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6. 과제제안요구서(RFP)

6.5 과제 평가 계획

6.5.5 추적 평가

추적평가 방안

- 본 사업의 추적평가 체계 및 조사내용은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운영규정 제38조 (연구개발결과의 평가)에 의거하여 과제 종료 후 3년 이내에 실시함

- 연구성과의 사업화 여건 분석 및 적시 환류를 통한 R&D 투자 효율성 및 정책 실 효성 제고를 위해 추적평가 실시

연구개발결과 활용보고서 제출* [주관연구기관 →

전문기관]

추적평가 실시 알림 [전문기관 → 주관연구기관]

추적평가 실시 [전문기관, 외부전문가,

연구기관]

추적평가 결과 알림 [전문기관 → 주관연구기관]

* 매년 2월 말까지 전문기관에 제출

[표 6.4] 추적평가 절차

추진절차: 3단계(사전분석⇒현장조사⇒최종평가)

- 사전분석

∙ 정량분석 결과에서 상위권에 해당하는 과제를 현장조사 대상으로 선정(산업화/공 공분야 특성을 반영해 가중치를 달리 적용하여 평가)

∙ 사전분석 결과는 현장조사 대상과제 도출을 위함과 동시에 최종 평가 시 활용

- 현장조사

∙ 해양수산R&D 전문가를 동반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해양수산 R&D 성과의 추세‧

활용현황‧애로사항 등을 파악

∙ 현장조사 수행을 위하여 과제(기술) 관련 연구기관 전문가 또는 유사과제를 수행 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 등을 활용하여 인터뷰 실시

- 최종평가

∙ 사전분석 및 현장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우수과제에 대한 최종평가를 실시하여 점 수를 배점하여 등급을 확정

- 추적평가 결과 활용

∙ 성과 활용‧확산의 우수사례 발굴 및 성과 미흡요인 파악을 통한 실질적인 개성방 안 마련

∙ 해양 R&D 성과확산을 위한 과제기획‧선정‧모니터링 방안 등 R&D 프로세스 전반 에 걸치 환류체계 구축방안 수립에 활용

평가방법

- 전문가에 의한 현장중심의 정성평가 및 연구종료이후 성과활용 미흡요인 분석과 정 량적인 성과활용 결과 데이터를 종합하여 우수과제를 발굴

- (업무효율화) 매년 수행하는 성과분석 연구용역에 포함하여 실시

- (환류체계) 우수과제 발굴 및 성과활용 미흡요인 분석

참고 문헌

국립해양조사원(2010). 조류에너지 자원도 개발연구(Ⅰ) : 관측유속 기반 기획재정부(201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총괄지침.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2014). 2014 신 재생에너지 백서 에너지관리공단(2008). 신 재생에너지 R&D전략 2030 조기선(2018), 해양에너지 상용화를 위한 REC 가중치 연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2013). 2013-2014 에너지기술 국내시장 전망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2016). 청정에너지기술 로드맵

한국해양연구원(2011). 조류에너지 실용화 기술개발 최종보고서

현범수, 조철희, 김문찬, 문채주(2011). 조류발전 기술현황과 전망. 48(3). 대한조선학회지 해양수산부(2015). 해양에너지 중장기 개발 계획(‘15~’15)(안)

EMEC(2008). Guidelines for health and safety in the marine energy industry

EMEC(2009). Assessment of performance of tidal energy conversion systems, marine renewable energy guides

EMEC(2009). Assessment of tidal energy resource, marine renewable energy guides EMEC(2009). Guidelines for marine energy converter certification schemes

EMEC(2009). Guidelines for design basis of marine energy conversion systems

EMEC(2009). Guidelines for reliability, maintainability and survivability of marine energy conversion systems

EMEC(2009). Guidelines for grid connection of marine energy conversion systems EMEC(2009). Guidelines for project development in the marine energy industry

EMEC(2009). Guidelines for manufacturing, assembly and testing of marine energy conversion systems

EMEC(2016). Experience support services for the marine renewables industry

EMEC(2016). An EMEC guide to research, development and testing of marine energy technology

IEA(2008). IEA energy policies revies-the european union

IHS EER(2010). Global Ocean Energy Outlook. IHE Emergin Energy Research.

IT Power(2005). Development, installation and testing of a large-scale tidal current turbine.

DTI

KISTEP(2011). 조류발전의 국내외 동향과 향후 발전 전략. Green-tech Research

Ko, K.(2016). Ocean renewable energy market prospect in Japan, case study: offshore renewable energy initiatives in Nagasaki prefecture. ICOE

KOMERI(2014). 해양에너지 실해역 실증시험장 개발을 위한 타당성 조사연구

LEE. K.-S.(2006). Tidal and tidal current power study in Korea. KORDI

Martin. E. M, Folz. P., Bates. P., Peale R., Dunn. R. and Lessard. S.(2008). A test bed design characterization of tidal turbine flows, final report

METI(2015). Japan’s Energy Plan.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Japan NEDO(2010). http://www.nedo.go.jp/

Northwest National Marine Renewable Energy Center(2017). http://nnmrec.oregonstate.edu/home Ocean Energy Europe(2015). Draft Ocean Energy Strategic Roadmap, building ocean energy

for Europe

Ocean energy systems(2015). 2015 Annual Report REN21(2016). Renewables-2016 global status report

Zhang, Y.-L., LIN, Z. and Liu, Q.-l.(2014). Marine renewable energy in China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Water Science and Engineering. 7(3). 288-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