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수업 및 평가 계획’, ‘수업 및 평가 실행’, ‘실행 결과 성찰 및 환류’의 세 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눠지며, ‘수업 및 평가 계획’ 3문항, ‘수업 및 평가 실행’ 4문항, ‘실행 결과 성찰 및 환류’ 3문항의 총 10문항으로 구성 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각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세 척도 모두 비교적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냈으며, 신뢰도 검증 결과 또 한 문항 내적일치도 계수(Cronbach’s
α
)가 모두 양호한 수준으로 제시되 었다. 이 연구에서는 제작된 척도를 활용하여 ‘통합사회’ 과목을 현재 담 당하고 있거나, 담당한 적이 있는 사회과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결과 분석은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06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하였다.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풍토의 개방성은 교사효능감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풍토의 개방성과 교사효능감 의 상관계수는 .3606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교풍토의 개방성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열성적 행동’의 상관계수가 .3254로 다른 하위 영역에 비 해 교사효능감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 과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 가 .35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둘째, 사회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풍토의 개방성은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풍토의 개방성과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의 상관계수는 .2617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 교풍토의 개방성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간섭적 행동’의 상관계수가 .2275로 다른 하위 영역에 비해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통합 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가 .223으로 통계 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셋째, 사회과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과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의 상관계수는 .3033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학교풍토의 개방성의 하위 영역 중에서는 ‘자기 조절 효능감’의 상관계수가 .3474로 다른 하위 영역에 비해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구조 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교사효능감이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가 .25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p<.01).
넷째, 사회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풍토의 개방성은 교사효능감을 매개 로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간접효과(학교풍토의 개방성
→교사효능감→‘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표준화 계수가 .09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이때 학교풍토의 개방성이 ‘통합사회’ 교 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직접효과도 유의하였으므로(p<.05) 교사효능감이 학교풍토의 개방성과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를 불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통제 변인으로 설정한 ‘통합사회’ 직무 연수 경험의 경우 ‘통합 사회’ 교육과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 .257로 통계적 으로 유의하였으나(p<.001),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