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국가별 해양과학기술 현황 1) 아르헨티나

가) 해양과학기술 동향 (1) 일반 현황

(가) 국토의 면적 대비 연안이 길어 해양이 중요함 (나) 남극에도 아르헨티나 령이 있음

나) 주요 연안지역 (1) 라쁠라따 강

(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끼고 대서양으로 흘러나감

(나) 굉장히 넓은 하역으로 배가 많으며, 기름유출로 인해 오염이 일어나 기도 함

(다) 과거에 유조선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음

(라) 유류오염 사고는 위성관측, 육안 관측 등으로 확인 (2) 안토니오 항구, 발데스만

(가) 고래가 출현하여 관광이 활성화되어 있음 (3) 파타고니아 지역

(가) 조수간만의 차가 큼 (6m-12m) (4) 포틀랜드 해협

(가) 브리질 난류와 함께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중요한 해류임 (나) 한류와 난류가 만나는 중간 지점에서 플랑크톤이 번성 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안

(1) 해양자원

(가) 수산자원 감소, 남획, 해양광물자원 탐사 기술부족 (2) 해양환경

(가) 해양환경정책 일관성 부족, 해양폐기물 처리, 해양환경 중요성에 대 한 인식 부족

(3) 해양산업

(가) 개발과 보전의 갈등, 재해예방 및 대비, 부가가치 수산물 관련 기술 부족

(4) 해양정책

(가) 해양정책 일관성 부족, 개발과 보전에 대한 갈등, 해양연구 및 관리 에 대한 데이터 부족

다) 주요 해양기관 현황 (1) 국가우주위원회

(가) 배경 및 역할

- 국가우주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1991년 설립

- 외교부 산하의 위원회로 외교부 장관이 위원회 의장 역임 - 국가우주프로그램이라는 전략적인 계획을 세움

- 적조 관측 및 예방

- 해수면 온도를 위성사진을 통해 관측, 고등어와 정어리 어업에 해수 면 온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어부들에게 제공, 조업량 확대가 아니라 정확성 제고 목적

(나) 아르헨티나가 우주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 이유 - 광범위한 영토

- 인구분포

- 국제협력

- 자연재해로부터의 취약성

- 자연재해 등을 예방하기 위해 위성 관측 필측 (다) 5개의 행동목표

- 위성의 미션 - 국제 협력 개발 - 정보시스템

- 질 높은 정보 제공 - 위성 성공적 궤도 진입 (라) 해양관련 위성

- 13가지 시리즈가 있는데, 두 개의 위성이 전적으로 해양 관찰

- SacA B C 1A D 1B 등이 있음. 1A와 1B는 이탈리아의 코스모스 시 스템과 협력하여 위성을 발사할 계획에 있음

- 해색관찰을 통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번성, 이산화탄소와 관련된 관측, 수질관측, 적조 관측, 수산업 및 양식과 관련된 관측 등 수행

2) 에콰도르

가) 해양과학기술정책 (1) 해양관련 정책 방향

(가) 환경에 대한 전반적 정책

- 해양 및 연안에서 행해지는 모든 산업 활동은 환경을 보호하며 이루 어져야 함  

(나) 입법에 대한 전반적 정책

- 경쟁을 일으키는 해양과 연안 관련 모든 법들이 준수되며 강화되어야 함 (다) 동등함과 통합에 대한 전반적 정책

- 해양과 연안 활동 관련 모든 조직체의 소통과 동등함을 유지해야 함 (라) 해안 경제를 위한 특별 정책

- 수산업, 어업이 국가의 사회적, 환경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에 기여하 며 지탱될 수 있도록 보장

- 양식 산업이 친환경적으로 운영되고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으며 에콰도르 주민들에게 적당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것을 보장

- 해양과 해안의 생태계를 보존하고 위기 멸종에 가해지는 위험을 최소 화하고 서식지를 복구해나가는 동시에 침략성이 강한 종들을 기피 - 바다 양식을 추진하여 에콰도르의 생산 지역과 수출 확장 및 활성 나) 해양과학기술 동향

(1) 생물다양성과 지적 소유권

(가) 생물다양성은 미래 산업의 하나인 BT의 자원의 하나이며 생물자원을 활용한 특허가 FTA 협상의 주요의제가 되고 있음

(나) 에콰도르는 남미 에서 작은 국가이나 생물다양성이 많은 국가임. 에 콰도르 아마존 지역은 전 아마존 지역의 1.9%에 지나지 않으나 양서 류 3위, 조류 4위, 나무 및 꽃 6위, 포유동물 6위이다. 식물군은

20,000-25,000종 남미에서 지역단위로는 가장 많은 종류를 갖고 있음

(다) 현재 에콰도르, 콜롬비아 및 페루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협상중 이다. 주요쟁점의 하나가 지적소유권 문제임. 동 협정이 발효되면 특 허건 별로 25년간 허가 없이 생산 및 배포를 할 수 없음

(라) 예를 들면, 유전자인용 약품 생산자들은 특허기간 20년간 후 5년 동 안 정보보호를 위해 약품 시험을 위한 연구를 할 수 없음. 즉 25년 이상 지난 후에야 연구가 가능함

(바) 에콰도르 해협은 갈라파고스 섬을 포함함

(사) 건기와 습기 두 가지 계절(12~5월: 우기, 6~11월: 건기)

(아) 북쪽과 남쪽의 환경적 차이가 많이 나서 생물 다양성이 풍부함 (2) 석유자원

(가)석유산업 개황

- 에콰도르 경제는 석유가격에 의한 세입 의존도가 매우 높음.

- 석유산업이 에콰도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으며 원유세 입이 국가 예산의 40%를 점하고 있음

- 에콰도르는 1970년대에 원유수출국이 되었으며, 2004년 현재 확인된 가채원유매장량은 54.4억 배럴(세계 매장량의 0.37%)이나, 잠재 매장 량은 94억 850만 배럴임

- 매장량은 중남미에서 4위이며 원유생산량은 2004년 526,491bpd 배럴임 - 천연가스는 매장 확인양이 3,450억 입방 피트 (4.30gm3)임

- 국영회사 에콰도르 석유공사(Petroecuador)는 1994년부터 연 3.1%씩 생산량이 감소된 반면에 민간 석유회사는 생산량이 2004년에 330,000bpd 로 증가하였음

- 국영회사는 재투자와 기술 혁신이 없었기 때문이며, 반면에 민간회사 는 투자 및 선진기술을 도입하였기 때문임

- 2003년 9월 송유관 준공($15억 투자)으로 원유생산량은 2002년 385,000bpd 에서 2003년 494,000bpd로 증가하였음

- 2003년 중질유송유관(OCP)을 개통하여, 송유능력은 850,000pdb이지만 절반 정도 송유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는 에콰도르 석유공사 소유 5개 유전에 대한 투자 및 기술부족으로 인해 생산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임 - 에콰도르 정부는 원유생산량을 2007년까지 613,000bpd로 증산을 목표

로 하고 있으나 Petroecuador 노동자들의 석유개방 반대 및 2001년도 부가세의 증가 등으로 외국인 투자가 부진한 실정임

- 원유수출국이면서 디젤유 및 액화가스(LPG)포함 석유제품 일부를 수 입하고 있으며, 2003년 12월에는 국내시장 부족분을 충당하기 위해 수입량이 1,700만 배럴에 달함

- 에콰도르 정부의 석유산업 정책 목표는 첫째 25년간 생산할 수 있는 양을 확보하고, 둘째 원유관련 제품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전환하며, 셋째 석유산업을 강화하고, 넷째 친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을 하 는 것임

(나) 유전개발 및 원유생산

- 2003년 말 현재 Petroecuador(에콰도르 석유공사)측의 확인된 원유 매 장량은 54.14억 배럴(b)이며. 이중 50%가 중질유임. 아마존 동부 지역에

API 15내외의 중질유 매장량이 15.57억 bpd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개발 및 생산을 하고 있는 유전지대 면적은 4,673,601핵타 이며, 이중

에콰도르 석유공사(Petroecuador)가 개발하고 있는 유전이 690,000hs 이고, 민간 석유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유전이 3,983,600hs임

- 원유탐사지역을 블록으로 나누며, 1 블록은 20만 핵타 이며 이는 다시 lote로 나눈다. 원유생산 주요 유전은 Shushufindi, Sach, Auca, Libertador 와 Cononaco임. 2003년도에 7개 유정을 뚫었으며, 전년도에는 18개를 뚫었음

- 2,000km2에 대하여 3개 지역에 대한 탐사를 한바, 국영 석유공사의 개발 지역의 매장량이 증가할 여지가 있음

(다) 라틴아메리카 에너지자원 매장량 및 생산량 - 라틴 아메리카 에너지 자원 매장량

국가( ) 확인연도 원유매장량 억 배럴 천연가스 매장량 억 입방m

Argentina('02) 29.27 7,680

Bolivia (,02) 4.58 7,272

Brazil ('02) 85.07 2,217

Chile ('02) 0.8105 677.8

Colombia ('02) 18 1,320

Ecuador ('03) 54.14 1,065

Mexico ('04) 511.1 9,692

Peru ('02) 6.14 2,451

Trinidad and Tobago ('04) 9.90 5,890

Venezuela ('02) 639.5 4.207 조*

표 22. 라틴 아메리카 에너지 자원 매장량

출처: 미국 CIA 자료에서 발췌 작성 (http:/www.cia/publication/factbook/geos/-Ecuador 원유매장량은 주재국 에너지 광업부 자료

* 베네수엘라 전연가스 매장량은 4.207조 입방 m.

1999 2000 2001 2002 2003 라틴 아메리카 9,124.7 9,167.2 9,319.4 9,464.5 9,539.6

Argentina 801.4 769.2 781.8 755.9 740.7

Brazil 1,098.o 1,095.0 1,292.8 1,454.4 1,496.1

Chile 7.7 7.2 6.6 5.8 3.9

Colombia 815.5 687.2 603.7 575.0 541.0

Ecuador 371.1 392.0 401.3 391.8 415.5

Mexico 2,906.1 3,012.1 3,127.1 3,177.2 3,370.8

Peru 109.5 99.2 95.1 92.8 87.6

Trinidad & T 125.0 119.5 113.4 130.6 135.5

Venezuela 2,800.4 2891.0 2,791.9 2,782.0 2,643.0

Others 92.3 94.6 105.9 99.1 105.5

표 23. 라틴 아메리카 주요국 원유생산량

(단위: 1,000bpd)

(3) 연안지역

(가) 인구의 65%가 거주; 계속 증가 (나) 산업과 항구 발달, 수산업 발달

(다) 맹그로브 섬의 감소 (30년간 26% 감소); 새우 양식으로 인함 (4) 수산업

(가) 만따는 참치 어선이 중요, 참치조업은 소형어선을 중심으로 이루어짐 (나) 구와자키는 새우 조업선이 많이 드나드는 항구

(다) 중남부에서 연안 조업이 활발

(라) 통상어업부 아래에 있는 국가어업발전위원회에서 조업량 결정 (마) 원양어업 활발(소형어종, 참치(남미에서 가장 큰 규모), 새우) (바) 민간 관련기관

- 수출업자

- 외국과의 협력을 관장하는 수산업회의소 - 참치조업을 자문하는 컨설팅 위원회 - 연안조업을 하는 어민간의 협동조합 등 (사) 새우양식업

- 엄격한 유럽의 기준이 적용됨으로써 생물, 화학, 물리적 컨트롤이 가 능하게 되었고, 인체에 무해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음

- 엄격한 관리를 통해 제품의 질 보장. 현재 태평양 지역에 진출해 있 고, 미국, 북미 쪽으로도 진출을 꾀하고 있음

- 특히 참치를 중심으로 아시아 쪽으로 진출하고 싶어함

(5) 수출 관련

(가) ACPAA가 수산물의 품질을 보장하며, 미국과 유럽 등지로 수출(조기, 새우, 조개류, 게 등)

(6) R&D

(가) 어종분류학, 플랑크톤, 화학 및 물리해양 연구 수행 (나) 정부와 민간의 협동 연구

(7) 기후변화

(가) 기후정보를 수집하여 수산업에 활용될 수 있도록 활용 (나) 페루, 칠레와 함께 엘니뇨 및 대기압 연구

(다) 엘니뇨가 원양 조업에 영향을 미침. 현재로서는 새우 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

(라) 해수면상승, 도시 등이 연안지역에 위치하여 기후변화에 관심이 큼 (8) 해양산업

(가) 가스 개발

- 대규모 원유 등은 동쪽의 셀바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음. 지금 탐사 가 끝나고 천공을 하고 있는 시기임

- offshore에 있는 유전이기 때문에 개발이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음. 이전에도 실패의 경험이 있음

- 980만 입방 피트가 매장되어 있는 가스전이 개발된 바 있음. 여기에

서 채집된 가스가 판매되어 전력을 생산하고 있음. 천연가스 매장지 역이 높은 지역이 있어서 한국에서도 참여 가능할 것임

- 구와자키만은 유전이 개발되고 있지만,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이라 환경 보전 차원에서 문제가 되고 있음

(나) 어항

- 현 정부에서 북쪽 지역에 인공 어항을 개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 음. 현재 167척 정도가 취항할 수 있음

- 인근의 영세 어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소형 항구들도 개발하려고 함. 이 지역에는 약 35~50만명 정도의 영세 어민들이 거주하고 있음 - 뽀쏘르카 지역의 경우에는 심해에 어항을 건설하려고 하고 있음 - 만따의 경우에도 대규모 어항을 계획하고 있음

(다) 수산업

- 중요한 외화 수입원이자 고용창출원임

- 1,300만인구 중에서 수산업에 종사하는 인구가 150만(개인어부 55,000

Dalam dokumen 중남미 국가와 해양자원 공동연구 (Halaman 111-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