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개념적 모델
§ 개념 모델은 생태학적 지식과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성공적인 서식지 조사 프로그램 개발에 매우 중요(Vesely et al., 2006)
§ 개념 모델은 생물종 기능과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위협, 제한요인을 설명
§ 서식지 특성과 생태계 구성요소 및 대상종에 영향을 미치는 절차 간의 연관성 파악
§ 개념 모델을 통해 조사하려는 서식지 특성에 대한 현황 파악(Manley et al., 2000)
§ 서식지 위협과 제한요인은 생물개체군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1) 서식지 요건, 제한요인 및 위협
§ 서식지 요건, 제한 및 위협 요소는 중요한 서식지 특성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사하고 평가해야 함
§ 서식지의 중요한 환경적 특징을 추적하기 위해 서식지 조사를 시행함 2) 측정 가능한 특성
§ 서식지 요건, 제한요인, 위협을 분석 후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 3) 서식지 조사에 적합한 특성
§ 특성과 서식지 요건, 제한요인, 위협 간의 관계
§ 시간 변화에 따른 서식지 특성에 발생하는 변화 수준
§ 지리적 척도, 서식지 특성 및 정량화의 용이성
§ 서식지 특성이 관리 활동에 의한 잠재적 반응
§ 서식지 특성의 환경적 상황 파악 4) 종 서식지-관계 모델
§ 서식지-관계 모델은 서식지 연관성에 관한 종합적인 지식과 개념 모델 구축에 이용될 수 있는 잠재적 자원이 됨
나. 국립공원 서식지 개념적 모델 및 속성
1) 국립공원 서식지 조사의 개념적 모델
§ 동인(drivers)
- 자연시스템의 속성에 대규모로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초식현상, 산불, 날씨, 생물 학적 침입, 홍수, 자연교란과 같은 주요 자연발생적 변화의 힘
§ 스트레스 요인
- 산불, 대기오염, 수질오염, 탐방로, 탐방객, 외래생물, 병해충, 서식지 파편화, UVB 증가
- 생태계 시스템에서 이질적이거나 시스템에서 자연스럽지만, 과도하거나 부족함이 발생하여 시스템에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해물로 작용함
- 스트레스 요인은 자연생태계의 구성요소, 패턴, 과정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킴
§ 생물 및 비생물 속성
- 토양유기물, 토양 이화학, 토양균류, 토양 무척추동물, 식물동태, 식물군집, 곤충, 조류, 소형포유류, 중·대형포유류, 양서파충류, 박쥐 등
- 속성에 대한 지표들은 측정하거나 추정할 수 있고, 생태계 상태(서식지 질, 건강성, 온전성 등)를 통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함
§ 국립공원 생태계 내에서 일반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주요 동인(Major dirvers), 스트레스 요인, 생물 및 비생물 생태계 속성 중 일부를 계층적 도형으로 작성함
§ 도형, 화살표, 선은 인접한 구성요소 간의 상호작용 또는 예상되는 상호작용을 도식화 [그림 18]
§ 산불, 기후, 대기오염, 수질 등 시스템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작용하는 대규모 동력 이나 스트레스 요인들은 모델의 왼쪽에 배열
§ 생태학적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물 및 비 생물적 속성 간의 상호작용 사항에 대해서는 모델의 오른쪽 큰 상자로 배열함
§ 국립공원 생태계 공간적 범위는 공원 내·외 지역으로 구분되며, 이는 일반적인 생태계 시스템의 여러 측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작용
2) 국립공원 서식지 조사 속성 선정
§ 개념적 모델[그림 18] 우측에 해당하는 생물 및 비생물 속성을 중심으로 국립공원에 서식지 조사에 적합한 분야 선정
§ 생태계 물리적, 환경적, 구조적, 기능적 측면을 고려한 속성 선정
§ 생물, 비생물속성, 먹이사슬 생태계 층위구조,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속성 선정
§ 서식지 환경 및 특성을 식별할 수 있는 속성 선정
§ 서식지 조사의 경제적 효율성, 전문가 인력풀, 물리적 시간, 자료 안정성, 공간정보기술 등을 고려한 속성 선정
§ 국립공원 서식지 조사 비생물 및 생물 속성
- 비생물 속성: 토양유기물, 토양이화학, 원격탐사 - 생물 속성: 균류, 식물, 곤충, 포유류
[그림 18] 국립공원 서식지 조사 개념적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