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남북교류협력

남북 간 유일한 경협사업인 개성공단의

2011

년 사업은 현상을 유지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성공단 가동 기업수는 9월 말 기준으로

123개로 생산액은 총 2억 9,874만

달러였다.

개성공단 가동기업수 및 생산액 현황

<단위 : 개, 만 불>

구분 ’05 ’06 ’07 ’08 ’09 ’10 ’11.9

가동기업수 18 30 65 93 117 121 123

구분 ’05 ’06 ’07 ’08 ’09 ’10 ’11.9

생산액 1,491 7,373 18,478 25,142 25,648 32,332 29,874 140,338 자료: 통일부, 뺷남북관계 주요 통계뺸, 2011.11.15.

개성공단 근로자는

2011

9

월 말 현재 북측

48,242

,

남측

770

명 으로 총

47,088

명이 종사하고 있다

.

이는

2010

년 전체적으로 북측 노

동자

46,284

명보다도 늘어난 상태이다

.

다만

,

남측 노동자는

5·24

조치

2010

804

명인 것에 비하면 줄어들었으며

,

일일 평균 체류 인원도

2010

543

명에 비해

2011

년은 평균

490

명에 지나지 않고 있다

.

개성공단 근로자 현황

<단위 : 명>

구분 ’05 ’06 ’07 ’08 ’09 ’10 ’11.9

북측 근로자 6,013 11,160 22,538 38,931 42,561 46,284 48,242 남측 근로자 507 791 785 1,055 935 804 770

합계 6,520 11,951 23,323 39,986 43,496 47,088 49,012

자료: 통일부, 뺷남북관계 주요 통계, 2011.11.15.

2012

년의 남북경협 전망은

2011

년과는 다소 다른 양상을 나타낼 가 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 이후 우리 사회에 나 타나고 있는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바람과 요구, 다시 말해 김정일 위 원장의 사망이 남북관계의 긍정적인 전기 마련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는 요구가 남북경협을 재개할 수 있는 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

이는 핵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과 북한과의 대화가 남북대화의 필요성 으로 나타남으로써 더 큰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이미 우리 정부는 유연성 있는 대북 정책을 표방한 상태다

.

따라서 우리 정 부는 남북교역 및 경협 중단이 더 이상 사업자 및 우리 경제에게 부정 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한 노력을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경 우에 따라서는 5·24조치의 공식적인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서도 경협업자의 방북 허가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다. 특히 김정일 위원장에 대한 조문을 위해 방문은 현대아산의 금강산 관광사업 재개 를 위한 발판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

남북관계 의 제도적인 차원에서는 궁극적으로 정치

군사적인 문제를 경제문제 와 분리하려는 노력이 가해짐으로써

2012

년 중반 이후 남북교역을 비 롯한

,

북한 내륙지역에서 임가공 사업이 재개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내 다보인다

.

전반적으로

2012

년 한 해는

4

월 총선과

12

월 대선이 이루어 지는 과정에서 정치권으로부터의 새로운 대북 정책 추진에 대한 대안 이 강하게 제시되고, 그와 같은 분위기가 변화된 대북 정책으로 이어지 는 한 해가 될 것이다.

김영윤・북한인권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나. 사회・문화교류분야

2011

년 상반기까지 남북사회문화교류협력은 천안함 폭침과 이에 따 른

5‧24

조치의 시행

,

그리고 연평도 포격사건의 영향으로 교착상태에 놓여 있었으며

,

하반기에 접어들어 부분적 재개의 움직임을 보였다

.

따 라서 남북사회문화교류협력은 양적인 측면에서는 과거에 비해 미미한 차원에 머물렀다

. 2011

년 상반기까지 사실상 중단사태에 놓여 있던 남 북사회문화교류협력은

2011

년 하반기부터 종교계 및 시급히 재개가 필요한 현안 사업을 중심으로 일부 재개되고 있다

.

종교계는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한 방북활동을 펼쳤다

.

대 한불교조계종의 자승 총무원장 등 관계자

37

명이 방북하여 묘향산 보 현사에서

팔만대장경 판각

1

천년 기념 고불법회

를 개최했으며

,

평양 인근의 광법사 및 법운암 등을 방문했다

.

보현사는 평양에서 북쪽에 위치한 사찰로

1938

년 일제의 대장경 약탈에 대비해 제작한 합천 해인 사 대장경의 인쇄본 전질을 소장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는 5‧24조치 이후 대북 수해지원이나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외에는 방북 을 엄격히 제한해 왔으며

,

조계종의 방북은

5‧24

조치 이후 종교활동 목적은 물론

,

남측 관계자의 첫 평양 방문에 해당한다

.

또한

10

13

일 에는 남북한 불교도가 금강산 신계사에서 신계사 복원

4

주년을 기념하 는 합동법회를 진행했다

.

합동법회에는 남측 대한불교 조계종 승려

신 자와 북측 조선불교도연맹중앙위원회 교직자

,

신계사 승려

신도들이 참가했다

.

이외에 조계종 중앙신도회가 약탈 문화재 환수 실무협의 관 련 개성지역을 방문했다

(11.22).

한국종교인평화회의(KCRP) 대표회장인 김희중 천주교 대주교를

비롯한

7

대 종단 대표들이 방북

(9.21∼24)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김 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면담했다. 방북단에는 김 대주 교와 자승 조계종 총무원장, 김영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김주 원 원불교 교정원장

,

최근덕 성균관장

,

임운길 천도교 교령

,

한양원 한 국민족종교협의회 회장 등

7

대 종단 대표들이 포함되었다

. 7

대 종단 대표들은 북한의 장재언 조선종교인협의회 회장

,

강영섭 조선그리스도 교연맹 중앙위원장

,

심상진 조선불교도연맹 중앙위원장

,

강철원 조선 천도교회 중앙지도위원회 부위원장 등과 면담한 뒤 공동성명을 발표 하고

,

남북 종교인 정기모임 추진의사를 밝혔다

.

이외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NCCK)

가 남북공동기도회와 관련하 여 평양을 방문(11.2∼5)했으며, 천도교계도 남북합동 시일식과 관련 하여 평양을 방문했다(11.12∼15).

학술계의 경우 시급히 재가가 필요한 경우 및 지속사업을 중심으로 일부 방북을 수반한 교류협력이 이루어졌다

.

남북역사학자협의회가 개 성 만월대 발굴조사 실무 접촉 방북

(10.28)

을 계기로 사업재개를 위한 방북이 이어지고 있다

.

이후 남북역사학자협의회

,

국립문화재연구소 관계자 등이 개성 만월대 유적 안전진단을 위해 방북

(11.14∼23)

했으

, 10

여 명이 유적지 보호조치를 위해 같은 달

24

일 재차 방북했다

.

이들은 개성 만월대 유적 복구

·

보존을 위해

12

23

일까지 개성지역에 체류 사업을 진행한다. 만월대는 600여 년 동안 지하에 보존돼온 고려 유적으로, 2007∼2010년 총 4회에 걸쳐 조사가 진행됐지만 2010년 5월

18

일 제

4

차 조사 종료 후

5‧24

대북제재 조치로 전면 중단된 상태였다

.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는 겨레말큰사전 편찬 실무협의와 관련하여 개성지역을 방문하여 북측과 협의를 가졌다

(11.18).

겨레말

큰사전 편찬사업은 남북 및 재외교포가 사용하는 언어를 하나로 종합

정리하는 사업으로, 2005년부터 남북협력기금에서 사업비를 지원받아 진행되었으며, 5‧24조치로 중단되어 왔다.

문화

예술계의 경우 정명훈 서울시향 예술감독 겸 유니세프 친선대 사가 평양을 방문

(9.12〜15)

하여 조선예술교류협회 측과 북한어린이 대상 음악 교육

교향악단 교환 연주 등을 논의했다

.

5‧24

조치 이후 중단되어 온 남북사회문화교류협력은

2011

년 하반기 부분적 재개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

그러나 이는 전면적 재개라기 보다는 상징성이 있는 종교계 행사 및 시급성 및 지속성을 요하는 사 업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이와 같은 제한적 추이는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포격 문제의 해결 등 남북관계 전반에 있어 일 정한 계기가 마련될 때까지는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을 계기로 조문의 부분적 허용 등 일정한 변화가 감지되고 있으나 당분간 전반적인 남북관계 개선 국면으로 이어지기는 어려우며

,

남북 사회문화교류협력의 전면적 재개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군부의 중요성이 더 커진 김정일 위원장 사후 상황에서 북한이 천안함 폭침 및 연평도 포격에 대한 납득할 만한 조치를 내리기 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 남북관계의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는 한

2012

년에도 남북사회문화교류가 전면적으로 재개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

민 족공동행사 및 상징성이 큰 대형 문화·예술, 체육행사보다는 제한적인 형태의 교류협력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

조한범・남북협력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