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해외 연구기지에 대한 지원 및 법/제도 인프라 구축

Dalam dokumen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Halaman 96-103)

5. 전략과제

5.5 해외 연구기지에 대한 지원 및 법/제도 인프라 구축

가 . 필요성

 우리나라 유일의 열대역 과학기지인 마이크로네시아 해양 연구 센터는 연구장비 및 각종 인프라가 부족하여 참여 연구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 우수한 성과를 얻기 힘든 상황

○ 노후한 임대시설과 불안정한 전력 상황, 부족한 연구장비(추출물 농 축기, 동결건조기 각 1대)로 생물시료를 다량 확보하여 현지에서 처 리하는데 한계

 해외 해양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사업추진 및 연구촉진을 위 한 법적근거 미비로 사업 활성화에 애로

○ 국내 해양생물자원의 효과적 보전 및 국외반출활용 등을 관리하기 위한 국내법적 근거 필요

○ 국제적으로 자국내 생물자원 반출 금지정책 등으로 인해 통관을 불 허하고 있어 국내반입의 어려움 내재

※ 일본은 팔라우에 국제산호초 연구센터를 구축, 현지정부와 공동 연구를 수행하면서 환경관측 등을 이유로 생물자원 채집․반출

나 . 단계별 목표

단계별 목표 및 연차별 추진내용 1단계 2단계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해외 연구기지에 대한

연구환경 개선방안 마련 연구장비 고도화/인프라 확대

·

법/제도 개선

. 추진 전략

95

다 . 주요 추진내용

 한국해양연구원의 마이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해외생물자원 확보를 위한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

○ 현지 연구분석 장비의 고도화현대화 및 안정적 연구환경 조성을 위 한 기반마련

 연구장비 고도화

○ 중점연구분야의 요소기술개발 및 실용화연구에 필요한 핵심장비 및 시설 구축 운영

- 연구결과의 우수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장비 고도화를 위한 장기계획 수립

- 연구기장비는 연차별로 구입할 예정이며, 우선적으로 기반구축 장비 위주로 선정 (부록 8 참조)

○ 연구시설과 장비의 현대화를 통한 안정적 연구분위기 및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성 제고 및 연구성과 향상 도모

○ 연구기장비 보유현황

구 분 총연구장비

종 금액 (천원) 비율

NMR spectrometer 1 485,000

HPLC 2 180,000

deep freezer 3 70,000

Capillary Electrophoresis 1 50,000

냉동저장고 2 10,000

spectrophotometer 1 20,000 Fluorospectrometer 1 60,000

PCR machine 1 20,000

DNA sequencer 1 120,000

FPLC 1 70,000

low temp. incubator 1 15,000

저온 냉동고 2 15,000

clean bench 1 10,000

단백질전기영동장치 1 18,000

현미경 1 12,000

계 20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96

 추진 방향

○ 열대․심해․극지 생물자원 확보, 신물질 및 종다양성 확보 등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중장기 발전 방향에 부합된 첨단장비 교체와 신규장 비 확충

- 2006년 6월 “첨단해양장비 기반구축을 위한 기획연구”와 같이 중 장기 발전을 위한 보유 연구기장비의 상태를 점검하고, 연구성과의 신뢰도 강화 및 질적 수준제고를 위한 첨단 연구기장비 신규확보 계획 수립

- 첨단장비 확충계획은 수요조사 결과 1단계('09년~ '12년)에 총 10종 약 11억원 규모의 신규 및 첨단장비 교체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하여 국가 R&D에서 확충 추진

○ 분야별 첨단장비 수요조사 결과

(단위 : 종, 백만원) 구 분

1 단계 2 단계

장 비 (종)

소 계

('09 ~ '12) '09 '10 '11 '12 '13 ~ '17

채집분야 5 150 - - 100 50

생리기능분야 2 450 100 350 - -

화학종다양성분야 3 500 - 50 300 150

합 계 10 1,100 100 400 400 200

○ 연구장비 및 시설의 산연 공동활용 제고

- 우수성과(활용 장비명, 활용내용, 활용결과) 발굴 및 홍보

- 보유장비에 대한 연구소, 대학 등 공동 활용 적극 촉진으로 가동률 제고

. 추진 전략

97

「해양생명자원의 확보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 ( 가칭 ) 」제정시 반영 추진

※ 부록 9 (해양생명자원의 확보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안)) 참고

※ 사업지원대상

▷ 해외해양생명자원의 개발을 위한 연구․조사에 소요되는 비용

▷ 해외해양생명자원 개발을 위한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에 소요되 는 비용

▷ 해외해양생명자원의 개발에 따르는 외국과의 국제협력 및 기술교류비 ▷ 기타 해외해양생명자원 개발의 촉진을 위하여 필요한 비용 등

 조직정비

○ 해외 해양생물자원 연구 사업단 설립

< 3대 운영원칙(안) >

□ 해양생물자원을 효율적으로 확보 및 관리하고 활용하여 해양생명공 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민경제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

△ 해양생물자원은 현재와 미래의 세대를 위하여 지속가능하게 확보관리활용

△ 생태적․경제적 가치가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종합적으로 관리

△ 상업적 활용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익을 공정공평하게 공유할 수 있는 기회 증진

 주요기능 및 역할 ( 안 )

○ 해양생물자원의 확보관리 현황 및 장래 예측

○ 해양생물자원의 조사, 연구, 등재, 개발 및 확보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98

○ 해양생물자원 관련 인프라 구축운영

○ 해양생물자원의 평가 및 등록

○ 해양생물자원에 관한 시책의 방향 수립

○ 해양생물자원 관련 과학기술의 개발 및 국제협력

○ 해양생물자원 관련분야 전문인력 양성

○ 해양생물자원의 정보유통체계 구축

 추진 연구개발 성격

○ 해외 해양생물자원 연구사업은 관련 기초ㆍ응용분야 기술(조사, 지구 화학, 생물, 탐사장비 및 채집기 설계제작기술 등)의 집합적 기술 체계로 정의할 수 있으며, 각 분야의 요소기술이 매트릭스 체계로 구 성된 전형적인 융․복합기술

○ 또한, 기술의 핵심은 직접채취를 통해 자료 확보․분류․배양․추출 관리하는 기술 능력과 국제협력이며, 해양생물자원 탐색 기술은 각 분야의 정보자료를 통합하여 수집․분석 및 DB화 그리고 지원체계 구축이 핵심

○ 국내․외 자원개발의 시급성을 고려하여 단기 집중적인 예산투입 분 야와, 중․장기 점진적인 예산증액 분야를 구분하여, 사업성과를 조 기가시화 하는 한편, 지속가능한 이용을 실현함으로써 공익적 가치증 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

. 추진 전략

99

 인력

○ 채용 경로 다양화를 통하여 해양생물자원의 공공 수요 및 산업화에 대응한 전문 인력 확충

- 생태학, 의약화학, 생물다양성분석, 미생물분류 분야의 연구 전문 인력 확충 노력 경주

○ 인력의 유연한 활용을 통한 역량강화

- 비정규직 대상 교육훈련 강화를 통한 잠재적 인력양성 도모 - 관련 산업체 전문가 및 대학 교수진을 자문위원으로 활용

○ 미래 핵심기술 습득 및 공동연구 수행을 위해 선진연구기관 및 국제 협력 및 인력교류 추진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100

 예산

○ 해외생물자원 확보 및 생리기능이용 연구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 행을 위해 예산은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

○ 또한 분양뱅킹 등으로부터 획득한 수입을 통해 예산 확보 추진

다 . 소요예산

(단위 : 억원)

연 도 계 1단계 2단계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Ⅴ. 연구환경개선 장비확보 19 - 2 6 6 4 1 - - - - - 1, 해외기지 인프라 구축 8 1 2 2 2 1 - - - - -

2. 장비 고도화 11 1 4 4 2 - - - -

. 추진 전략

101

Dalam dokumen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Halaman 96-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