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환경 및 역량분석
2.4 특허 동향
2.4.3 조류발전 상용화기술 개발사업의 특허동향분석
(연도별 출원 동향) 동 사업과 관련있는 조류발전 분야의 특허는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2016년, 공개특허 기준)까지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중으로 국내 조류발전 분야 의 연구개발 투자 필요시점 도래
- 조류발전 분야의 특허는 2010년 최대치를 달성하고, 이후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 으나 미공개 출원 건 포함 시 일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됨
- 조류발전 분야의 지속적 특허 출원 동향으로 보아, 현재 성장단계인 것으로 판단되 어 정부 주도의 투자를 통해 기술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함
[그림 2-49] 연도별 출원 동향
(국가별 출원 현황) 미국의 특허 출원 건수가 74건으로 과반수이상(53%)을 차지하여 미국이 가장 활발히 조류발전 분야 연구개발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이후 한국이 33건(24%), 유럽이 23건(17%), 일본이 8건(6%)의 특허를 출원함
[그림 2-50] 국가별 특허 출원 현황
(연도별 국가별 출원 동향) 2007년 이후 한국의 조류발전 분야 특허 출원이 지속적 으로 확대하고 있음([그림 2-51] 참조)
- 조류발전 분야의 특허 출원은 매년 미국 주도의 특허 출원이 진행되었으나, 2008년, 2013~2014년 등 몇 해에 걸쳐 한국의 특허 출원이 미국을 추월함
- 국가주도하의 조류발전 분야 연구개발의 활성화 필요
[그림 2-51] 주요 국가별 출원 현황
(주요국가별 기술분류별 특허출원 현황) 지지구조물, 전력변환장치, 동력전달 분야의 특허 출원이 활발함
- 지지구조물, 전력변환장치, 동력전달 기술 모두 미국의 연구개발이 가장 활발한 것 으로 나타남
미국은 동력전달(24건), 지지구조물(23건), 전력변환장치(17건) 순, 한국은 전력변환 장치(15건), 지지구조물(7건), 동력전달(5건) 순
유럽은 동력전달(10건), 지지구조물(5건), 전력변환장치(3건) 순
일본은 전력변환장치(5건) 분야의 특허 출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전력변환장치, 동력전달 기술은 조류발전 상용화 관련 기술에 해당하므로 조류발전 분야는 상용화 중심의 연구개발 실시 중
[그림 2-52] 주요 국가별 기술 분류 출원 현황
(주요 출원인 현황) 조류발전 분야는 국내외 모두 산업계 학계 연구계별 고르게 연
구개발 실시 중
- (산업계) Albatross Technology(일), FLUMIL, HYDRA TIDAL ENERGY TECHNOLOGY(노) - (학계) 인하대학교(한), NORTHEASTERN UNIVERSITY(노)
- (연구계) 한국해양과학기술원(한), NAT MARITIME RES(일)
- 조류발전 분야 특허의 최다 출원인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8건)이고, 이후 Albatross Technology(일), DLZ(미), FLUMILL(노), HYDRA TIDAL ENERGY TECHNOLOGY
(노),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한) 순임
[그림 2-53] 주요 출원인별 출원건수 현황
(연구자-연구문헌 포트폴리오 분석) 기술성장단계를 1구간(1996~2000)년), 2구간
(2001~2005년), 3구간(2006~2010년), 4구간(2011~2015년)으로 구분하여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의 시계열적 관계를 활용하여 분석함
- 2016~2017년은 특허 미공개 구간이 포함되어 분석 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제외함 - 연구자-연구문헌 포트폴리오 부석은 연구자가 연구개발에 대한 생산자이자 새로운
연구개발결과물에 대한 수용자이고, 연구결과는 산출물인 동시에 새로운 기술의 수 용을 나타내는 지표임을 가정함
Ⅰ - 태동기: 신기술의 출현
- 연구문헌 수와 연구자 수는 천천히 증가
Ⅱ - 성장기: 연구개발 활발 경쟁의 격화 - 연구문헌 수와 연구자 수는 빠르게 증가
Ⅲ - 성숙기: 지속적인 연구개발, 일부 도태 - 연구문헌 수 정체, 연구자 수 정체/감소
Ⅳ - 쇠퇴기: 대체기술의 출현, 기술발전 불연속 - 연구문헌 수 정체/감소, 연구자 수 정체/감소
Ⅴ - 회복(부활)기: 대체기술 쇠퇴/유용성 재발견 - 연구문헌 수와 연구자 수가 증가추세로 전환 [표 2-31] 연구자-연구결과 포트폴리오 분석(참고)
- 조류발전 분야는 연구개발이 활발하고, 경쟁이 격화되는 성장기에 해당하여 정부의 투자가 시급한 상황임
3구간과 4구간의 특허 출원 건수와 출원인 수의 차이가 적게 나타나므로 성장기에 머물러 있음
[그림 2-54] 연구자-연구문헌 포트폴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