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식생물정보

Dalam dokumen 동해 연안 Eco-mapping 연구 (Halaman 193-200)

SUMMARY

Chapter Ⅳ Achievements of objectives and contributions to the related

4) 서식생물정보

- 158 -

그림 3-3-13. 십리바위 주변 해양무척추동물 출현종수와 개체수 분포도

그림 3-3-14. 해양무척추동물 출현종수와 개체수(좌: 십리바위 북서 정점, 우: 십리바위 남동 정점)

대형저서동물 주제도는 출현종수, 생체량, 서식밀도에 대한 분포도 작성으로써 point feature, raster 유형으로 생성하고 bar graph와 contour로 심볼화 하였다. 먼저 각 조사정점 에서의 분류군별 출현종수를 보면 정점 1에서 가장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음을 알 수 있고, 모든 정점에서 절지동물의 출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그림 3-3-15).

그림 3-3-15. 대형저서동물 출현종수 분포

그리고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분포는 그림 3-3-16과 같이 출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서 식밀도 분포도는 그림 3-3-17 ∼ 3-3-18과 같이 raster 피처 유형을 생성하여 contour로 심 볼화 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의 총 서식밀도는 약 470 ∼ 1,520 indi./㎡의 범위로 십리바위와 가장 가까운 정점 2에서 개체수의 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북서쪽 연안 정점 1과 10, 그 리고 남쪽 연안 정점 7에서 높은 밀도 순으로 나타났다. 환형동물과 절지동물은 정점 2을 제외한 연구지역에서 모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연체동물은 정점 10, 극피 동물은 정점 1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내고 있다.

- 160 - 그림 3-3-16. 대형저서동물 개체수

그림 3-3-17. 대형저서동물 총 서식밀도 분포도

그림 3-3-18. 대형저서동물 분류군별 서식밀도 분포도

대형저서동물의 생체량 분포는 그림 3-3-19과 같이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생체량 분포도는 서식밀도 분포도와 마찬가지로 raster 피처 유형을 생성하여 contour로 심볼화 하 였다(그림 3-3-20 ∼ 3-3-21).

그림 3-3-19. 대형저서동물 생체량

- 162 -

그림 3-3-20. 대형저서동물 총 생체량 분포도

그림 3-3-21. 대형저서동물 분류군별 생체량 분포도

대형저서동물의 총 생체량 분포는 약 1.9 ∼ 427.5 gWWt/㎡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정점 1 에서는 연체동물의 생체량 약 261.6 gWWt/㎡, 정점 4에서는 극피동물의 생체량 약 424.8 gWWt/㎡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환형동물과 절지동물의 생체량은 비교적 낮은 분포를 보이지만, 그 중에서 연안에서 가장 가까운 정점 9에 높은 분포값을 보이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중형저서동물 주제도는 출현종수, 생체량, 서식밀도에 대한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시각 화 방법을 대형저서동물과는 달리하여 point로 생성한 피처를 graduated symbol로 나타내었 다. 중형저서동물의 출현분류군수는 4 ∼ 7 종으로 나타났으며, 생체량은 약 291 ∼ 1,152

㎍/10㎠ 로 조사정점 9에서 가장 높았다(그림 3-3-22)

그림 3-3-22. 중형저서동물 출현종수(좌)와 생체량(우) 분포도

그리고, 중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 분포는 그림 3-3-23과 같다. 중형저서동물의 총 서식밀 도(약 432 ∼ 1,796 indi./10㎠)는 십리바위를 기점으로 연안에 가까운 정점 7, 9, 10에서 높 게 나타났고, 선충류의 분포(약 151 ∼ 1,775 indi./10㎠)도 동일한 양상을 보인다(그림 3-3-23 (a)와 (b)). 저서성 요각류(약 6 ∼ 206 indi./10㎠)와 유공충류(약 11 ∼ 265 indi./10

㎠)의 서식밀도는 십리바위의 북서쪽 정점 1과 2에서 높은 출현양상을 보이면서 생체량의 분포와 유사하다(그림 3-3-23 (c)와 (d)).

Dalam dokumen 동해 연안 Eco-mapping 연구 (Halaman 193-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