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국내동향
2.1 정책동향
Ⅱ. 국내외 정책 및 연구개발 동향
35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36
포함)으로 수립한 법정 국가계획에서 해양수산부의 핵심기술개발사업 으로서 해양생물자원 개발 및 이용계획 반영
- 해양생물로부터 고부가가치 신기능성물질 개발
※ 자료: 이용희,해양 R&D의 선택과 집중, 한국해양수산기술진흥원 개원 1주년 기념 세미나 자료(2007. 6)
[그림 Ⅱ-2] 국가 해양정책 비전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2006 시행계획
5)○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매년 수립․시행하는 2006년 시행계획에서 해 양생물자원 개발․이용 계획 반영
과학기술기본계획 (2001. 12. 정부부처합동 )
6)○ 재경부, 과기부, 해양부, 기획예산처 등 정부부처합동으로 수립한 과 학기술기본계획에 “첨단해양산업 실용화를 위한 해양과학기술 개발” 계획 반영
5)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 2006시행계획 : 첨단해양과학기술 육성 및 산업화 - 해양생물자원 개발․이용 기술
6) 과학기술기본계획(p.120) : 해양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신기능성 물질 개발을 위한 해양생 물자원 개발
Ⅱ. 국내외 정책 및 연구개발 동향
37
- 국정운영의 방향과 과학기술 중장기 정책방향 수립
- 과학기술이 국정운영의 중심에 서는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현’, ‘제 2의 과학기술 입국’ 실현을 위한 방안 제시
해양과학기술개발계획 (MT. 2004. 05. 해양수산부 )
7)○ 해양수산부 해양과학기술개발계획에 “해양생물․유전자 자원개발 및 이용기술” 계획 반영
- 해양과학기술(Marine Technology, MT)에 국가 지원기반 강화
해양과학기술로드맵 (MTRM. 2005. 12. 해양수산부 )
8)○ 해양수산부 해양과학기술 로드맵에 “해양자원 개발 및 이용기술” 계 획 반영
국가 R&D 사업 Total Road-map(2007. 01. 과학기술부 )
9)○ 국가 과학기술역량 제고를 위한 국가 R&D사업의 역할과 효율성 제 고를 위해 국가중점육성기술로서 “해양생물자원 보존 및 해양생명공 학 이용기술” 계획 반영
- 도출된 국가중점육성기술에 대한 기술개요 및 향후 발전전략이 담 긴 전략개요서를 구성․제시
7) 해양과학기술개발계획(Marine Technology. p.246) : 해양생물․유전자자원 개발 및 이용기술 8) 해양과학기술로드맵(Marine Technology Road-Map. p.352) : 해양자원 개발 및 이용기술
/ Blue Star 과제 기술 로드맵 - 해양생물자원을 이용한 신기능성 품종 개발
9) 국가R&D사업 Total Road-map (p.182) : 국가중점육성기술군(90개 기술) 중 특성화 기술- 신약타겟 및 후보물질도출기술/ 특성화 후보기술 - 해양생물자원 보존 및 해양생명공학이 용 기술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38
미래국가유망기술 (2007. 03. 해양수산부 )
10)○ 해양수산부 해양과학기술 로드맵에 “해양생명시스템 활용기술” 및
“미이용 해양생물의 고부가 산업자원화 기술” 계획 반영
- 국가경쟁력과 혁신역량을 주도하여 ‘국부(國富)’를 지속적으로 창출 할 수 있는 기술분야 도출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기술의 기술지도를 위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국가과학기술지도 (NTRM) 에서 해양생 물자원 개발 및 이용 기술은 비전 IV. 기반주력산업 가치 창 출의 ‘ 자연자원의 수급안정과 효율적인 국토 활용 ’ 에서 언급 (2002 년 )
○ 21세기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선택과 집중전략에 의한 자원의 효율적 배분 및 활용이 필요한 기술지도상에 해양생물자원탐사기술 개발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고려한 효율적인 국토 활용의 일부분으로 인식
국가연구개발사업 중장기 발전전략 (2008. 06. 교육과학기술부 )
○「국가연구개발사업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면서 “해양생물자원보 존 및 해양생명공학이용기술”을 국가중점육성기술로 선정
Blue-Bio 2016(2008. 10. 국토해양부 )
○ 국토해양부의 Blue-Bio 2016은 ‘세계일류 해양 기술강국 실현을 위한 해양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으로써 해양생명공학의 발전을 위하여 이 를 뒷받침할 수 있는 해양생명자원의 발굴, 관리, 보전을 위한 체계 적 투자 강화 내용을 포함
10) 미래국가유망기술(p.653) : 미래사회를 향한 해양국가유망기술 중 해양과학기술 분야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한국해양연구원을 주관 연구기관으로 지정하여 2006년 5월 부터 2007년 3월까지 종합계획을 수립함. 제7장 고부가 생물자원기술 개발
Ⅱ. 국내외 정책 및 연구개발 동향
39
○ 세계 7대 해양생명공학 기술강국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