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다중선형회귀분석

Dalam dokumen - 반납지 변경 E-SST 중심으로 - (Halaman 76-85)

1) SST Service Quality vs. Customer Satisfaction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독립변수 8가지(기능성, 즐거움, 안전․보안성, 디자 인, 보증성, 편의성, 고객화, 유용성)가 종속변수 E-SST Satisfaction(전반적 서비 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엑셀데이터 분석 Regression 도구를 이용하여 1차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디자인, 보증성, 편의성, 유용성은 유의확률(P)이 0.05보다 크게 나와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서 삭제 후 다시 2차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F=111.825(p<.001)으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 다. adj.R Square=0.834으로 83.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독립변수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표준화 계수 Beta=0.275(p<.001) 로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Technology(기술 준비도)가 1증가하면 E-SST Satisfaction(전반적 인 서비스 만족도)이 0.260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Functionality(기능성) 표준화 계수 Beta=0.255(p<.001)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Functionality(기능성)가 1증가하면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이 0.229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Enjoyment(즐거움) 표준화 계수 Beta=0.224(p<.001)로 귀무가설이 기 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 스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Enjoyment (즐거움)가 1증가하면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이 0.169 높아진 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 표준화 계수 Beta=0.166(p<.01)으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 로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가 1증가하면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 비스 만족도)이 0.152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Customization(고객화) 표준화 계수 Beta=0.119(p<.001)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Customization(고객화)이 1증가하면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이 0.102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Functionality(기능성), Enjoyment(즐거움), Security/Privacy(안전/보안 성), Customization(고객화),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중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누가 더 많이 미치는지 상 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화 계수 Beta의 값을 통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Functionality(기능성) Beta=0.255, Enjoyment(즐거움) Beta=0.224, Security/Privacy(안 전/보안성) Beta=0.166, Customization(고객화) Beta=0.119,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Beta=0.275로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Beta=0.255, Functionality (기능성) Beta=0.255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전 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준다고 할 수 있다.

표준화 계수 t(p) VIF

B SE B

(상수) 0.298 0.121 2.470

Functionality(기능성) 0.206 0.055 0.230 3.721*** 4.558

Enjoyment(즐거움) 0.152 0.036 0.201 4.213*** 2.713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 0.139 0.052 0.152 2.657** 3.909

Design(디자인) 0.071 0.044 0.083 1.637 3.077

Assurance(보증성) 0.018 0.058 0.019 0.313 4.445

Convenience(편의성) -0.032 0.052 -0.038 -0.608 4.553

Customization(고객화) 0.098 0.027 0.143 3.663*** 1.826

Usefulness(유용성) 0.031 0.050 0.036 0.613 4.119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0.239 0.058 0.243 4.141*** 4.113

F(p) adj.R2

*p<.05, **p<.01, ***p<.001

111.825***

0.834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 5-5> SST 품질과 고객만족 1차 다중선형회귀분석

표준화 계수 t(p) VIF

B SE B

(상수) 0.333 0.119 2.796

Functionality(기능성) 0.229 0.051 0.255 4.466*** 3.909

Enjoyment(즐거움) 0.169 0.034 0.224 5.004*** 2.386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 0.152 0.046 0.166 3.285** 3.043

Customization(고객화) 0.102 0.026 0.119 3.873*** 1.126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0.260 0.051 0.275 5.154*** 3.393

F(p) adj.R2

*p<.05, **p<.01, ***p<.001 변수

200.597***

0.834 비표준화 계수

<표 5-6> SST 품질과 고객만족 2차 다중선형회귀분석

2) SST Service Quality vs. Waiting Time Satisfaction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독립변수 8가지(기능성, 즐거움, 안전․보안성, 디자 인, 보증성, 편의성, 고객화, 유용성)가 종속변수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엑셀데이터 분석 Regression 도구를 이용 하여 1차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능성, 즐거움, 보증성, 편의성, 고객화, 유용성은 유의확률(P)이 0.05보다 크게 나와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서 삭제 후 다시 2 차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F=138.872(p<.001)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adj.R Square=0.676으로 67.6%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독립변수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 표준화 계수 Beta=0.335(p<.001)로 귀무 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 시간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가 1증가하면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 시간 만족도)이 0.371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Design(디자인) 표준화 계수 Beta=0.182(p<.01)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 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Design(디자인)가 1증가하면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이 0.190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표준화 계수 Beta=0.399(p<.001) 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Waiting Time Satisfaction(처 리 대기시간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가 1증가하면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이 0.475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 Design(디자인), Technology Readiness (기술 준비도) 중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에 영향을 누가 더 많이 미치는지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화 계수 Beta의 값을 통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 Beta=0.335, Design(디자인) Beta=0.182,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Beta=0.399로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Beta=0.399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 준다고 할 수 있다.

표준화 계수 t(p) VIF

B SE B

(상수) -0.100 0.204 -0.490

Functionality(기능성) 0.163 0.093 0.150 1.744 4.558

Enjoyment(즐거움) -0.035 0.061 -0.038 -0.578 2.713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 0.334 0.088 0.301 3.783*** 3.909

Design(디자인) 0.157 0.074 0.151 2.136* 3.077

Assurance(보증성) -0.122 0.098 -0.106 -1.246 4.445

Convenience(편의성) 0.106 0.089 0.103 1.202 4.553

Customization(고객화) 0.039 0.045 0.047 0.863 1.826

Usefulness(유용성) -0.060 0.085 -0.058 -0.710 4.119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0.451 0.097 0.379 4.635*** 4.113

F(p) adj.R2

*p<.05, **p<.01, ***p<.001

47.525***

0.679

변수 비표준화 계수

<표 5-7> SST 품질과 대기시간 만족 1차 다중선형회귀분석

표준화 계수 t(p) VIF

B SE B

(상수) -0.119 0.201 -0.593

Security/Privacy(안전/보안성) 0.371 0.070 0.335 5.339*** 2.508

Design(디자인) 0.190 0.062 0.182 3.062** 2.799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0.475 0.076 0.399 6.264*** 2.866 F(p)

adj.R2

*p<.05, **p<.01, ***p<.001

비표준화 계수 변수

138.872***

0.676

<표 5-8> SST 품질과 대기시간 만족 2차 다중선형회귀분석

3) Waiting Time and SST Satisfaction vs. SST Intent to use

반납지 변경 E-SST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과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이 반납지 변경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엑셀데이터 분석 Regression 도구를 이 용하여 1차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F=165.322(p<.001)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 고 할 수 있다. adj.R Square=0.624로 62.4%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 표준화 계수 Beta=0.206(p<.01) 으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이 1증가하면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이 0.171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표준화 계수 Beta=0.625(p<.001)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Design(디자인)가 1증가하 면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가 0.630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반납지 변경 E-SST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과 E-SST Satisfaction(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중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 의도)에 영향을 누가 더 많이 미치는지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화 계수 Beta의 값을 통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반납지 변경 E-SST Waiting Time Satisfaction(처리 대기시간 만족도) Beta=0.206,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Beta=0.625로, 반납지 변경 E-SST Satisfaction(전반적 인 서비스 만족도) Beta=0.625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E-SST Intent to use(지 속 사용의도)에 준다고 할 수 있다.

표준화 계수 t(p) VIF

B SE B

(상수) 0.858 0.169 5.062

Waiting Time(처리 대기시간) 0.171 0.056 0.206 3.0785** 2.352 SST Satisfaction(전반적 서비스 만족도) 0.630 0.067 0.625 9.3501*** 2.352 F(p)

adj.R2

*p<.05, **p<.01, ***p<.001

변수 비표준화 계수

165.322***

0.624

<표 5-9> 대기시간/서비스 만족과 지속사용의도 다중선형회귀분석

4) SST Service Quality vs. SST Intent to use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독립변수 8가지(기능성, 즐거움, 안전/보안성, 디자인, 보증성, 편의성, 고객화, 유용성)가 종속변수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엑셀데이터 분석 Regression 도구를 이용하여 1차 실시하였다. 분석 결 과 즐거움, 안전/보안성, 디자인, 보증성, 편의성, 유용성은 유의확률(P)이 0.05보다 크게 나와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서 삭제 후 다시 2차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F=86.674(p<.001)로 본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adj.R Square=0.565로 56.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독립변수 Functionality(기능성) 표준화 계수 Beta=0.384(p<.001)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Functionality(기능성)가 1증 가하면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가 0.347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Customization(고객화) 표준화 계수 Beta=0.170(p<.01)으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Customization(고객화)이 1증 가하면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가 0.134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표준화 계수 Beta=0.292(p<.001) 로 귀무가설이 기각, 대립가설이 채택되어 종속변수 E-SST Intent to use(지속 사 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Beta부호가 양(+)적이므로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가 1증가하면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가 0.289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독립변수 Functionality(기능성), Customization(고객화), Technology Readiness (기술 준비도) 중 반납지 변경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에 영향을 누 가 더 많이 미치는지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표준화 계수 Beta의 값을 통하여 비교하여 보았다. Functionality(기능성) Beta=0.384, Customization(고객화) Beta=0.170,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Beta=0.292로 Functionality(기능 성) Beta=0.384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을 반납지 변경 E-SST Intent to use(지속 사용의도)에 준다고 할 수 있다.

표준화 계수 t(p) VIF

B SE B

(상수) 0.858 0.169 5.062

Waiting Time(처리 대기시간) 0.171 0.056 0.206 3.0785** 2.352

SST Satisfaction(전반적 서비스 만족도) 0.630 0.067 0.625 9.3501*** 2.352

F(p) adj.R2

*p<.05, **p<.01, ***p<.001

변수 비표준화 계수

165.322***

0.624

<표 5-10> SST 서비스 품질과 지속사용의도 1차 다중선형회귀분석

표준화 계수 t(p) VIF

B SE B

(상수) 1.035 0.189 5.469

Functionality(기능성) 0.347 0.069 0.384 5.064*** 2.616

Customization(고객화) 0.117 0.042 0.170 2.799** 1.676

Technology Readiness(기술 준비도) 0.289 0.078 0.292 3.727*** 2.789

F(p) adj.R2

*p<.05, **p<.01, ***p<.001

변수 비표준화 계수

86.674***

0.565

<표 5-11> SST 서비스 품질과 지속사용의도 2차 다중선형회귀분석

Dalam dokumen - 반납지 변경 E-SST 중심으로 - (Halaman 76-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