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연구가설의 검정

Dalam dokumen - 반납지 변경 E-SST 중심으로 - (Halaman 85-97)

1) E-SST 품질과 E-SST 전반적 서비스 만족 간의 관계

E-SST 품질이 E-SST 전반적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H1-1에서 H1-9로 나누어 E-SST 품질 중 기능성, 즐거움, 안전․보안성, 디자인, 보증성, 편 의성, 고객화, 유용성, 기술 준비도가 E-SST 전반적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기능성(Functionality)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1을 검증한 결 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255와 4.466(<0.001)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즐거움(Enjoyment)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전 반적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2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224와 5.004(<0.001)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안전/보안성(Security/Privacy)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3을 검 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66과 3.285(<0.01)로 유의한 정(+)의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디자인(Desgin)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전반적 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4를 검증한 결과, 표 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83과 1.637(>0.05)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보증성(Assurance)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전 반적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5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19와 0.313(>0.05)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편의성(Convenience)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6을 검증한 결

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38과 -0.608(>0.05)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고객화(Customization)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7을 검증한 결 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43과 3.663(<0.001)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유용성(Usefulness)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전 반적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8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36과 0.613(>0.05)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 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기술 준비도(Technology Readiness)는 반납지 변 경 E-SST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9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275와 5.154(<0.001)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2) E-SST 품질과 E-SST 처리 대기시간 만족 간의 관계

E-SST 품질이 E-SST 처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미치 는 영향 관계는 H1-10에서 H1-19로 나누어 E-SST 품질 중 기능성, 즐거움, 안 전․보안성, 디자인, 보증성, 편의성, 고객화, 유용성, 기술 준비도가 E-SST 처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기능성(Functionality)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처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H1-10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5와 1.744(>0.05)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즐거움(Enjoyment)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처 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H1-11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38과 -0.578(>0.05) 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안전/보안성(Security/Privacy)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처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12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335와 5.339(<0.01)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디자인(Desgin)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처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13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82와 3.062(<0.001)로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보증성(Assurance)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처 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H1-14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06과 -1.246(>0.05) 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편의성(Convenience)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처 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H1-15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03과 1.202(>0.05)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고객화(Customization)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처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H1-16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47과 0.863(>0.05)으 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유용성(Usefulness)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처 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H1-17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58과 -0.710(>0.05) 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기술 준비도(Technology Readiness)는 반납지 변 경 E-SST 처리 대기시간(Waiting Time Satisfaction)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 을 미칠 것이라는 H1-18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399와 6.264(<0.001)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3) E-SST 품질과 E-SST 지속사용 의도 간의 관계

E-SST 품질이 E-SST 지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미치는 영향 관계 는 H1-19에서 H1-27로 나누어 E-SST 품질 중 기능성, 즐거움, 안전․보안성, 디 자인, 보증성, 편의성, 고객화, 유용성, 기술 준비도가 E-SST 지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기능성(Functionality)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19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384와 5.064(<0.001)로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즐거움(Enjoyment)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 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20 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24와 1.623(>0.05)으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안전/보안성(Security/Privacy)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는 H1-21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37과 -0.400(>0.05)으 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디자인(Desgin)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22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29와 0.352(>0.05)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보증성(Assurance)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 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23 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26과 -1.285(>0.05)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편의성(Convenience)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24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17과 1.182(>0.05)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고객화(Customization)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25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170과 2.799(<0.001)로 유의 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유용성(Usefulness)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 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1-26 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033과 0.348(>0.05)로 유의한 정(+) 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기술 준비도(Technology Readiness)는 반납지 변 경 E-SST 지속 사용의도(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 이라는 H1-27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292와 3.727(<0.001) 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4) E-SST 대기시간 만족, 서비스 만족과 지속사용 의도와의 관계

E-SST 처리 대기시간 만족(E-SST Waiting Time Satisfaction)과 E-SST 전반 적 서비스 만족(E-SST Satisfaction)이 E-SST 지속사용 의도(E-SST Intent to Use)에 미치는 영향 관계는 H2-1∼H2-2로 나누어 E-SST 처리 대기시간 만족과 E-SST 전반적 서비스 만족이 E-SST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다.

반납지 변경 처리 대기시간 만족(E-SST Waiting Time Satisfaction)은 반납지 변경 E-SST 지속사용 의도(E-SS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2-1을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206과 3.078(<0.001) 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반납지 변경 E-SST 전반적 서비스 만족은 반납지 변경 E-SST 지속사용 의도 (E-SAT Intent to Use)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H2-2를 검증한

결과, 표준화 계수 Beta와 t(p)값이 0.625와 9.350(<0.001)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채택되었다.

5) 원인(X) 변수의 상대적 효과크기 분석

(1) E-SST 품질 vs. E-SST Intent to Use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기능성(Functionality)과 기술 준비도(Technology Readiness)의 표준화 계수 Beta가 순서대로 0.384, 0.292로 E-SST 지속 사용의도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고액화(Customization)는 표준화 계수 Beta가 0.170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약한 영향을 E-SST 지속 사용의도에 미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2) E-SST 품질 vs. E-SST Satisfaction

반납지 변경 E-SST 품질 중 기술 준비도(Technology Readiness)와 기능성 (Functionality)의 표준화 계수 Beta가 각각 0.275, 0.255로 E-SST 서비스 만족에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고액화(Customization)는 표준 화 계수 Beta가 0.143으로 상대적으로 가장 약한 영향을 E-SST 전반적 서비스 만족에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E-SST 만족, 처리 대기시간 만족 vs. 지속 사용의도

반납지 변경 E-SST 전반적 서비스 만족과 E-SST 처리 대기시간 만족의 표준 화 계수 Beta가 순서대로 0.625, 0.206으로 E-SST 지속 사용의도에 큰 영향을 미 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alam dokumen - 반납지 변경 E-SST 중심으로 - (Halaman 8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