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3 국내·외 부두시설 개발 현황

2.3.2 국외 부두시설 개발 현황

2.3.2 국외 부두시설 개발 현황

Fig. 12 Range of predicted sea level rise through 2100 출처 :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Fig. 13 Projected water surface levels at the port of San Francisco 출처 : 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이에 따라 해수면 상승에 따른 샌프란시스코 항만 프로젝트의 적응전략은 Table 6과 같다. 대표적으로 Brannan Street Wharf 프로젝트는 2013년에 완료 되었으며, 16inch 정도의 해수면 상승에 대비하여 월파를 방지할 수 있도록 부

두를 보강하였으며, 66inch의 해수면 상승에서 파도 및 조류의 힘에 적응할 수 있는 부두 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Downtown Ferry Terminal은 2016년 건설 을 시작하였으며, 2065년에서 2100년까지의 해수면 상승에 적응하기 위하여 Ferry Terminal의 바닥 마감재 높이를 11.5feet에서 14.5feet로 상향하여 설계하 였다(City and County of San Francisco, 2016).

Project SLR Adaptation strategies

Bayfront Park - Raise shoreline with rip rap edge to adapt to 16”

of sea level rise Brannan Street

Wharf

- No wave overtopping 16”of sea level rise; design deck supporting park for wave and current forces for 66”of sea level rise w/adaptive capacity

Downtown Ferry Terminal

- Elevate to 14.5’NAVD 88 to address sea level rise through 2065 (50 year design life) with adaptive capacity through 2100

Crane Cove Park

- Redesigned shoreline to accommodate 28”of sea level rise with occasional flooding through 2065

Pier 1

- Pier deck elevation remains the same; tenant assumes responsibility for flood safety including interventions including raising utilities and short flood walls.

Pier 70 Waterfront Site

- Raise site to accommodate 66”of sea level rise;

Bay Trail will flood earlier. Includes adaptive management funding measures.

Seawall Lot 337

- Raise building pads and streets to accommodate 55”of sea level rise plus 100 Year Flood, with grading down to existing elevations along 3rd Street and Terry Francois Boulevard. Examine near term improvements to Pier 48 and adaptation strategies Table 6 Past and planned port project SLR adaption strategies

출처 : San Francisco Sea Level Rise Action Plan

2) 영국 사우샘프턴

영국 정부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보호를 위해 영국의 저탄소 변화 계획 (Low Carbon Transition Plan)을 수립하여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 년 수준의 34%로 감축시키고자 하며, 2050년까지 80% 감축을 목표로 설정하였 다. 이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항만산업이 직면한 범람과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으며, 그 외에 해수면 상승, 조석 증가, 극도의 파고, 도시 범람 등을 야기할 수 있다. 항만의 범람은 배수 시설, 지표수 배수 및 하수도 시스템을 포함한 배 수 시설의 용량을 압도함으로써 생길 수 있으며, 사우샘프턴 항구의 범람 위험 지역은 Fig. 14와 같다(Associated British Ports, 2007).

Fig. 14 Flood risk zones in the port of Southampton area 출처 : Associated British Ports

사우샘프턴 항구의 현재 부두 높이는 3.5mAOD(Above Ordnance Datum, 평 균해면 기준)이며, 이는 해도상 기준지점보다 6.25m 더 높다. 사우샘프턴항의 평균고조위(Mean high water level)는 약 1.35mAOD이며, 기록된 가장 높은 수 위는 2008년 2.85mAOD이다(Associated British Ports, 2007).

매년 상승하는 해수면 상승정도는 연평균 -0.8mm의 수직적 육지 운동(land movement)을 기반으로 하며, 200년에 1번, 1,000년에 1번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극한 해수면은 Table 7과 같다. 이는 2035년까지 기존 항만 운영 지역이 200년 에 1번에서 1,000년에 1번 사이의 확률로 범람할 위험이 있음을 알 수 있다 (Associated British Ports, 2016).

Years Annual rise (mm)

1:200 year peak level(m)

1:1,000 year peak level(m)

1990 - 3.0 3.2

1990∼2025 4.0 - -

2025 - 3.1 3.3

2025∼2055 8.5 - -

2055 - 3.4 3.6

2055∼2085 12.0 - -

2085 - 3.8 4.0

2085∼2115 15.0 - -

2115 - 4.2 4.4

Table 7 Predicted annual sea level rise and peak levels for 1:200 year and 1:1000 year events

출처 : Associated British Ports

이에 따라, 미래 항만 시설을 위한 투자 결정은 폭풍해일과 극도의 기상조건 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에너지 사용 및 적절한 기술과 같은 기 후변화의 조정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또한, 기존의 항만 등 인프라가 에너 지 사용을 최소화하고 기후 변화 예측에 적응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항만관리 팀과 기후변화 정책을 담당하는 부서에 의해 지속적으로 검토되어 결정되고 있 다(Associated British Ports, 2007).

제 3 장 부두시설 마루높이 결정요소 분석

3.1 부두 계류시설 및 마루높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