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Chapter Ⅳ Achievements of objectives and contributions to the related
1) 서식환경 유형별 해양생물 생태특성 분석
동해 북부 연안 강릉 십리바위 남쪽(면적 909 ㎡)에서 출현한 무척추동물은 총 34종 79개 체가 출현하였다. 그 중 절지동물 14종, 연체동물 10종 순으로 가장 높은 출현을 나타냈다 (그림 3-1-2). 절지동물은 주로 따개비류(조무래기따개비, 거북손), 십각류(바위게) 등이 높 은 출현을 나타냈으며, 연체동물은 밤고둥, 두드럭배말, 굵은줄격판담치 등이 높은 출현을 나타냈다.
그림 3-1-2. 강릉 십리바위 주변 무척추동물의 출현 개체수
십리바위 주변 서식지영상합성지도 제작을 위한 조사구역(면적 10 m x 10 m)에서는 총 38종 81개체가 출현하였으며, 그 중 연체동물이 9종으로 가장 높은 출현을 나타내었고, 십리 바위 남쪽 지역과는 달리 분류군별로 균등하게 출현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동해지방해양항 만청에서 보고한 2009년 강원도 무인도서 실태조사 및 관리유형 지정방안 마련 연구에서 출 현한 무척추동물은 34종으로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무척추동물이 출 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3-1-3).
그림 3-1-3. 강릉 십리바위 주변 무척추동물의 출현종수
십리바위(십리바위 남쪽 면적 909 ㎡)과 십리바위 주변(십리바위 북쪽 면적 10 m x 10 m)에서 출현한 해양생물(무척추동물, 해조류)의 주요 우점분류군에 대한 수중생태사진 획득 은 수중생태지도 제작 및 수중생태계에 대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강릉 십리바위 주변에 서식하는 생물의 생태사진은 그림 3-1-4와 같다.
해면동물: 주황해변해면 해면동물: 호박해면
그림 3-1-4.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생물 생태사진
- 26 -
해면동물: 황록해변해면 자포동물: 갈색꽃해변말미잘
자포동물: 검정꽃해변말미잘 자포동물: 풀색꽃해변말미잘
자포동물: 섬유세닐말미잘 자포동물: 해변말미잘
연체동물: 둥근전복 연체동물: 두드럭배말
그림 3-1-4.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생물 생태사진(계속)
연체동물: 흰삿갓조개 연체동물: 밤고둥
연체동물: 대수리 연체동물: 굴
연체동물: 고랑가리비 연체동물: 굵은줄격판담치
연체동물: 지중해담치 연체동물: 홍합
그림 3-1-4.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생물 생태사진(계속)
- 28 -
연체동물: 군소 환형동물: 명주실타래갯지렁이
환형동물: 우산석회관갯지렁이 절지동물: 바위게
절지동물: 무늬발게 절지동물: 거북손
절지동물: 갯강구 절지동물: 빨강따개비
그림 3-1-4.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생물 생태사진(계속)
절지동물: 조무래기따개비 극피동물: 돌기해삼
극피동물: 둥근성게 극피동물: 말똥성게
극피동물: 아무르불가사리 극피동물: 아팰불가사리
극피동물: 별불가사리 극피동물: 태평양애기별불가사리 그림 3-1-4.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생물 생태사진(계속)
- 30 -
척삭동물: 미더덕 척삭동물: 우렁쉥이
척삭동물: 보라판멍게 척삭동물: 흰덩이멍게
그림 3-1-4.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생물 생태사진(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