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한중남미 국가 간 정책 입안자 및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가. IOC를 활용한 중남미 국가와의 협력

1) IOC를 활용한 중남미 국가와의 협력사업의 장점

가)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IOC 인적 네트워크 활용이 용이

나) IOC를 통하여 중남미 국가들의 사업 참여 유도

2) 한․중남미 해양과학 정책포럼 가) 일 시: 2008년 6월 25일

나) 장 소: 프랑스 파리 UNESCO 본부

다) 참가자: 한국 정부관계자 및 해양 관련 연구원, IOC 의장, 사무총장, 중 남미 국가 관련자 이외에 국제기구 관련자 약 25명

라) 목 적

(1) 관심 있는 IOC 회원국 및 중남미 국가 대표들에게 본 사업에 대한 소개 (2) 중남미 국가들의 해양과학기술 수요 파악 및 의견 공유

(3) 본 사업에 참여의사가 있는 중남미 국가 파악

마) IOC 총회를 활용한 한․중남미 포럼 개최 장점

(1) IOC 총회는 UN 산하의 유일한 해양 관련 정부간 협력기구로 136개의

회원국을 보유하고 있음

(2) 2년 마다 파리 UNESCO 본부에서 총회를 개최하며 회원국 정부 대표

및 해양 전문가들이 회의에 참석함

(3) 따라서 이 회의를 통하여 중남미 국가 대표들과 전문가들을 한 자리에 모아 본 사업을 설명하고 각 국가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어 비용 및 시간 절약이 가능함

(4) 또한 IOC 총회에서 논의된 최근 해양 관련 이슈를 본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 논의 등 여러 가지 이점이 있음

바) 포럼 결과 (1) 본 사업 소개

(가) 공동연구 발굴을 위해서 기후변화 등 기존에 수행하고 있는 IOC 사 업과 연계 가능성 시사

(나) 이 사업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가 연구사업을 발굴하는데 있으므로 각 나라의 우선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함

(2) 본 사업에 대한 IOC 지지와 의견을 이끌어냄

(가) IOC 선호사항을 고려하여 수행하는 것이 좋을 것이며 IOC가 프로젝

트를 지원해 줄 수 있음

(나) 각 나라마다 협력 분야 우선순위가 다른 관계로 이 프로젝트를 수행 하는데 큰 장애가 될 수 있으므로 IOC 각 나라 대표와 접촉하는 것 이 바람직함

(다) 상호간에 관심 있는 영역과 다자간 사업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잠 재적 이득이 무엇인지에 관한 옵션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라) 공동연구사업을 발굴하는 것은 IOC로부터 다른 접근이 필요함 (마) 몇 개의 이슈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함

(3) 중남미 국가 이외의 국제기구 전문가 등으로부터 본 사업에 대한 관심 을 이끌어 냄

(가) 교육훈련 프로그램으로 단기간의 성과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장기간의 이익에 대해서 고려해야 함

(나) 중남미 국가 중 브라질 등의 나라에서는 이미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프로그램과 한국이 제안한 교육훈련 프 로그램과의 차별성을 부각시켜야 할 것으로 여겨짐

(4) 기술공여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중남미 국가대표들의 수요를 파악 (가) 교육훈련 기간을 4주 이상 원하고 있음

사) 중남미 국가들 참여의사 확인

(1) 칠레,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페루, 베네수엘라 등의 국가대표가 본 사 업 참여 의사를 보내 옴

그림 9. IOC 총회에서 사무총장과 의장 등

3) 한․IOC 2자간 회의

가) 일 시: 2008년 5월 26일 나) 장 소: 프랑스 파리

다) 참여자: Dr. Bernal, 해양(연) 대외협력실장 허식, 변상경 책임연구원, 김 경진 연수연구원, 기상청 서장원 박사, UNESCO 한국 임현묵 팀장, KOC 사무국 최효진 간사

라) 목 적

(1) IOC 사무총장인 Dr. Bernal과 중남미 사업 논의 마) 회의 결과

(1) 중남미 해양과학기술 현황 및 수요에 대한 의견 공유

(가) 페루, 칠레, 아르헨티나 등 많은 중남미 국가들이 수산업 및 수산 관련 기술, 선박건조 기술에 관심이 많음

(나) 선진국에서는 수산업 자체보다는 과학적 연구에 관심이 많으며 특히 오염이나 생태계 관리에 관심을 많이 보이고 있음

(다) 많은 중남미 국가들이 해양 부분에 해군이 깊숙이 관여하고 있는 관 계로 과학적 연구가 취약하며 특히 해양 부분은 대학과의 연계가 필 요함

(라) 브라질, 칠레, 아르헨티나 등 많은 나라에서 Marine Technology에 관 심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브라질의 경우는 심해저에서 석유를 발굴 하는 관계로 Deep sea technology에 관심이 많음

(마) 또한 브라질에서는 선박건조 기술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고 실 제로 이 분야의 기술을 지속적으로 발달시키고 있음

(바) 브라질이 Capacity building 경험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연구에 기초 한 내용보다는 기술적인 면에 치중하여 수행하고 있음

(1) IOC 사무총장이 본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자문을 해주기로 하였음

4) IOC를 통한 한․중남미 해양과학기술 협력

가) 일 시: 2008년 6월 15일 나) 장 소: 프랑스 파리

다) 참여자: 한국정부 대표, IOC 의장 및 사무총장 등, 136개 회원국 중 중 남미 국가 관계자

라) 목 적

(1) IOC 회원국과 중남미 사업 논의

마) 회의 결과

(1) IOC 회원국을 대상으로 본 사업에 대한 홍보자료 배포 및 소개

(2) 중남미 국가와 교육훈련 프로그램 실행 시 IOC의 지원을 요청함

나. 주한페루대사와의 면담

1) 일시 및 장소: 2008.9.17/한국해양연구원

2) 참석자: 염기대(한국해양연구원장), Lopez Bravo 주한페루대사, 허식, 김경진

3) 면담 주요 내용

가) 한-중남미 워크숍 일정 및 참석자 확인

(1) 페루 IMPARPE Hector 청장을 비롯한 중남미 참석자 리스트 확인 (2) 본 사업에서 페루가 중남미 국가들을 대표하는 국가이며, 교육훈련연구

센터의 중남미 중심 국가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해 재차 확인 (3) 페루 대사가 워크숍 개막식에 참가하여 축사하기로 함

나) APEC 회의시 한-페루 정상회담 의제 발굴

(1) 기관 간의 협력을 국가 간 협력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음 주 페루

대사가 IMARPE 청장을 만나 향후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관하여 논의

할 예정임

(2) 한국 측에서도 APEC 정상 회담시(11월 페루 리마 개최) 어떠한 해양 관련 의제를 내어놓을지 생각해 줄 것을 부탁하였음

다) 향후 KORDI-Latin America 협력사업 운영방안 논의

(1) 페루 대사는 페루 및 중남미 국가의 해양 다양성과 풍부한 자원에 관 하여 거듭 강조하였으며 양국의 협력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였음 (2) 또한 한국은 성공한 개발도상국으로서 페루에 일방적으로 지원하는 관

계가 아니라 서로 협력하여 발전하는 관계가 될 것을 기대한다고 언급함 (3) 현재 진행되고 있는 KORDI-Latin America 협력사업 활동의 워크숍,

교육훈련 실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설명

다. 제 1회 한중남미 해양과학기술 협력 워크숍

그림 10. 제 1회 한중남미 해양과학기술 협력 워크숍 리플릿

1) 기 간: 2008년 9월 22일(월) ~ 24일(수) 2) 장 소: 리츠칼튼호텔 / Hallaroom

3) 주 최: 국토해양부, 교육과학기술부, UNDP Korea

4) 주요 의제

가) 한․중남미 국가 간 해양과학기술 협력과제 소개 나) 한국과 중남미 국가들의 해양과학기술 현황 공유 다) 해양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중남미 국가 수요파악 라) 한․중남미 국가 간 잠재적 협력 분야 논의

마) 2009년도 해양과학기술 훈련 프로그램 논의

5) 참석자

가) 중남미 참여국가: 칠레, 에콰도르,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대표 각 1명, 페 루 대표 2명, 중미 7개국(벨리세, 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 두라스, 니카라구아, 파나마) 대표 2명 등 총 8명

나) 한국: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국 토해양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UNDP Korea 등 프로젝트 관련 자, 민간기업 등 약 70여명

이름 나라 기관 직급

Héctor Soldi Peru Instituto del Mar del

Perú (IMARPE) Presidente Consejo Directivo

페루해양청 해양청장

Jose Luis Guerola Peru Instituto del Mar del Perú (IMARPE)

International Advisor 국제협력 자문위원 Monica Rabolli Argentina Commision Nacional del

Espacio de Argentina Researcher 아르헨티나 국가우주위원회 연구위원 Marcelo Nilo Chile Instituto Pesquero de

Chile Corporate Relations Officer 칠레 수산연구기관 대외협력(부원장) Dr. Francisco

Arias  Columbia INVEMAR Director General

기관장 Dr. Nikita Gaibor Ecuador Instituto Nacional de

Pesca Subdirector, Leader of Marine Resources Evaluation

국립수산연구원 부원장

Mr.ANTONIO ANTONIO

PORRAS Costa Rica

Instituto Costarricense de

la Pesca (INCOPESCA) DIRECTOR TECNICO DE INCOPESCA EL LIC 코스타리카

수산연구원(정부기관) 기관장 Mr.MARI

GONZALES El

Salvador

CENTROAMERICANO DE

PESCA Y ACUICULTURA Director

중미농수산기구 기관장

표 3. 중남미 참여자 소속 및 직급

6) 워크숍 프로그램 일정

표 4. 제 1회 한중남미 워크숍 프로그램 일정-1

표 5. 제 1회 한중남미 워크숍 프로그램 일정-2

7) 워크숍 결과

가) 해양자원, 해양환경, 해양산업 분야에서 한국과 중남미 국가 현황 발표 나) 중남미 국가에서 20개 협력의제 제안

다) 중남미 국가에서 중남미 국가 희망 협력의제 합의문 제출 라) 한․페루 정부 간 해양과학기술 협력 MOU 초안 검토

그림 11. 제1회 한․중남미 해양과학기술 협력 워크숍 참가자

라. 중남미 국가 희망 협력의제 (20개)

1) 실시간 데이터 수집을 통한 엘니뇨 모니터링 2) 녹조류를 이용한 바이오 디젤 생산

3) 유류오염 방제와 모니터링 관련 교육훈련 4)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DB 구축 분야 협력

5) 양식업과 관련된 협력, 새로운 어종 개발, 외해가두리 양식

6) FAO 메뉴얼과 과정에 근거한 생태계 기반 어업관리

7) 적조 모니터링과 조기 경보 시스템

8) 해안 지역 통합관리 시스템 분야에서의 능력배양

9) 태평양 연안에서 엘리뇨 영향에 대한 정보 교류를 위한 FOCALAE(FEALAC) 프로젝트 개발

10) 기후변화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평가 11) 통합 연안관리 분야에서의 훈련

12) 해양오염 및 생태계 환경을 위한 수질 모니터링, 전문가에 대한 교 육훈련, 기기 공동 활용

13) 조력에너지 발전(아르헨티나나 콜롬비아의 경우)

14) 풍화와 부착물로 인한 연안 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항만건설 구조 및 기술

15) 평형수에 관한 외래 침범 어종 통제 협력

16) 한국의 생물자원관 건립 경험을 기반으로 중남미 국가에서의 생물 다양성 지역센터 건립 및 수행(생물다양성, 어종 등 리스팅)

17) 여수해양박람회의 참여(생물다양성 보존에 대해서) 18) 항만건설, 항만 관련 시설 관리와 운영에 대한 능력배양 19) 수산업 관련 오염저감(폐기물, 해양 쓰레기 제거 기술) 20) 약품이나 화장품 등 상업적 생산을 위한 생명공학기술

마. 중남미 국가 희망의향서(6개 분야)

1) 제1회 한중남미 협력 워크숍의 중남미 국가 참가자들 (가) Mr. Hctor Soldi 페루 해양청장

(나) Dr. Francisco Arias 콜롬비아 INVEMAR 원장

(다) Mr. ANTONIO PORRAS 코스타리카 수산연구원 원장 (라) Mr. MARIO GONZALES 엘살바도르 중미농수산기구 원장 (마) Mr. Jose Luis Guerola 페루 해양청 국제협력 자문위원 (바) Mrs. Monica Rabolli 아르헨티나 국가우주위원회 연구위원 (사) Mr. Marcelo Nilo 칠레 수산연구기관 부원장

(아) Dr. Nikita Gaibor 에콰도르 국립수산연구원 부원장

2) 우리는 2008년 9월 20~24일에 열린 워크숍에 대해 한국 정부와 한국

해양연구원에 진심으로 감사드림. 워크숍 동안, 한국 정부와 여러 다 른 기관 대표들이 해양자원, 해양환경과 해양산업과 관련한 여러 다 양한 분야에 대한 발표가 있었음. 워크숍에서 중남미 대표자들 또한 동일 분야에 대한 그들 각자 나라의 실질적 상황들을 발표했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