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식지 환경 맵핑 분석

Dalam dokumen 동해 연안 Eco-mapping 연구 (Halaman 154-163)

SUMMARY

Chapter Ⅳ Achievements of objectives and contributions to the related

4) 서식지 환경 맵핑 분석

- 118 -

그림 3-2-9.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지 환경 맵핑 주제도

(정밀 해저 지형 + 해저면 영상, 수직상공에서 본 모습)

- 120 -

그림 3-2-10.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지 환경 맵핑 주제도 (정밀 해저 지형 + 해저면 영상, 3차원 모습) a. 남서쪽에서 본 모습

b. 서쪽에서 본 모습 c. 동쪽에서 본 모습 d. 남쪽에서 본 모습

그림 3-2-11.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지 환경 맵핑 분류도 (정밀 해저 지형 + 해저면 영상)

- 122 -

강릉 십리바위 주변해역에서 획득하고 분석한 정밀 해저 지형도와 고해상도로 합성한 서 식지영상합성지도 자료를 기반으로 맵핑 분석을 통해 서식지 입체 해저면영상합성지도를 작 성하였다(그림 3-2-12, 그림 3-2-13). 서식지영상합성지도는 수중과학잠수 현장조사 시에 획득하였으며, 실제 해저면의 서식지 환경을 촬영한 영상 정보이다. 이는 정밀 해저 지형자 료와 주요 서식지의 생물상에 대한 연계 분석을 목적으로 맵핑 주제도 작성에 활용하였다.

약 10 m x 10 m 범위의 서식지영상합성지도를 해당 범위의 지형자료와 중첩하였고 이를 통합하여 분석함으로 해저 지형 및 해저환경과 생물상의 연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강릉 십 리바위 주변해역을 대상으로 작성한 서식지 입체 해저면영상합성지도 결과를 보면, 수심 약 6 ∼ 8 m 범위에 발달한 수중암반에 의한 해저면 지형 기복이 수중 영상에서 확인되는 지 형 특성과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중암반 주변에 성게류나 해조류 (게바다말, 개서실 등) 등이 주로 서식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 맵핑 분석에서 활 용한 서식지영상합성지도를 고정 모니터링 정점 개념으로 계절별로 조사한다면 연구지역에 대한 계절별 변화상 모니터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동해 북부 연 안 강릉 십리바위의 수중생태지도를 제작하여 연안의 환경변동성을 시각화하고 연안환경 및 생태계 관측 자료 제공을 통해 어업 생산성 증진에 간접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3-2-12.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지 입체 해저면영상합성지도 (정밀 해저 지형 + 서식지영상합성지도, 수직상공에서 본 모습)

- 124 -

그림 3-2-13. 강릉 십리바위 주변 서식지 입체 해저면영상합성지도 (정밀 해저 지형 + 서식지영상합성지도, 3차원 모습) a. 동쪽에서 본 모습

b. 북동쪽에서 본 모습 c. 남서쪽에서 본 모습

연구지역의 해저면 환경 조사 및 분석 외에 십리바위의 정확한 형태 및 모습을 파악하고 자 추가적으로 십리바위의 해수면 위 노출 범위에 대한 드론 촬영을 수행하고 정사영상도를 작성하였다(그림 3-2-14). 드론 촬영은 고도 약 150 m 이내 범위에서 십리바위 주변 구역을 전체적으로 촬영하였으며, 별도로 고도 약 20 ∼ 30 m에서 노출암과 해수면의 경계 주변 을 촬영하여 해수면 인접지역의 생태 환경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직상공에서 총 약 250여 장을 촬영하였으며 기준점 보정 및 이미지 합성을 통해 십리바위 주변 수직상공 정사영상도 를 완성하였다. 해수면 위로 드러난 십리바위는 크게 두 바위로 나뉘어져 있는데, 북서쪽 방 향과 남동쪽 방향으로 대칭으로 형성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드론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한 영상자료는 해저면 환경 생태계 뿐 만 아니라 해수면 경계 및 육상(바위)의 환경 생태계도 함께 연계 분석이 가능하여 향후 종합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26 -

그림 3-2-14. 강릉 십리바위 주변 수직상공 정사영상도(드론)

Dalam dokumen 동해 연안 Eco-mapping 연구 (Halaman 154-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