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대 효과

Dalam dokumen 중남미 국가와 해양자원 공동연구 (Halaman 187-191)

가. 양자간․다자간 공동연구를 통한 지역 거점 및 장기적 지역협력체계 구축

나. 중남미 국가에서 개발 가능한 해양자원 파악 및 협력방안 구축 다.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해양자원에 대한 규제 대응

라. 해양과학기술분야 과학자 및 정책입안자들간의 국제교류로 한․중남 미간 협력사업 확대

제 3 절 중남미 국가 해양과학기술 기술공여

1. 필요성

가. 중남미 국가 해양과학기술 과학자 역량 강화를 통한 중남미 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 유도

나.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시를 통한 한국과 중남미 국가 간 협력 강화 및 국가 위상 제고

다. 한국과 중남미 국가 간의 공동연구 추진 활성화

2. 추진 현황

가. 제 1회 중남미 과학자 대상 교육훈련 실시(2009.10.7~20.한국해양연구원)

1) 훈련분야

가) 해양자원, 해양 생물다양성 및 생명공학, 해양환경, 수산양식 나) 해양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시행

2) 교육훈련 대상자: 중남미 해양 관련 정부 관계자 및 기관 과학자 14명 (페루, 에콰도르,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니카라구아, 엘살바도르, 코 스타리카, 파나마)

3) 교육훈련 방식

가) 강의, 실험, 견학, 훈련자 연구 현황 발표 4) 교육훈련 평가 시행

가) 교육훈련생이 강의 평가

나. 제 2회 중남미 과학자 대상 교육훈련 실시(2011.2.14~16, 페루 리마) 1) 훈련분야: 생물다양성 및 생명공학

2) 참가자

가) 교육훈련 대상자: 해당 분야 과학자 20명(페루, 칠레, 아르헨티나, 코스타 리카,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온두라스, 에콰도르)

나) 강의자: IOC 의장, 콜롬비아 INVEMAR 소장, 미국 마이애미 교수, 한국 전문가 등 9명

3) 교육훈련 방식

가) 강의, 해당 분야 연구 현황 발표 4) 교육훈련 평가

가) 교육훈련생이 강의 평가, 평가결과는 추후 교육훈련에 반영 나) 중남미 수요 파악을 위한 설문 조사 병행

3. 추진 전략

가. 교육훈련 주제는 몇 개의 주제범위 안에서 중점적으로 선정하여 매년

1회 수행

나. 중남미 지역 전문가들의 활용을 점차 확대하고, 중남미 지역의 수요 에 따라 6개월 이상의 개별 장기 연수훈련 고려

다. 교육훈련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교육훈련자들을 위한 매뉴얼 개발 라. 교육훈련 평가내용을 토대로 추후 교육과정 개발 시 반영

마. 다양한 분야에 대한 교육훈련 보다는 중남미 과학자들의 수요에 맞 는 분야를 특화하여 실시

바. 교육훈련을 통하여 중남미 과학자간의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활동을 증진시키는 기회로 활용

사. 교육훈련을 통하여 해당기관의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공동연구 과제를 도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

아. 단기간의 교육훈련과 더불어 장기적인 개별 교육연수를 병행하여 실 질적인 기술이전이 될 수 있게끔 추진

자. 우리나라 UST제도(석․박사과정)를 활용하여 중남미 우수한 과학자 의 능력을 배양시키고, 향후 우리나라와의 공동연구사업을 추진할 때

차. 한페루(중남미) 해양과학기술협력 공동연구센터가 설립되면, 중남미 교육훈련의 거점으로 활용

4. 기대효과

가. 중남미 국가에서의 해양과학기술 역량 제고

나. 해양과학기술분야에서의 기술공여 사업 역량 제고

다. 개도국으로의 기술이전을 통한 해외해양자원 개발 거점 확보

라. OECD 국가로서 국제 해양활동 분야에서의 국제적 역량 제고

제 4 절 제언

Dalam dokumen 중남미 국가와 해양자원 공동연구 (Halaman 187-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