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기본공통정보

Dalam dokumen 동해 연안 Eco-mapping 연구 (Halaman 184-188)

SUMMARY

Chapter Ⅳ Achievements of objectives and contributions to the related

1) 기본공통정보

기본공통정보는 연구지역에 대한 이해와 데이터 분석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연구 지역 주변에 대한 기초정보를 수집 요약하고, 조사구역 및 정점정보를 표출하였다. 이 중 강 릉 십리바위 주변해역은 동해안 대표적 서식환경인 수중암반과 사질로 구성되어 있어 동해 안 연안 서식환경 및 생물간 특성 이해를 위해 2017년도에 조사되었다.

먼저, 연구해역인 십리바위와 그 주변 정보에 대해 살펴보면 지리적으로 경포해변과 오리 바위가 있다(그림 3-3-3). 경포해변은 해수욕장으로써 위치는 강원도 강릉시 안현동에 소재 하고, 면적은 약 144,000 ㎡, 길이는 약 1.8 ㎞, 폭은 약 80 m에 이른다. 그리고 강원도에 소 재하는 주변 해수욕장 중에서도 경포해변이 약 89.3%로 가장 높은 이용현황을 나타내고 있 고, 해수욕장 기간 중 이용객 수는 약 6,000 여명을 웃도는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그림 3-3-4 ∼ 3-3-5). 이것은 경포해변이 친수공간으로써 인간의 이용이 활발하고 연중 내내 다 양한 레저활동과 축제행사 등이 이루어지고 있어 연구해역의 해양생태계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3-3-3. 십리바위와 주변(출처: 네이버)

그림 3-3-4. 2015년 경포해변 주변 해수욕장 이용현황(출처: 강릉시 통계연보)

그림 3-3-5. 경포해수욕장 이용객 수(출처: 강릉시 통계연보)

그리고, 십리바위와 함께 육지와의 사이에 있는 오리바위에 대한 기존 자료는 해양수산부 무인도서 종합정보제공(http://uii.mof.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내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십리바위

- 명칭 : 십리바위(외가리암)

- 좌표 : 37°48′37″N 128°54′46″E

- 지번 : 안현동 854(십리바위 1), 855(십리바위 2)

- 면적 : 1,745 ㎡(십리바위1 – 836 ㎡ / 십리바위2 – 909 ㎡) - 육지와의 거리 : 0.43 km(안현동 0.43 ㎞)

- 150 -

- 이용현황 : 경포 사근진 어촌계와 강문 어촌계 주민들이 주변해역에서 해산물 채취를 하며, 육지쪽(도서 서쪽) 해역은 경포해수욕장으로 이용됨

- 지형/지질 : 섬의 형상은 돔(dome) 형태이고, 수평, 수직 절리면을 따라 파식에 의한 침식이 진행되고 있음. 십리바위1, 2는 하나로 연결된 섬이었으나 해식노 치에 의해 비슷한 규모의 2개 바위섬으로 분리됨

- 주요생물 : 육상 동·식물 및 조류, 곤충류는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임. 주요 해양생물로 는 조간대 동물 35종이 분포하고 조무래기따개비가 우점. 해조류 47종을 확인한 바 있고, 조하대에 사카이대마디말, 왜모자반, 그물바탕말류 등 혼 생함

- 해역경관 : 주변 해역 조하대 1 m 지점에 미역이 거대한 숲을 형성하고 있음. 20 m 앞쪽에 해중림초를 투하 관리하고 있으며, 해중공원 조성을 위한 철제 H- 빔 모형선박이 투하되었음

○ 오리바위

- 명칭 : 오리바위(내가리암)

- 좌표 : 37°48′27″N 128°54′37″E - 지번 : 안현동 853

- 면적 : 691.0 ㎡

- 육지와의 거리 : 0.12 km(안현동 0.12 ㎞)

- 이용현황 : 경포 사근진 어촌계와 강문 어촌계 주민들이 주변해역에서 해산물 채취를 하며, 육지쪽(도서 서쪽) 해역은 경포해수욕장으로 이용됨

- 지형/지질 : 기반암상에 수직절리가 많이 발달되어 있고 섬의 서쪽부분은 급경사의 해 식애를 이룸. 섬 내부에 차별침식으로 소규모의 단계모양의 암괴를 이룸 - 주요생물 : 육상 동·식물 및 조류, 곤충류는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임. 주요 해양생물로

는 조무래기따개비, 갯강구 등 조간대 동물 30종 분포. 해조류는 녹조류 6 종, 갈조류 13종, 홍조류 20종으로 총 39종 확인. 조하대에 대마디말류, 왜 모자반, 방식청각, 구멍쇠미역, 참곱슬이 등 혼생

- 해역경관 : 서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조하대는 기반암을 제외하면 사질해안으로 이루 어짐

그림 3-3-6. 십리바위(좌)와 오리바위(우) 드론 사진

다음으로, 연구해역의 조사구역 및 조사정점에 대한 공통정보는 그림 3-3-7과 표 3-3-2와 같다. 십리바위를 중심으로 약 500 x 500 m 구역에서 해저공간 및 해수환경 조사를 수행하 고, 서식생물 조사는 십리바위 주변 약 200 m 이내에서 수행되었다. 그리고 조사정점은 10 개 정점을 계획하여 수행하였다.

그림 3-3-7. 조사구역 및 조사정점

- 152 -

정점명 경도 위도

도 분 초 도 분 초

1 128 54 37.98 37 48 43.14

2 128 54 42.12 37 48 39.9

3 128 54 46.68 37 48 40.92

4 128 54 51.36 37 48 37.5

5 128 54 48.66 37 48 34.56

6 128 54 52.8 37 48 30.84

7 128 54 45.96 37 48 28.02

9 128 54 39.9 37 48 33.78

10 128 54 33.06 37 48 39.18

표 3-3-2. 십리바위 주변 조사정점 좌표

Dalam dokumen 동해 연안 Eco-mapping 연구 (Halaman 184-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