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V. 국제화교육에 대한 대학생 인식조사

5. 조사 결과

1) 국제화 교육 수업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서 수강했던 국제화 교육과 관련된 수업을 중복 응답으로 적도록 했 다. 본 설문에서 국제화 교육은 국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프로그램으로 문화나 인종, 국 가의 경계를 넘어서서 국제적인 차원이나 관점을 통합시키는 것을 의미함을 명시하였다. 따라 서 지역 연구 및 문화, 인종과 민족 문제, 외국어 강좌 등의 국제이해교육과 외국학생과의 교 류가 있는 학생자치활동이 모두 포함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국제화 교육은 국내대학에서 이루어진 것만으로 한정하였으며, 교환학생이나 해외 어학연수 등 해외로 가서 이수하는 국가 간 교류 프로그램은 포함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국내 대학에서의 국제화 교육에 대해 질문하 고자 하였다.

설문결과 거의 모든 대학에서 필수로 지정하고 있는 교양영어가 학생들이 가장 많이 수강하 는 과목으로 나타났다. 일본어, 중국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등의 교양외국어 수업 수강도 어

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외국어를 제외한 교양 교과목으로는 새롭게 읽는 동아시아, 동 남아시아 유비쿼터스, 동아시아의이해 , 문화커뮤니케이션, 서양역사와문화 세계지역의이해, 문화DNA, 국제개발협력의이해, 글로벌경제환경의 이해 등이 있었다. 전공은 최근 영어 강좌 의 증가로 많은 학생들이 영어로 개설된 전공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2> 재학중인 대학에서 수강했던 국제화 교육 수업

교과목 Frequency %

① 교양영어 759 48.9

② 교양외국어 256 16.5

③ 외국어를 제외한 교양 271 17.5

④ 전공 265 17.1

Total 1551 100

2) 외국인 학생과의 교류 경험

외국인 학생과의 교류 경험 현황

재학중인 대학에서 외국 학생들과 교류해 본 경험 여부를 질문하였다. 46.7%의 학생들이 교 류해 본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외국인 학생들과 교류하였 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의도적으로 글로벌 교육 동아리 학생들을 설문 대상으로 포함하였으므로 일반적인 학생을 대상으로 현황을 파악한다면, 이보다는 적은 학생 들이 경험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표 Ⅳ-3> 재학 중인 대학의 외국 학생들과 교류해 본 경험 여부

응답 Frequency %

있다 466 46.7

없다 532 53.3

Total 998 100

외국인 학생들과의 교류 현황에 대한 나머지 문항들은 앞 문항에서 외국학생들과 교류 경험 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의 자료만 분석하였다.

외국학생들과 함께 수강했던 수업에 대해 중복응답하도록 질문한 결과 전공 수업(48.3%)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4> 외국 학생들과 함께 한 수업

교과목 Frequency %

① 교양영어 111 19.6

② 교양외국어 50 8.9

③ 외국어를 제외한 교양 131 23.2

④ 전공 273 48.3

Total 565 100

교류했던 외국학생은 동양권 학생이 77%인 것으로 나타나서 최근 중국인 학생이 많은 것을 반영하고 있다.

<표 Ⅳ-5> 교류했던 외국 학생 출신국

응답 Frequency %

동양권 364 77.0

서양권 109 23.0

Total 473 100

현재 재학중인 대학에서 몇 명의 외국인 학생 친구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서는 1-2명(39.6%) 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6> 현재 재학 중인 대학에 있는 외국 학생 친구 수

응답 Frequency %

없다 146 28.6

1~2 202 39.6

3명이상 162 31.8

Total 510 100

외국인 학생들과의 교류 경험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졌는가를 질문한 결과 수업을 함께 수강 하고(89.7%), 수업외에 대화를 나누는 것(82.1%)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팀과제 수행(59.1%)과 소그룹 토론(52.4%)을 통한 교류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동아리 활동을 함께 하거나(34.9%), 문화활동을 함께 하는 것(26.9%)은 더 적게 이루어지고 있 어서 수업과 관련되지 않은 문화 교류와 친교하는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Ⅳ-7> 외국인 학생과의 다양한 교류 경험 여부

문항 예 아니오 Total

5 대학에서 외국 학생들과 수업 수강 457 (89.7%) 53 (10.3%) 510 (100%) 6 외국학생들과 소그룹 토론에 참여 267 (52.4%) 243 (47.6%) 510 (100%) 7 외국학생들과 팀과제(group project) 수행 301 (59.1%) 208 (40.9%) 509 (100%) 8 외국학생들과 수업 외에 대화를 나눔 418 (82.1%) 91 (17.9%) 509 (100%) 9 외국학생들과 아르바이트 등 함께 일함 41 (8.0%) 467 (92.0%) 508 (100%) 10 외국학생들과 동아리활동을 함께 함 177 (34.9%) 330 (65.1%) 507 (100%) 11 외국학생들과 영화, 연극 등 문화활동을 함께 함 136 (26.9%) 370 (73.1%) 506 (100%)

해외 거주경험에 따른 외국학생 교류 경험 차이 분석

학생들은 외국학생과의 교류 경험에 대한 만족도와 이로 인한 자신감, 그리고 이러한 교류 경험이 개인적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외국학생들과 친구

가 되고 교류하고 싶다는 점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의견을 보였다. 그러나 외국학생들의 한국 어 수준과 동기부여 수준에 대해서는 낮은 평가를 보여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공부하는 외국 인 학생들이 학업적으로 충분히 동기 부여가 되어 있지 못하고 한국어 수준이 높지 못한 것 은 앞으로 외국학생들과 긍정적인 교류경험을 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성장과정에서 해외 거주 경험 여부에 따라 외국학생 교류 경험에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해본 결과 외국학생상호경험편안, 외국학생과 교류행사나 활동의 참여 소망, 외국학생과 친구소망, 외국학생과 졸업 후 일하고 싶음 등의 4개 문항에서 거주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더 높은 평 균 점수를 나타냈다. 해외 거주 경험이 있는 것은 외국학생들과의 교류에 있어서 개방적 태도 를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외국학생들과의 교류경험에 대한 만족도나 외국학 생들에 대한 인식에서는 해외 거주 경험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Ⅳ-8> 해외 거주경험에 따른 외국학생 교류 경험 차이 분석

평균 표준편차 경험있음 경험없음 T(유의확률) 외국학생교류경험만족 3.47 .903 3.50(.896) 3.37(.935) 1.330(.184) 외국학생상호경험편안 3.22 .895 3.39(.910) 3.09(.892) 3.289(.001) 외국학생과의 교류 경험이 외국인과의

교류에서의 자신감 상승에 기여 3.47 .966 3.56(.923) 3.38(.995) 1.931(.054) 외국학생교류가 개인적 성장에 기여 3.62 .965 3.63(.992) 3.58(.967) .516(.606) 외국학생의 동기부여 및 학업성취도 2.79 .969 2.80(1.016) 2.76(.948) .406(.685) 외국학생들의 한국어수준 3.02 .996 3.15(1.014) 3.01(.996) 1.394(.164) 외국학생들만의 교류 3.54 .942 3.60(.906) 3.51(.963) 1.008(.314) 사회적 학문적 이득을 위한

외국학생의 한국학생과의 교류정도 2.71 .852 2.79(.924) 2.69(.831) 1.174(.241) 외국학생의 한국문화 적응 필요성 3.77 .783 3.78(.787) 3.78(.788) .093(.926) 외국학생과의 언어적 문제 3.01 .964 3.04(.951) 3.03(.975) .093(.926) 외국학생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인식 2.21 .921 1.99(.932) 2.06(.894) -1.021(.307)

외국학생과 교류행사나 활동의 참여

소망 3.75 .878 3.91(.891) 3.69(.888) 3.237(.001) 외국학생과 친구소망 3.94 .819 4.01(.893) 3.89(.863) 2.185(.029) 외국학생과 졸업 후 일하고 싶음 3.65 .899 3.77(.937) 3.52(.900) 3.634(.000)

제곱합 df 평균

제곱 F 유의

확률 Schéffe 사후검증

외국학생교류경험만족

집단-간 4.067 3 1.356 1.639 .180

집단-내 280.458 339 .827    

합계 284.525 342      

외국학생상호경험편안

집단-간 4.291 3 1.430 1.781 .151

집단-내 273.148 340 .803    

합계 277.439 343      

외국학생과의 교류 경험이 외국인과의 교류에서의 자신감

상승에 기여

집단-간 5.811 3 1.937 2.133 .096

집단-내 307.816 339 .908    

합계 313.627 342      

외국학생교류가 개인적 성장에 기여

집단-간 5.492 3 1.831 2.138 .095

집단-내 290.222 339 .856    

합계 295.714 342      

외국학생의 동기부여 및 학업성취도

집단-간 4.010 3 1.337 1.412 .239

집단-내 321.917 340 .947    

합계 325.927 343      

외국학생들의 한국어수준

집단-간 9.487 3 3.162 3.293 .021 1,3>4

집단-내 325.522 339 .960    

합계 335.009 342      

외국학생들만의 교류

집단-간 6.375 3 2.125 2.365 .071

집단-내 302.816 337 .899    

합계 309.191 340      

사회적 학문적 이득을 위한 외국학생의 한국학생과의

교류정도

집단-간 2.686 3 .895 1.244 .294

집단-내 242.493 337 .720    

합계 245.179 340      

교환학생, 해외연수와 동아리 경험에 따른 외국학생 교류 경험 차이 분석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학에 입학한 후의 교환학생, 해외연수, 글로벌 동아리의 경험

에 따라 외국학생 교류 경험은 몇 개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환학생, 해외연수 와 글로벌 동아리를 모두 경험하거나 글로벌 동아리만 경험한 학생들은 그런 경험을 하지 않 은 학생들보다 외국학생들이 한국어를 못한다고 보고하고 있었다. 교환학생, 해외연수와 글로 벌 동아리를 모두 경험하거나 둘 중 하나를 경험한 학생들은 그런 경험을 하지 않은 학생들 보다 외국학생들보다 친구가 되고 싶어 하며, 교환학생, 해외연수와 글로벌 동아리를 모두 경 험한 학생들은 그런 경험을 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졸업후 외국 학생들과 함께 일하고 싶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표 Ⅳ-9> 교환학생, 해외연수와 동아리 경험에 따른 외국학생 교류 경험 차이 분석

제곱합 df 평균

제곱 F 유의

확률

Schéffe 사후검증

외국학생의 한국문화 적응 필요성

집단-간 1.639 3 .546 .954 .414

집단-내 195.771 342 .572    

합계 197.410 345      

외국학생과의 언어적 문제

집단-간 1.283 3 .428 .454 .715

집단-내 321.575 341 .943    

합계 322.858 344      

외국학생에 대한 편견과 사회적 인식

집단-간 5.411 3 1.804 2.180 .089

집단-내 495.608 599 .827    

합계 501.018 602      

외국학생과 교류행사나 활동의 참여 소망

집단-간 4.480 3 1.493 2.010 .111

집단-내 445.752 600 .743    

합계 450.232 603      

외국학생과 친구소망

집단-간 7.932 3 2.644 3.649 .013 1,2,3>4

집단-내 434.809 600 .725    

합계 442.742 603      

외국학생과 졸업 후 일하고 싶음

집단-간 11.925 3 3.975 5.007 .002 1>4

집단-내 476.345 600 .794    

합계 488.270 603      

제곱합 df 평균

제곱 거짓 유의 확률

Schéffe 사후검증

외국학생교류경험만족

집단-간 1.880 2 .940 1.093 .336 집단-내 403.374 469 .860    

합계 405.254 471      

* 사후검증: 1=교환학생, 연수와 글로벌 동아리 모두경험, 2=교환학생이나 연수만 경험, 3= 글로벌 동아 리만 경험, 4=경험없음

영어수준에 따른 외국학생 교류 경험 차이 분석

<표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학에 영어수준에 따라 외국학생 교류 경험은 몇 개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어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영어수준이 낮은 학생들보다 외국학생상 호경험편안, 외국학생과의 교류에 있어서 언어적 문제, 외국학생과 교류행사나 활동의 참여 소망, 외국학생과 친구소망, 외국학생과 졸업 후 일하고 싶음 등의 문항에서 더 높은 평균 점 수를 나타냈다. 외국 학생들과 교류하는 것에 개방적인 태도를 가지는데 영어 수준이 매우 중 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Ⅳ-10> 영어수준에 따른 외국학생 교류 경험 차이 분석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