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 국내외 대학의 국제화교육 현황 및 쟁점
4. 국내외 사례분석의 시사점
대학들의 out-bound 국제화 정책에 못지않게 in-bound 국제화 정책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대학평가에서 관련 지표들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면서 동시에 in-bound 국 제화 환경이 한국인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in-bound 국제화 환경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 하려면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을 연계한 통합적 모델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제화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도에서, 국내외 대학의 사례에서 찾은 몇 가지 쟁점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1) 국제화 교육의 목표와 철학의 모호성
앞서 밝힌바와 같이 국제화 교육의 정의는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대학마다 적절한 목 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제화 교육의 목표는 다음과 같이 구제적인 사항들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구성, 교육언어, 국제표준(인증) 교육과정 및 평 가 적용여부 등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 누구를 대상으로 할 것인가 ? 한국학생 혹은 외국 유학생 포함 - 어떠한 인간을 육성할 것인가 ? 국민 혹은 세계인
- 무엇을 위한 교육을 할 것인가 (교육결과의 활용 범위) ? 국내 취업 혹은 해외 취업 21세기 들어 국내 주요 대학 대부분은 국제화 역량을 학부교육의 중요한 목표중 하나로 밝 히고 있으나 대부분 그 목표가 ‘글로벌리더 양성’ 등과 같은 모호한 선언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2) 교과목의 다양성과 균형 부족
글로벌 역량강화, 세계 시민 육성 등의 교육목표에 따라 국제화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 과목이 주로 교양필수 영역과 선택 영역 다수 개설되어 있으나, 목표가 불분명하거나 혹은 국 제화 교육에 적합하지 않는 과목들이 개설된 예도 있고, 충분히 다양하지는 못한 측면이 있 다. 외국어의 경우에도 서울대학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영어이외는 외국어는 선택영역에 편
성되어 교양필수영역에서 영어 이외의 다른 언어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편성되어 있다.
(3) 강의 언어의 문제
국내 현황
- 대부분 한국어 사용이나 최근 영어 사용 강좌가 증가하고 있음 - 모든 외국인유학생들은 한국어 사용이 준비되어 있지 않음 - 영미권 학생들의 경우 영어 강의가 적절하지 못한 측면이 있음
- 중국을 비롯한 몇몇 국가의 경우 영어강의를 전혀 따라갈 수 없는 경우 발생
영어 운영 강좌의 장단점
- 국제적인 학생 유치에 유리, 외국인 유학생들 적응에도 유리 - 한국만의 특색을 가르치기는 어려움
- 굳이 한국 대학에 와서 영어로 수업을 들어야할 이유와 설득력 부족
- 중국 등 특정 지역 학생들의 경우, 영어 구사가 어려움. 결과적으로 소통능력 부재,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로 새롭게 구성해야할 필요성 제기
한국어 운영 강좌의 장단점
- 한국과 한국문화를 배우러 온 학생의 경우 한국어 강좌에 강점이 있음 - 한국과 한국문화를 배우러 온 학생이 상대적으로 적음
(4) 외국인 전용반 혹은 전용교과목
필요성
- 한국인 학생과 외국 유학생들 사이 학업능력 및 한국어 능력의 차이가 큼 - 외국인의 눈높이에 맞춘 교육 방법과 철학에 대한 요구
- 주로 1학년, 2학년 기초과목이나 교양과목에 개설, 고학년, 전공영역에서는 다른 재학생과
같은 과목 수강하도록 함
- 외국인 학생의 자발적 선택. 능력에 맞춰 한국인 정규반으로 이동 가능
외국인 전용반 운영의 장단점
- 진정한 의미의 외국 유학의 목적이 줄어들거나 퇴색할 가능성이 있음
- 학생 개인의 선택에 따른 결과이기는 하지만, 수동적 선택으로 일관할 가능성도 있음(학 점, 취업 등의 문제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외국인 전용반만 수강할 경우) - 외국인 전용반을 운영할 우수한 교수자 영입의 어려움
- 각급 학교내에서 외국인이라는 소수를 목적으로 강좌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 운영하는 데 따른 각종 문제점 발생 가능성이 있음.
중국
- 교육과정에 행렬, 지수, 로그 등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벡터도 기본적인 내용만 다룸. 전 체 교육과정에서 삼각함수의 비중이 제일 큼
- ‘미분 적분학'이 고교과정에 없거나, 있는 경우에도 고등학교에서 수업을 거의 진행하지
않음
- 우리나라에서 중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유클리드 기하학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되 어 있고 이를 논리적인 추론을 훈련하는 데에 활용되고 있음.
- 선택 교육과정에 포함된 단원들은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미래의 학습 계획에 따라 원 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는 것들로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33).
미국 (캘리포니아 주)
- Algebra(대수)와 Trigonometry (삼각함수)을 포함한 Pre-Calculus (Algebra3 또는
Introduction to Analysis라고도 함)를 다룸. 이 교과목에 미적분학(Calculus) 내용은 포함 되지 않음.
- hornor level의 학생들은 원추곡선, 벡터 등 calculus와 관련된 내용을 더 배우고, 대학
(5) 이공계 유학생들의 수학·기초과학 학업능력의 문제
현황
- 이공계 전공의 유학생들이 주로 1학년에 수강하는 수학(주로 미적분학) 및 기초과학 교과 목 학습의 어려움 발생
- 가장 중요한 이유는 중등교육과정의 차이이며, 이는 국가별 교육과정의 목표가 다르기 때문 - 특히 수학의 학습능력은 대학 수학뿐 아니라 물리학과 화학의 학습능력에도 중요한 영향
을 둠32)
- 국가별 교육과정의 차이는 교육과정의 목표가 다르기 때문임
중등교육과정: 수학 (별첨 2. 표1 참조)
-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들 (중국, 미국, 영국 포함) 고등학교 과정에서 미분법, 적분 법을 가르치지 않거나 기초수준의 미적분만 다룸.
- 많은 나라의 경우, 우리나라와 교과과정의 목표가 다름. 중국은 논리적 사고의 배양, 미국 은 수학적 자질의 함양.
- 일본을 제외한 국가에서 중등과정을 이수한 유학생들이 국내 대학의 이공계에 입학할 경 우 대학수준의 수학을 학습하는데 어려움이 예상됨.
32) Mittag KC, Mason D (1999) Cultural factors in science-variables affecting achievement.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8(5): 307-310; McFate CL (1997) Predicting success in general chemistry: The CSU Fullerton general chemistry placement test. Unpublished dissertation for MS degree,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
진학자들은 목표에 따라 행렬을 배우기도 함.
- 예를 들어, 뉴욕 Rockland County 소재 Clarkstown High School South의 고급반 수준 의 학생의 경우MATH 1, MATH 2, MATH3, MATH 12 등을 이수. MATH 1,2,3 MATH 12에선, 대수(algebra) 1 & 2, 기하학, 삼각법(trigonometry), 기초 미적분학(Pre-Calculus), 통계학 등을 배웠는데 통계학은 기초적인 내용만 배움.
- 전반적으로 미국에서 보통학생들이 듣는 수학과정범위는 우리나라 10-가, 10-나, 수1 (+
수2 일부분) 정도 되지만, 깊이와 난이도는 많은 경우, 특히 Algebra 1을 포함하여 중학 교 수준 정도에 해당.
- 별첨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수열을 배워도 응용을 해서 등차수열, 등비수열, 계차수열, 수열의합, 여러 가지 수열, 수학적 귀납법, 알고리즘, 수열의 극한, 무한급수를 모두 배우지만, 보통 미국수학과정에선 수열의 정의와 몇 개의 공식만 알면 충분함.
- 미분, 적분을 배우지 않는 경우가 많고, 배운다 하더라도 그 범위와 난이도는 우리나라의 교육과정과 차이가 있음. AP Calculus (AP 미적분)의 경우에도 우리나라 ‘미분과 적분’
범위와 비슷하지만 난이도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미적분학 보다 더 낮음.
기타 국가들
- 영국은 고등학교 수학은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집합 , 복소수, 절대부등식, 유리함수와 무 리함수, 행렬, 로그, 계차수열, 수학적 귀납법, 분수방정식, 무리방정식, 고차부등식, 분수 부등식, 미분, 적분 등을 가르치지 않음.34)
- 일본의 고등학교 수학의 내용은 우리나라와 거의 비슷함. 고등학교 수학에서 미분적분 학을 다룸.35)
중등교육과정 :과학 (별첨 표2-4 참조)36)
- 미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물리 교과과정은 우리나라와 차이가 크기 때문에 외국 유학생이 대학 물리학을 수강하는데 어려움이 예상됨.
- 중국과 미국의 화학과 생물의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아 대학 수준의 일반 생물학을 이수하는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됨.
- 그러나 대학수준의 물리학과 화학에 필요한 수준의 수학을 배우지 않은데서 기인하는 어 려움은 예상할 수 있음.
33) 박경미 (2004) 중국 수학 교육과정의 내용과 구성 방식의 특징. 대한수학교육학외지 <학교수학> 6(2): 119-134.
34) 황혜정, 신항균 (2002) 영국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 육 41 (3): 233 - 256
35) 그 이유로 대수기하의 대가들 (코다이라, 히로나카, 모리 등 필즈메달 수상자)을 배출한 전통과 관계가 있을 것 으로 간주되기도 함.
36)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http://ncic.re.kr)
중국
- 고등학교 물리는 주로 역학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어 있고, 선택 과목에서는 전기와 자 리를 일상생활과 연관지여 배울 수 있도록 함
- 고등학교 화학은 실험요소와 기초적인 내용을 강조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내용은 우리와 차이가 없음
- 고등학교 생물과목은 생태학과 생물 종 보호를 강조하여 생태학 관련 단원 내용을 구성 - 고등학교 물리, 화학, 생물의 내용이 우리나라와 비슷한 경우에도 난이도는 낮으나 차이
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임
미국
- 고등학교 물리 교과의 목표는 물리학의 기초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며, 내용면에서는 우 리나라와 비교하면 시공간, 우주, 정보와 통신, 미시세계와 양자현상 등이 빠져있고, 전 반적으로 범위 (breadth)가 넓어도 다루는 내용의 깊이(depth)는 우리나라의 경우와 비교 해서 떨어짐.
-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은 우리나라와 큰 차이는 없으나, 유기화학, 생화학, 핵반응 등이 포함되어 있음.
- 고등학교 생물학의 내용은 우리나라와 차이가 없음.
- 물리, 화학, 생물 교과목에 실험이 포함되어 있고, 용어 숙지 및 교과서 내용 이해 만으 로도 충분히 교과목을 이수할 수 있음
- 물리, 화학, 생물의 AP 과정은 우리나라 물리 1/2, 화학 1/2 및 생명과학 1/2와 내용구 성면에서 유사하나, 난이도는 약간 낮은 수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