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별 추진계획 (’09~’18/10 개년 )
단계 제 1 단 계
( 초 기 단 계 )
제 2 단 계 ( 도 약 단 계 )
2009~2013 2014~2018
목표 ∙ 해외 해양생물자원 다양성 확보 ∙ 효율적 제공, 경제적 운영 기반 강화
∙ 유용 해양생물자원 대량 확보 ∙ 생명공학연구 지원
주요 사업 내용
∙ 해외 생물자원 체계적 확보 ∙ 해외 해양생물자원 다양성 연구 ∙ MOU체결 등 국제적 네트워크 강화 ∙ 해외 생물자원 이용 기초연구 ∙ 기존 마린 바이오 21 사업단 연구와 연계 연구
∙ 해외 연구센터 기능 강화
∙ 해외 생물자원 지속적 확보 ∙ 유용 해양생물자원 대량 확보 연구 ∙ 해양생물로부터 화학종 다양성
확보 및 생리 기능 탐색 연구 ∙ 해양생물소재 생리 특성 파악 ∙ 화학종 다양성과 생리기능을 기반으로 생명공학 연구지원 ∙ 해양생물자원관과의 협력 방안
강구
투자비 142 억원 158 억원
Ⅳ. 추진 전략
103
연차별 추진내용
단계별 목표 및 연차별 추진내용
연도
별 1단계 2단계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해외생물자원 조사․연구계획 수립
공해상, 해외기지 해외생물자원 확보
·
국제공동연구와 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해외해양생물자원 확보
유용생물 현지 배양연구
해양생물 분류, 분자마커, 종다양성 연구
해양생물 보존(임시 수장고)
해양생물의 기초연구 (활성, 화학종 분석)
정보통합 DB구축 및 지원체계 구축
해외 해양생물 분양, 관리
해외전진기지 연구환경 개선 방안 마련 해양과학기지 연구환경개선 및
연구장비 고도화
(가칭)「해양생명자원법」제정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104
소요예산 (300 억원 / 추정 )
(단위 : 억원)
연 도 계 1단계 2단계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합계(Ⅰ~Ⅴ) 300 (6) 17 28 32 33 32 31 31 32 32 32
Ⅰ. 생물자원확보 113 (5) 7 9 9 10 10 13 13 14 14 14 1. 직접 채집 74 (1) 5 6 6 7 7 8 8 9 9 9 2. 국제 공동연구 29 - 2 3 3 3 3 3 3 3 3 3 3. 유용생물 배양 10 - - - 2 2 2 2 2
Ⅱ. 분류 및 보존 65 3 6 7 7 7 7 7 7 7 7 1. 종 다양성 연구 46 (2) 2 4 5 5 5 5 5 5 5 5 2. 보존 연구 및 수장고 19 1 2 2 2 2 2 2 2 2 2
Ⅲ. 가치평가 기술 77 4 6 8 8 8 8 8 9 9 9 1. 생리활성 연구 32 (1) 2 3 3 3 3 3 3 4 4 4 2. 화학종 다양성 연구 45 (1) 2 3 5 5 5 5 5 5 5 5
Ⅳ. DB구축 및 관리 26 - 2 3 3 3 3 3 3 2 2 2
Ⅴ. 연구환경개선 장비확보 19 - 1 4 5 5 4 - - - - -
Ⅴ . 경제성 분석
해양생물자원의 경제적 가치 해양생물자원의 경제적 가치 해양생물자원의 경제적 가치 1 1 1
기능성 식품분야 수입대체효과 기능성 식품분야 수입대체효과 기능성 식품분야 수입대체효과 2 2 2
해양생명공학산업 수입대체효과 해양생명공학산업 수입대체효과 해양생명공학산업 수입대체효과 3 3 3
해양소재산업 수입대체효과 해양소재산업 수입대체효과 해양소재산업 수입대체효과 4 4 4
국내 바이오시장 규모 국내 바이오시장 규모 국내 바이오시장 규모 5 5 5
해외생물자원 확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해외생물자원 확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해외생물자원 확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6 6 6
Ⅴ. 경제성 분석
107
1. 해양생물자원의 경제적 가치
○ 미국 매릴랜드 대학의 로버트 코스탄자의 연구자료에 의하면 지구 전체 생태계의 경제적 가치는 연 평균 33조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 이를 근거로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경제적 가치로 평가하면 연 평균 약 25억 달러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이 가능
○ 해양생물의 다양성은 경제적으로 중요하며, 지속가능한 개발과 지구 환경보존에 크나큰 영향을 끼침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