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3 국내·외 부두시설 개발 현황

2.3.1 국내 부두시설 개발 현황

국내 항만시설은 변화하는 국제적 항만물류의 흐름에 따라 10년 단위로 수립 되는 항만기본계획에 의해 개발되고 있으며, 항만기본계획은 항만법 제6조에 따라 항만의 지정 및 변경, 항만의 관리·운영 계획, 항만시설의 장래 수요, 항 만시설 공급, 항만시설 규모와 개발 시기, 항만시설 기능개선 및 정비 등의 내 용을 포함하고 있다.

제1차 항만기본계획은 1992∼2001년에 적용되었으며, 지속적인 항만시설 부 족과 해상화물량 급증에 따라 권역별로 특화하여 종합화물 유통기능으로서의 충분한 항만시설을 확충하였다. 제2차 항만기본계획은 2002∼2011년에 적용되 었으며, 컨테이너 운송이 발달되어 한반도의 지리적 장점을 이용한 수요창출형 허브항을 육성하였고, 지역별 거점항만 개발을 추진하였다. 제3차 항만기본계획 은 2011∼2020년에 적용되고 있으며, 동북아 경제의 중요성 증가와 항만 기능 다양화 요구에 따라 물류, 제조, 상업, 친수, 재해방지 등 항만 기능을 다양화하 였다. 현재는 제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을 수립하여 2016∼2020년까지 7개 의 세부 추진 과제에 따라 항만시설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세계 경제가 저성 장 시대에 진입되고 주요 항만간 허브항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지속가능한 친환경 항만 시스템과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항만을 구축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100년간 연강수량이 19% 증가하였으며, 세계 평균과 비교하 여 기온은 100년간 2배 빠르게 상승하였고, 해수면은 40년간 3배 빠르게 상승 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항만 배후에 생활권이 밀집되어 있고, 제철·석유 화학·자동차 등 국가기간산업시설이 항만에 위치해 있어 항만 방재기능 강화 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비한 항만 방재기능을 강화하고 항만 및 배후권역의 상습적인 침수피해 방지의 일환으로 상습침수 지역이나 대규모 피해예상지역 등을 재해 취약 지구로 선정하고, 피해가 반복되는 지역에 대해서는 방재언덕

등 재해방지 인프라 및 해수유입을 차단하는 선진 방재시설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므로 2011년부터 2030년까지 마산항, 부산항, 삼척항, 목포항, 군산항 등 22개항에 방재언덕 등 침수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며, 그 예산규모는 약 1.2조원 정도이다(해양수산부, 2016).

대표적으로 군산항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및 폭풍해일에 대비하고 연안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총 공사비 174억원을 투입하여 2020년 2월 준공을 목표로 Fig. 10과 같이 방호시설(방호벽)을 설치하고 있다.

설치범위는 방호벽 7.92km, 방호문 23개소, 매립 9,192m²으로 침수방지 대비 방호벽 설치와 기존 물양장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매립 부지 전면에 신규 물양 장을 설치하고 연안 유휴부지 및 매립지를 연계하는 다목적 친수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해양수산부, 2015).

Fig. 10 Construction plan of protective facility in Gunsan harbour 출처 : 해양수산부

또한, 최근 해수면 증가에 따라 태풍 강도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고려 하여 연안시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파제 보강 및 선박 피항 여건 확보를 위한 외곽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약 1.3조원을 투자하여 울산항, 부산항, 삼천포항 등 71개소에 방파제 보강을 실시하고 있다. 2017년 6 월에 개최된 2017 항만분야 투자설명회 기준, 71개소 중 28개소는 준공되었고, 24개소는 추진 중이며 19개소는 계획 중이다.

이에 따라 Fig. 11과 같이 현재 부산항은 조도방파제 700m, 오륙도 방파제

1,004m로 북항 방파제 총 1,704m를 보강 중에 있으며, 울산항은 울산본항 방파 제 646m, 울산신항 방파제 2,100m로 총 2,746m를 보강 중에 있다(해양수산부, 2016). 그러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선박 계류 및 월파 방지에 기본적인 부두 마 루높이 상향공사는 구체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Busan

Ulsan

Fig. 11 General plan of break water reinforcement 출처 : 해양수산부

2.3.2 국외 부두시설 개발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