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4.3 계류안전성 수치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4.3.5 선종별 종합평가

Table 36에서 계류라인의 수직각의 마루높이 상향에 따른 각 그룹별 최대감 소율을 보면, 풍향 WD1, 풍속 20kts 조건에서 A그룹 14.3%, B그룹 13.3%, C그 룹 11.8%, D그룹 12.5%로 모든 그룹에서 10% 이상의 최대감소율을 보였으며, 그 중 A그룹의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류삭 장력의 마루높이 상향에 따른 각 그룹별 최대 감소율은 Fig. 85와 같 으며, 모든 환경외력 조건에서 A그룹의 민감도가 가장 크고, 환경외력 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B그룹, C그룹, D그룹 순으로 마루높이에 따른 계류 삭 장력의 민감도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그룹별 최대 감소율은 A그룹 9.2%, B그룹 4.7%, C그룹 4.3%, D그룹 3.8%이며, 풍향 WD3 조건에서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85 Max. decrement on tension of mooring line by crown height

계선주 견인력의 마루높이 상향에 따른 각 그룹별 최대 감소율은 Fig. 86과 같으며, 계류삭 장력요소와 마찬가지로 모든 환경외력 조건에서 A그룹의 민감 도가 가장 크며, 환경외력 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B그룹, C그룹, D 그룹 순으로 마루높이에 따른 계선주 견인력의 민감도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 다. 각 그룹별 최대 감소율은 A그룹 9.2%, B그룹 4.4%, C그룹 3.6%, D그룹 3.1%이며, 풍향 WD3 조건에서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86 Max. decrement on load of bollard by crown height

선체동요량 중 Sway 운동의 마루높이 상향에 따른 각 그룹별 최대 감소율은 Fig. 87과 같으며, 각 환경외력 조건별로 최대 민감도의 그룹이 다른 것으로 분 석되었다. 풍향 WD1 조건에서는 C그룹이 23.7%로 가장 큰 민감도를 나타냈으 며, 풍향 WD2 조건에서는 A그룹이 26.3%로 가장 큰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풍 향 WD3 조건에서는 B그룹이 27.8%로 가장 큰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계 류안전성 시뮬레이션에서 도출된 4개 계류요소 중 선체동요량의 마루높이 상향

에 따른 민감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마루높이 상향시 환경외력에 따 른 선체운동량 경감에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그룹 별 최대 감소율은 A그룹 26.3%, B그룹 27.8%, C그룹 24.0%, D그룹 17.9%로 B그 룹의 민감도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Fig. 87 Max. decrement on sway motion by crown height

제 5 장 마루높이 평가지표 및 설계기준 개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2장과 3장에서 도출한 마루높이 결정요소를 바탕으로 적정 마루높이를 선정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특히, 선박평가지표를 이용하여 4장에서 수행한 계류안전성 수치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평가하고 선박 그룹별 적정 마루높이를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환경 및 선박의 특성을 반영 한 마루높이 설계기준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