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나. 서식지 조사

§ 서식지 안정성(기능, 구조), 서식지 우수성, 서식지 위해성으로 구분하여 조사 분야 및 조사 지표 선정

§ 1단계는 생물, 비생물 분야 구분하고, 2단계는 토양환경, 원격탐사, 균류서식지, 식물 서식지, 곤충서식지, 포유류서식지로 구분

§ 분야별로 정량화, 용이성, 잠재성, 환경적 특성, 지리적 척도 등을 포함하는 지표를 중심으로 선정

속성 서식지 안정성 서식지 우수성 서식지 위해성

비생물

토양환경 § 산도

§ 토양수분지수

§ 유기물함량

§ 유효토심

§ 낙엽부식층

§ 산사태

§ 훼손지

§ 샛길

원격탐사

§ 경사

§ 사면향

§ 고도

§ 지형

§ 열지수

§ 식생평가지수 (NDVI,LAI)

§ 인공림

§ 산불위험지수

생물

균류서식지 § 생산성(균근)

§ 분해성(부후균) § 알파다양성 § 위험성평가(독버섯)

식물서식지

§ 양치식물계수

§ 층위구조

§ 식생식피율

§ 생체량

§ 알파다양성

§ 영급

§ 귀화율

곤충서식지 § 먹이구조

§ 군집구조 § 알파다양성 § 산림병해충

포유류서식지 - § 상대풍부도지수

§ 멸종위기종출현지수 § 생태계 유입종 [표 8] 서식지 조사 및 평가를 위한 속성 및 지표 현황

가) 토양환경

§ 생태계 시스템 구성요소 중 가장 기본 지표이며, 서식지별로 평가 단위지표로 활용

§ 토양평가지표를 이용하여 토양 질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정량·정성적 평가 시행

나) 원격탐사

§ 공원 전체에 대한 수집자료의 신속성, 경제성, 정확성, 주기성 확보

§ 서식지 안정성, 우수성, 위해성 별로 상대적 수치 비교 활용

§ 현장 조사 자료 확보를 통한 보정 가능 다) 균류서식지

§ 군집분석을 통한 서식지 안정성, 우수성, 위해성 평가 및 공원 관리 활용 라) 식물서식지

§ 식물서식지에 대한 정량·정성적 자료 추출을 통해 객관적 평가 가능 마) 곤충서식지

§ 기후변화, 인위적 교란, 식생변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외부 교란 이후 서식지의 회복력 판단 및 변화 예측

§ 이동성과 정주성 곤충의 복합적인 조사를 통해 연접한 서식지 상태 간접 평가 바) 포유류서식지

§ 무인센터카메라 운영을 통한 상대풍부도지수의 과학적 정성평가 가능

다. 특정 서식지 조사

§ 공원 관리 및 현안을 위한 특정 서식지를 선정하여 조사를 시행

§ 국립공원별로 다양한 서식지가 분포하고 있어 특정 서식지를 중심으로 조사를 시행할 필요가 있음

§ 대부분 기후 및 환경변화에 의해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어 관리적 측면에서 종합적인 조사, 분석 및 관리방향성 도출 필요

§ 서식지의 지속적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중·장기 모니터링 방향성 제시

§ 공원별 주요 현안사항, 주요종 서식지 및 특정서식지에 대한 과제제안 공모와 심사를 통해 과제를 발굴하고 우수 연구제안 과제를 지원하는 체계 도입

§ 다양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 발굴로 인한 공원 특정서식지 관리의 선진화 방안을 마련

할 수 있으며, 내부 연구진 부족으로 인한 특정 서식지 관리의 소홀함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연구자들의 국립공원에 관한 관심을 고취할 수 있음

서식지 유형 조사분야 해당국립공원

산지습지

식물상, 식생, 저서무척추동물, 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 연체동물 수리수문, 토양환경, 원격탐사

오대산, 지리산, 내장산, 가야산, 월출산, 다도해

동물 소형포유류, 곤충, 미기후, 지형, 지질

설악산, 오대산, 치악산, 태백산, 월악산, 소백산, 계룡산, 가야산, 한려해상, 월출산, 덕유산, 무등산 아고산대 식물상, 식생, 고사목, 곤충, 미기후,

원격탐사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소백산, 덕유산, 지리산 특정종 서식지 특정종, 식물상, 식생. 지형, 지질,

토양환경, 원격탐사 전 국립공원

풍혈지대 지형, 지질, 식물상, 식생, 미기후,

원격탐사 무등산

석회암지대 지형, 지질, 식물상, 식생, 미기후,

원격탐사 태백산, 소백산

[표 9] 국립공원에 따른 특정서식지 현황 및 조사 분야 현황

[그림 19] 국립공원 특정서식지 조사 추진 체계 흐름(안)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