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270호)」에 따른 도시생태 현황지도 작성 분야와 「자연환경보전법(제30조)」에 따른 전국자연환경조사가 있음
§ 전국자연환경조사(4차)와 도시생태 현황지도 작성할 때 식물, 동물 분야의 조사지역 선정 방법은 도엽 단위 또는 행정 경계 단위에서 동물의 잠재서식지(식물 조사지를 겸함)를 GIS 모델의 기술적 모델방식으로 도출하며 야생생물 서식지의 환경 요인(독립변수)으로 부지 특성(임상, 경사, 패치 면적)과 접근성(수계, 농지, 시가지) 항목으로 제시하고 있음
§ 산림식생의 생장에 영향을 주는 환경조건 중에 기후(기온, 강수량 등) 및 지형(토성, 경사 등)은 중요한 인자이며(Schweingruber, 1988), 국내에서도 다양한 수종을 대 상으로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음(서정욱, 박원규, 2010; 윤미해 등, 2013; 최고미 등. 2014)
§ 기후 및 지형인자에 대한 반응은 수종별로 다르고, 미기후의 영향이 크므로 직접 측정 하지 않으면 자료수집이 매우 제한적임. 또한 모델링시에 기온 감률(고도 상승에 따른 대기 온도의 감소 비율) 특성이 있는 고도 요인이 강우량, 최저 및 최고 온도 등의 요인보다 환경변수 기여도가 높은 특성이 있음(유소민 등, 2020). 따라서 기후인자로 는 정밀자료에 해당하는 고도 요인을 사용하는 것이 기상청 등에서 측정하여 재가공 처리한 추정값에 해당하는 강우량, 온도 자료 보다 신뢰성이 높음
§ 국립공원의 서식지 유형분류는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NPRI 2019-28)」결과에 따라 한라산국립공원을 제외한 21개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1:5,000 축척으로 쉐이프파일 (.SHP) 형태로 구축되어 있으며, 6개 대분류항목(산림생태계, 하천 및 습지생태계, 해안 생태계, 해양생태계, 농경지, 개발지)와 59개 중분류(산림생태계 20개, 하천 및 습지생태계 8개, 해안생태계 16개, 해양생태계, 농경지 6개, 개발지 9개 등으로 분류)로 구분함
2) 목적 및 필요성
§ 조사지점 선정 절차는 GIS 모델링에서 입지선정 모델 흐름 방식을 이용하여 차후 독립변수의 대체 편리성 확보 및 요인들 간의 관계를 체계화시키고자 함
§ 조사지 선정은 국립공원 서식지 중분류 유형분류 중 산림생태계만을 대상으로 공원별 대상지를 선정함을 원칙으로 함(암벽 식생, 산화지, 벌채지, 암석지, 전석지, 자연 나지는 제외)
§ 서식지 유형분류에서 조사장소를 선정할 때 식물(균류 포함)과 동물(곤충과 포유류) 분야를 대상으로 잠재서식지와 환경(지형 및 기후) 요인을 평가항목으로 선정하고 이는, 전국자연
환경조사 및 도시생태 현황지도 작성할 때 활용되고 있는 방법에서 변수를 공원 서식지 특성을 반영하여 수정, 보완함
§ 조사장소 선정시 급경사(30도 이상) 지역과 탐방로부터 500m 이상 지역은 현실적으로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제외시킴
§ 국립공원 서식지 조사지점 선정 절차에 따른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음
- 생물적 요인(Biotic factor), 비생물적 요인(Abiotic factor), 인간 행태적 요인 (Anthropotic factor)을 고려한 조사지점 선정
- 국립공원 서식지 유형의 대분류-중분류-소분류로 3단계 위계 중 중분류 단계 활용 - 정밀한 분야별 조사를 통한 소분류 단계의 정밀한 분류체계를 마련할 수 있는 기틀
마련
§ 서식지 중심의 조사지 선정을 위한 자료수집, 가공 및 편집, 분석에 관한 지침 제공과 오대산과 소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사지 선정에 관한 내용을 제시
나. 조사지역 선정 절차
1) 개요
§ 서식지 조사지 선정은 GIS 공간분석이 가능한 유형(항목)으로 평가
- 야생동물 잠재서식지 : 야생동물의 기능적 서식지로써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의 가능성(잠재서식지)을 점수화
- 기후 및 지형적 유사성 분포도: 산림식생의 다양성을 부여하는 기후(고도)와 지형(경사) 특성을 활용하여 경계도 작성
- 서식지 중분류 유형분류도 : 국립공원을 서식지의 구조적 기능에 따라 분류한 지도로 식생 유형을 포함함
[그림 20] 조사지 선정 절차 흐름도 2) 항목별 작성 절차
가) 야생동물 잠재서식지도
§ 야생동물의 잠재 서식 지수를 산출하기 위해 부지 특성과 접근성 항목으로 자료구축
항목 평가요인 자료 구축 방법
부 지 특 성
현존식생 침활혼효림 중분류토지피복지도에서 대분류 산림지역(300) 추출
영급 영급 임상도(영급코드)에서 추출
경사도 경사도 1:5,000 연속수치지형도, TIN 모듈에 의한 지형분석
산림면적 패치면적 중분류토지피복지도에서 대분류 산림지역(300) 추출
접 근 성
수계와의 거리 하천, 호소, 저수지 및 습지
중분류토지피복지도에서 내륙수(710), 내륙습지(510) 및 국립공원 생태자원지도에서 추출
탐방로와의 거리 법정탐방로 국립공원 법정탐방로 자료 활용
시가지와의 거리 시가지화/건조지 중분류토지피복지도에서 대분류 시가지화/건조지역(100) 추출 [표 10] 야생동물 잠재서식지 도출을 위한 자료구축 방법
§ 패치 면적은 산림지역을 수종, 임도 등에 의한 구분과 관계없이 하나의 패치로 고려하여 면적을 계산함
§ 내륙습지(510)는 수공간을 포함한 경우에만 추출함
§ 탐방로는 좌우 100m를 인위적 교란 영향, 수계는 좌우 50m를 홍수기 침수 영향을 고려하여 평가 제외
§ 중분류토지피복도, 임상도, 법정탐방로, 수계도에서 해당 레이어를 추출하여 [표 11]에 따라 기준 평가값을 설정하고 가중치를 부여하여 중첩분석을 시행
§ 중첩분석 결과 야생동물 출현 가능지 도출(최대값 45점)
§ 야생동물 출현 가능지는 결과값의 30점 이상을 「서식적합지」로 도출
항목 가중치
기준평가값 설정
5점 4점 3점 2점 1점
부 지 특 성
현존식생 1 활엽수 - 혼효림 - 침엽수
영급 1 4영급 이상 3영급 2영급 1영급 -
경사도 1 0~5° 5°~10° 10°~15° 15°~20° 20° 이상
산림면적 1 50ha 이상 - 10~50ha - 0~10ha
접 근 성
수계와의 거리 1 50-150m 150m~250m 250m~350m 350m~450m 450m 이상 탐방로와의 거리 2 100m~200m 200m~300m 300m~400m 400m~500m 500m 이상
시가지와의 거리 2 300m 이상 - 100m~300m - 0m~100m
[표 11] 야생동물 잠재서식지 도출을 위한 평가지표 및 기준 사례
§ (QGIS 작업절차) - 자료 추출
중분류토지피복도 불러오기 > 레이어명에서 마우스 우클릭 > 테이블속성 열기 > 표현식 기반 필터 > "L1_CODE" = '100' (시가화/건조지) 또는 "L1_CODE" = '300' (산림지역) > 내보 내기 > 선택한 객체를 다른이름 저장
- 기준평가값 설정
벡터(부지특성) > 테이블 필드 추가 > 기준점수 부여 > 레스터화(벡터파일을 래스터로) 벡터(경사도) > 등고선, 등고점 > TIN보간 > DEM > Slop > r.reclass 기능을 통한 재분류 벡터(접근성) > 근접도(래스터거리) 계산 > r.reclass 기능을 통한 재분류
- 가중치를 부여한 잠재서식지 점수 분포도 작성(중첩분석)
래스터 계산기 > ‘현존식생+영급+경사도+산림면적+수계와의 거리+(탐방로와의 거리+시가지와의 거리)×2’
- 벡터 변환
서식적합지(래스터) > 폴리곤화(래스터를 벡터로)
§ (결과 사례) 오대산 국립공원
[그림 21] 오대산 야생동물 잠재서식지도 사례
나) 기후 및 지형적 유사성 분포도
§ 연속수치 지형도(1:5000)에서 DEM 제작 후 고도 및 경사도 추출
§ 고도 1,400m 이상이지만 10m 내외이면 1400 이내로 표현하며, 경사 30° 이상은 위험지대로 제외함
§ 고도와 경사 기준은 아래 표를 따르며 12개의 유형으로 구분(예를 들어, 저산지-완경사, 저산지 경사지, 저산지 급경사지 등)
고도 구분 고도 기준 경사 구분 경사 기준
저산지 0m~300m 완경사지 0°~10°
산지(Ⅰ) 300m~1,000m 경사지 10°~20°
산지(Ⅱ) 1,000m-1,400m 급경사지 20°~30°
아고산지 1,400m 이상 절험지(제외) 30° 이상
[표 12] 고도 및 경사 유형 기준
§ (QGIS 작업절차)
- 자료 추출 및 DEM 제작
연속수치지형도 > N3L_F0010000(등고선), N3P_F0020000(등고점) 연속수치지형도 > 등고선, 등고점 > TIN보간 > DEM > 경사도 분석
- 래스터 재분류(Reclassify)
DEM > r.reclass > 0-300, 300-1000, 1000-1400, 1400이상 경사도 분석 > r.reclass > 0-10, 10-20, 20-30, 30이상
- 벡터 변환
래스터 재분류 결과 > 폴리곤화(래스터를 벡터로)
§ (결과 사례) 오대산 국립공원
[그림 22] 오대산국립공원 기후 및 지형적 유사성 분포도 사례 다) 서식지 중분류 유형분류도
§ 서식지 유형 분류 지도는 「국립공원서식지 분류 체계 연구(NPRI 2019-28)」의 방법을 따르며 산출물을 사용함
§ 각 국립공원의 정밀식생도(2018년 지리산국립공원까지 적용)와 임상도(5차)를 베이스 맵으로 하여, 지형·지물은 수치지형도, 수계는 차수도, 표준유역도 등을 활용하여 25cm급 고해상도 정사영상에서 서식지 유형을 분류함
항목 자료형태 출처
정밀식생도 벡터파일(SHP포맷)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 경계도 벡터파일(SHP포멧)
임상도 벡터파일(SHP포멧) 산림공간정보서비스
수치지형도 벡터파일(SHP포멧)
국토지리정보원
정사영상 래스터파일(GeoTiff포멧)
차수도 벡터파일(SHP포멧)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표준유역도 벡터파일(SHP포멧)
[표 13] 서식지 유형 분류지도의 원자료 및 자료출처
§ 서식지 분류 체계의 대분류 항목에서 산림생태계만 대상으로 함
§ 산림생태계 중에서 중분류 항목 일부(암벽식생, 산화지, 벌채지, 암석지, 전석지, 자연 나지)는 접근성, 조사 필요성에 따라 제외함
국립공원명 유형 수
폴리곤 수 면적
대분류 중분류 (㎢)
지리산국립공원 4 28 11,112 483.022
한려해상국립공원 6 30 7,513 535.676
경주국립공원 4 21 8,010 136.550
계룡산국립공원 4 21 3,935 65.335
설악산국립공원 4 24 9,648 398.237
속리산국립공원 4 25 12,221 274.766
내장산국립공원 4 24 2,846 80.708
가야산국립공원 4 21 2,968 76.256
덕유산국립공원 4 25 7,455 229.430
오대산국립공원 4 24 9,803 326.348
주왕산국립공원 4 22 4,763 105.595
태안해안국립공원 6 32 3,341 377.019
다도해해상국립공원 6 42 28,473 2,266.221
북한산국립공원 4 20 2,713 76.922
치악산국립공원 4 21 7,016 175.668
월악산국립공원 4 23 13,643 287.571
소백산국립공원 4 26 23,434 322.011
변산반도국립공원 6 36 7,743 153.934
월출산국립공원 4 24 2,073 56.220
무등산국립공원 4 25 4,320 75.425
태백산국립공원 4 18 2,864 70.052
[표 14] 국립공원 서식지 분류 현황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