.031 -.046 직무 연수 경험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298*** .257
요 인 부 하 량
학교풍토의
개방성 → 지원적 행동 1.000 .724 학교풍토의
개방성 → 지시적 행동 .859*** .694 학교풍토의
개방성 → 열성적 행동 .811*** .673 학교풍토의
개방성 → 간섭적 행동 .631*** .574 교사효능감 → 자기 조절 효능감 1.000 .602 교사효능감 → 자신감 1.288*** .635 교사효능감 → 과제 난이도 선호 1.559*** .947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 수업 및 평가
계획 1.000 .818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 수업 및 평가
실행 1.014*** .892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 실행 결과 성찰 및
환류 .731*** .678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사회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풍토의 개방성, 교사 효능감,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간 구조 관계 분석 결과,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가 .354로 통계 적으로 유의하였다(p<.01). 또한 교사효능감이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 .258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p<.01). 학교풍토의 개방성과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간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로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 .223으로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p<.05).
이를 근거로 하여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교사효능감과 ‘통합사회’ 교육 과정 실행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사효능감 역 시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 였다. 또한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영향(표준화 계수=.258)이 학교풍토의 개방성의 영향(표준화계수=.223)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을 통해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의 크 기를 비교할 수 있다. 직접효과는 한 변인이 다른 변인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며, 간접효과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 이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에 의해 매개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의 합을 총효과라고 한다. 직접효과는 경로계수와 동일 한 값을 가지며, 간접효과는 간접효과의 경로에 포함되는 표준화 계수들 의 곱으로 계산된다. 총효과를 간접효과와 직접효과로 분해하는 것을 효 과분해라고 한다(배병렬, 2018).
이 연구 모형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 <표 Ⅳ-8>과 같다.
매개효과에 대한 판단은 우선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에 대하여 간접효과가 유의하게 나올 경우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고 간접효과만 유의하게 나올 경우 완전매개를 의미하며, 직 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동시에 유의하게 나타나면 불완전 매개(부분매개) 를 의미한다(우종필, 2017).
먼저 사회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091(.354×.258)로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통합사 회’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22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p<.05). 즉, 학교풍토의 개방성은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직접적으 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불완전 매개효과를 가진다.
반면 ‘통합사회’ 직무 연수 경험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통합사회’ 교 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012(-.046×.258)로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8> 매개효과 분석 결과
1) *p<.05, **p<.01, ***p<.001 2) 수치는 표준화계수임
경로유형 경로 직접
효과
간접 효과
총 학교풍토의 효과
개방성
→ 교사효능감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독립-매개 학교풍토의 개방성 →
교사효능감 .354** .354**
매개-종속 교사효능감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258** .258**
독립-종속 학교풍토의 개방성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223* .091* .314***
직무 연수 경험
→ 교사효능감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독립-매개 직무 연수 경험 →
교사효능감 -.046 -.046 매개-종속 교사효능감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258** .258**
독립-종속 직무 연수 경험 →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257*** -.012 .245**
연구 모형에서 추정된 계수를 토대로 변수 간 관계를 도식화하면 [그 림 Ⅳ-2]와 같다. 모형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로를 나타내며, 점선으로 표시된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 로를 나타낸다.
1) *p<.05, **p<.01, ***p<.001 2) 괄호 안의 수치는 표준화계수임
[그림 Ⅳ-2] 연구 모형의 분석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