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균등화 에너지비용(LCOE, Levelized Cost of Energy)

5. 사전 타당성 분석

5.3 경제적 타당성

5.3.5 균등화 에너지비용(LCOE, Levelized Cost of Energy)

균등화비용 산출은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의 모델을 적용하였음(OES- IEA, 2015)

- 균등화비용 산출식

 

  

  



   

  

- 위 식에서 CAPEX = Capital expenditures 건설비용 - OPEXt = Operational expenditures(at year t) 운영비

- AEPt = Annual electricity production(at year t) 연간전력생산량 - r = discount rate 할인율

- n = Lifetime of the system 발전기 수명

- t = Year from start of project 조류발전기 운영 기간

- 한편, 국내의 전원별 균등화비용의 산출식은 다음과 같음(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 LCOE = 고정비 + 변동비

= 건설비 * 고정비율 / (설비용량 * 시간 * 이용률 * (1 – 소내전력률)) + 연료비(원자력의 경우 원자력연구개발기금 포함)

국내

 ×이용율× 소내비율

건설단가원×고정비율

발열량× 소내소비율

열소비율×연료비단가

∙ 고정비율: 자본회수계수 + 법인세율 + 운전유지비율

(2) LCOE의 산출 결과

가. 기본 가정 및 적용 변수

균등화비용 산출 시 발전량은 경제성 분석에 적용한 것과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이외의 기본 가정은 OES-IEA 및 JRC의 기준 적용

- 조류발전 시스템의 내용년수와 연간 O&M비용은 경제성 분석과 동일한 20년과 총 건설비(투자비)의 3.4%를 적용하여 산출

균등화비용 산출 시 건설비용은 928억원으로 연간전력생산량에 대한 3개의 비율 (30%, 33%, 40%), 할인율은 기재부 4.5%와 OES-IEA, JRC의 기준인 10%의 2개안을 적용하여 총 6개안에 대한 균등화비용을 산출하였음

나. 균등화비용 산출 결과

10MW급 조류발전기의 공사비용을 경제성분석의 건설비용인 928억원을 5년간 균등 하게 적용하고, 6년차인 2026년부터는 3.4% 유지비를 적용, 또한 발전기 평균이용률 을 3개의 case로 분석 진행하여 균등화비용 산출

구 분 주요 내용

운영 기간

20년

- OES-IEA International LCOE for ocean energy technologies, 2015 기준 - JRC Ocean Energy Status Report, 2016 기준

발전량

시설용량: 10MW

연간발전량: 발전기 평균이용률에 따른 4개 case로 진행 Case 1(30.0%) 26,280MWh, Case 2(33.0%) 28,908MWh, Case 3(40.0%) 35,040MWh

비용

건설비용: 928억원

연간 운영/유지 비용: 31억원/년(투자비의 3.4%) - 출처: ETRI 2014, European Commission, pp34 ~ 36

할인율 4.5% 적용(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총괄지침 제50조)

[표 5-22] LCOE 산출을 위한 기본 가정 및 적용 변수

case별 균등화비용 산출된 결과는 할인율 4.5%에서 288 ~ 384원/kWh으로 예측되며, 상세 결과는 [표 5-23]와 같음

- (case 1) 균등화비용은 할인율 4.5%와 10%에서 각각 384원/kWh와 522원/kWh로 산

출되었음

- (case 2) 균등화비용은 할인율 4.5%와 10%에서 각각 349원/kWh와 475원/kWh로 산

출되었음

- (case 3) 균등화비용은 할인율 4.5%와 10%에서 각각 288원/kWh와 392원/kWh로 산

출되었음

최근 조류발전 상용화기술 개발사업 보고서(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7) 결과에서 시 설용량 100MW급 조류발전기의 LCOE는 58~576원/kWh으로 예측되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학습효과(learning effect)와 대규모발전단지 건설을 통한 시설의 공 동활용 등으로 전체 투자비 감소와 조류발전의 LCOE 값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함

OES-IEA(2015)에서는 상용화 단계의 조류발전 LCOE를 148~320원/kWh으로 예측하

였으며, 유럽의 경우 2016년 기준으로 조류발전의 LCOE를 709~932원/kWh로 산출하 였고, 본격적인 조류발전 상용화 시기에는 197원/kWh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 (JRC Ocean Energy Status Report, 2016)

평균이용률(%)

균등화비용(단위: /kWh)

할인율(4.5%) 할인율(10.0%)

Case 1(30.0%) 384 522

Case 2(33.0%) 349 475

Case 3(40.0%) 288 392

[표 5-23] LCOE 산출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