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개념 정립, 모델 개발, 프레임 및 평가지표 설정, 지수화 및 건강성 평가 단계로 진행함.
§ 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표의 선정은 국내외 사례를 중심으로 육상생태계에서 15개 예비평가 지표와 수생태계에서 8개의 예비평가지표를 추출함.
§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매년 실시하고, 평가결과를 공원관리방안에 연계함. 평가는 장기적으로 운영·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공원관리 및 정책에 반영될 뿐만 아니라 탐방객들에게 자연보존과 이용에 대한 이해력을 증진하는데 기여 하도록 설계함.
평가지수 공원관리
종다양도 지수
생물종 확보
기후변화 등에 따른 생태계 변화 원인 규명 탐방객수 조절 및 탐방이용행태 개선 등 멸종위기종 지수 멸종위기종 발굴
멸종위기종 복원 등
생태계교란종 지수 외래종 제거, 인공조림지 생태 개선 병해충 발생 대처 등
수질 지수 인위적 오염원 파악 및 저감대책 마련 계곡 내 인공보 제거 및 개선
파편화 지수 탐방로 및 샛길 관리 개선
국립공원 내 진입도로 및 관통도로 관리 방안 마련 등 [표 77] 국립공원 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수를 이용한 공원관리
§ 국립공원공단(자원보전처): 공원자원 조사계획 수립, 평가자료 DB구축, 공원관리 대책
§ 국립공원연구원: 자료 분석, 건강성평가방안 개선, 평가지표 대중화, 결과분석
§ 국립공원사무소: 자연자원조사, 자원모니터링, 훼손지 모니터링, 기상 등 자료 수집 나) 국가 생태계 평가체계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립생태원, 국립산림과학원, 국립공원공단 연구자들의 집단숙 의접근법을 통해 생태계 기능, 서비스, 편익, 인간후생 간의 관계적 정의, 가치의 관점 및 유형, 가치추정방법을 정립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전국단위 평가에 적용 가능한 표준화된 생태계 평가체계의 개념틀 및 핵심 평가지표를 도출(안소은 외. 2020)
§ 공급, 조절, 지지, 문화 생태계서비스 범주를 기반으로 측정목표를 세부화 하였으며, 측정목표에 대응하는 측정항목과 지표후보군, 측정단위를 제시함(안소은 외, 2020).
구분 측정목표 측정항목 측정단위 내용
공급서비스
식량 작물, 어업량, 임산물 수확량 ton/yr 식용작물, 동물 제공 에너지 에너지생산량(수력, 바이오연료) KW/yr 에너지 제공
원료물질 유용생물수 개 원료, 유전자원
물(담수) 물이용량, 생태계 유지용수량 ton/yr 담수 제공, 용수
조절서비스
대기 및 기후조절 오염물질제거량(SOx, NOx, PM10) ton/ha/yr 대기오염물질 제거 기후조절(온실가스 흡수량) tCO2/ha/yr 기후조절 수질 및 수량조절 담수의 기저유출량 ton/ha/yr 물저장/방류기능
오염부하량의 저감량 ton/ha/yr 오염물질 제거·분해
재해조절
홍수기 유역별 저류량 m3/ha/yr 홍수조절 기능
저류면적 ha 자연재해 조절기능
토양침식방지량 ton/ha/yr 토양유실량 저감
지지서비스 서식처 제공 서식처의 양과 질 ha, 지수 동식물 서식지 제공
토양유기탄소 ton/ha 토양의 형성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 지표, 지수 종다양성 및 생태계
문화서비스
교육 생태해설자수, 시설 및 프로그램 개 교육, 과학적 가치 휴양레저경관미 자연기반 관광 및 방문객수 인/yr 휴양, 여가, 레저
정체성 지지 자연문화유산 개소수 개 문화, 종교, 공간
[표 78] 국가 생태계 평가를 위한 핵심지표 구성(안)
§ 측정목표에 대응하는 지표 후보군의 선정기준으로는 대표성과 측정가능성을 활용함(안 소은 외, 2020). 대표성은 델파이 설문을 통해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이 해당 지표의 대표성을 묻는 질문에 5점 척도 중 4점 이상이면 상으로 구분함. 측정가능성은 접근편 이성, 가공용이성, 활용가능성을 고려하여 공식 자료가 정기적으로 수집되면 상, GIS 모델링이나 원격탐사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면 중으로 구분함(안소은 외. 2015).
선정기준 내용 평가등급 평가기준
대표성
제시된 지표와 측정대상인 생태계서비스 항목의
특성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상관성 정도
상 내용타당도(CVR) ≥ 0.0 하 내용타당성(CVR)〈 0.0
측정가능성
자료의 접근가능성, 활용가능성, 주기적인 갱신을
통해 자료의 일치성 및 DB 안정화 정도
상 공식통계존재, 시공간적 자료. 주기적 갱신 중 GIS 모델링 및 원격탐사로 자료구축 가능 하 현재 관련조사 및 연구가 시범적으로 진행중 [표 79] 생태계서비스 지표 선정기준 및 평가등급 체계
§ 서식지 평가와 관련된 지지서비스 측정은 직접적으로 평가하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많음. 이에 대체변수(proxy)를 이용하며 측정하고, 향후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함.
2) 국외 사례
가) 미국의 생태계 및 서식지 평가
§ 미국에서의 생태계 및 서식지 평가는 ㉮ 생물종이나 생물군집 중심의 Habitat Evaluation과 ㉯ 생태지역, 하천, 습지, 연안, 산림, 목야지 등 장소 위주의 Ecological site assessment, Stream assessment, Wetland condition assessment, Forest condition, Rangeland condition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첫째, Habitat Evaluation 또는 Habitat Assessment라고 불리는 서식지 평가는 미 국 어류 및 야생동물청(U.S. Fish and Wildlife Service)에서 160여종의 멸종위기종, 생물군집 및 일부 생태계를 대상으로 실시한 서식지평가절차(Habitat Evaluation Procedure)로 대표할 수 있음. 대개 단일 생물종의 생존, 성장, 번식을 위해 필요한 각종 자원과 적절한 환경조건의 충족여부를 통해 생물서식지 적합성을 산정함.
§ 둘째, 자연보전계획 및 토지관리 목적으로 미국 전역에 걸쳐 실시하고 있는 생태지역 평가(Ecological site assessment)는 장소 중심의 서식지 평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음. 여기서 생태지역(Ecological site)은 “기후, 지질, 지형, 토양 관점에서 주변과 명확히 구분되는 경계를 갖는 토지조각”으로 정의하며, 미국 자연자원보전청(NRCS, 2013)에 의해 자연교란 및 인위적 관리활동에 대응하여 지역의 현재 상태 및 변화추
이를 파악하는 기초 평가단위 역할을 함. 광역적 생태권역(Ecoregion)에서 생태경관 (landscape), 대상지(field), 산림조각(woodlot)까지 다축척의 자원계획관리 목적으로 대상지 특성(site characteristics), 식물군집(plant communities), 대상지 해석(site interpretations), 정보(supporting information) 등 각종 주제도를 제작함.
평가 종류 평가 대상 주요 내용 적용 사례
Habitat evaluation, Habitat assessment
생물종, 생물군집, 일부 생태계
개별 생물종과 물리적 환경과의 정량화된 지수를
이용한 서식적합도 산정
어류 및 야생동물청(1980) 서식적합성지수 및
서식적합성절차 Ecological site
assessment 생태지역 (장소) 생태 지역의 건강성 측정 (식물군집 및 토양환경 중심)
NRCS(2013) 생태계해석도구(EDIT) Forestland condition,
Rangeland condition, Grassland condition
산림, 목야지, 초지
산림, 목야지, 초지 등 육상생태계 생산성 측정
USFS(2014) 육상지역평가(TCA) National Rivers and
streams assessment, Wetland condition,
Coastal condition, National lake
assessment
하천, 습지, 연안, 호소
하천, 습지, 연안, 호소 등 수생태 건강성, 안정성 측정
(물리적, 생물학적, 화학적, 인체건강 항목)
국가하천평가(2013-20 14), 국가습지평가
(NWCA, 2011), 국가호소평가(2012),
연안지역평가(2010) [표 80] 미국의 생태계 및 서식지 평가
§ 셋째, 산림과 초지, 목야지, 습지와 같은 생태계 중심의 평가를 실시함. 개별 생태계의 안정성, 생산성,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 토지 조사, 해석에 필요한 방법론을 개발하는데, 산림청이나 자연자원보전청, 환경청 및 학술단체 중심으로 Forest condition, Rangeland condition, wetland condition 등 생태계 유형별 목표값을 제시함. 특히, 토양, 식생 중심의 육상지역평가(TCA, terrestrial condition assessment)로 산림과 목야지를 포괄하는 방법론을 강구함과 동시에 생태계 유형별 고유 특성이나 위협요인, 훼손지 복원, 구조와 기능, 과학, 지역여건 등을 고려한 유형별 탄력적인 접근방법과 참고생태계(reference system) 제시를 통해 대상지 평가를 수행토록 함.
§ 넷째, 미국 환경청에서는 국가수생태자원조사(National Aquatic Resource Survey)를 통해 하천, 연안, 호수, 습지 등에 대한 국토자원평가를 실시함. 조사 및 평가지표는
생물, 물리, 화학, 건강 4개 분야로 구성함. 예를 들어, 2013-2014년 발간된 국가하 천평가(National Rivers and Streams Assessment)에 따르면 13개 지표를 이용한 전국 1,849 지점을 조사하여 4개 등급(양호, 보통, 불량, 미평가)으로 분류함.
§ 미국의 생태계 및 서식지 평가는 종 중심의 서식지평가절차(HEP)와 장소 중심의 생태 지역평가, 육상지역평가(TCA), 국가수생태자원평가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 대부분의 평 가는 평가대상, 관리여건, 생태계 유형, 추진기관에 따라 현지조사, 기존자료, 원격탐사, 문헌정보, 전문가 의견 등 다양한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으로 문서화, 도면화, 평가지침 등을 생산하는데 있음.
나) 유럽의 생태계 및 서식지 평가
§ 유럽에서의 평가는 대륙차원에서의 평가와 국가/지역차원의 평가로 구분할 수 있음.
유럽연합 서식지지침(Habitat Directive)에 따라 당사국은 서식지 유형 및 서식지 지 도를 작성하여 사무국에 제출하고, 유럽연합환경청(EEA, European Environment Agency)에서는 표준화된 평가를 위해 CORINE, NATURA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함.
§ 1985년부터 전 유럽대륙을 대상으로 CORINE 토지분류 및 서식지 평가를 실시함. 유 럽대륙을 망라하는 광역적인 면적의 토지피복 정보구축을 위해 1:100,000 축척으로 1단계(5개 분류), 2단계(15개 분류), 3단계(44개 분류) 토지피복을 유형화하고, 위성영 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지도를 제작함. CORINE 평가는 유럽전역, 국가/지역 공간위 계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항목은 멸종위기종, 민감서식지, 분류군별 종풍부도, 서식지 다양성 지수 등을 이용함.
§ 유럽대륙의 NATURA 2000 네트워크 대상으로 서식지유형 보전상태(Conservation Status of Habitat type)를 평가함. NATURA 2000은 세계에서 가장 큰 보호구역으로 233개 서식지 유형이 있음. 유럽연합 서식지 지침(Habitat Directive)에 따라 모든 당 사국은 6년마다 서식지 유형을 모니터링하고, 보전가치를 평가하여 유럽연합 사무국에 제출함. 보전상태 평가는 다양한 공간위계별 종 및 서식지 현황과 변화추이 관련 자료 분석을 토대로 함. 여기서 대상지역은 지침 부록 1에 수록된 서식지를 의미하고, 생물 종이나 종의 서식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
§ 영국에서는 Conservation of Habitats and Species Regulation(2017)에 의해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