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정책동향

Dalam dokumen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Halaman 31-34)

3. 필요성

1.1 정책동향

 남태평양해역 해양생물자원 이용 사례

○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년간 남태평양 해양 생물자원을 이용한 해 외의 연구사례를 분석. 조사된 244편의 SCI 급 논문분석을 통해 발표 주요저자의 국가별 분류 결과 미국이 173편(72%)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탈리아(9%), 일본(5%)이 뒤를 이었음

○ 캐나다, 영국, 스위스, 프랑스, 벨기에, 이스라엘 등의 국가는 직접채 집 또는 공동연구 형태로 남태평양 해양생물자원 획득

○ 우리나라는 주로 한국해양연구원의 마이크로네시아 소재 해외연구센 터를 통해 확보한 축주 주변의 생물자원을 이용한 결과를 최근 발표 하여 2%를 차지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200

미국 이탈리아 일본 독일 캐나다 영국 호주 대한민국 스위스 프랑스 벨기에 브라질 파키스탄 이스라엘

[그림 Ⅱ-1] 국가별 남태평양 해양생물자원 이용 학술논문 통계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30

 국외 해양생물자원의 확보와 이익의 공유

○ 해양생물자원의 가치를 이해한 미국, 영국, 일본, 러시아 등 해양연구 의 선진국은 1970년대부터 해외 해양생물자원을 전 세계로부터 획득

○ CBD(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의 도입으로 해양생물의 다 양성을 가진 국가에 의해 제공된 생물자원의 이용에 따른 이익 분배 에 대한 인식이 대두되어, 국가간 이익분배에 대한 절차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나, 성문화된 국제법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음

○ 일본은 세계적인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는 인도네시아, 말레 이시아와 해양생물자원의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개발에 따른 이익 분배에 관한 협약을 CBD의 guideline에 따라 체결하고 있으나, 실질 적 이익의 분배사례는 아직 나타나고 있지 않음

○ 남태평양해역 해양생물 이용사례에서 보듯이 해양과학 선진국은 다 양한 경로를 통해 해외 해양생물을 획득하고 있으나, 해외 생물의 획득 절차에 대하여 공개하기를 꺼리고 있으며, 지역전문가 양성, 소 규모 협동연구 등 비공개적인 방법으로 해외 생물자원을 획득하는 것으로 알려짐

 선진국들은 국가중점관리기관을 통한 생명자원의 국가적 관리 ․ 전략화 추진

○ 유럽은 유럽생명정보네트워크(EBI), 유럽생물자원정보네트워크(CABRI) 등 생명자원 주도권 확보를 위한 유럽연합 국가 간 연계 구축

○ 독일은 세계 최고수준의 미생물 표준균주를 보유하고 있는 독일미생 물자원은행(DSMZ)을 통해 국가자원을 통합관리

○ 일본은 국가생물자원센터 (NBRC), 일본염기서열은행 (DDBJ), 생물다 양성센터(BCJ) 등에서 생명자원을 종합관리

○ 일본의 팔라우 국제산호초 연구소는 1993년 미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 국내외 정책 및 연구개발 동향

31

수행한 프로젝트에 의해 태동되었으며 2001년부터 연구기능을 갖춘 센터로 정착되었음. 주로 JICA에서 유입된 자본(연간 150만 달러 규 모)으로 운영되며 해양환경보호 연구 등을 표방하지만 환경관측 등 을 이유로 생물자원을 채집, 반출하고 있음

○ 미국은 국가생명공학센터(NCBI), 국가생명자원정보인프라(NBII), 미국유 전자은행(ATCC) 등의 운영으로 자국 및 아시아․태평양 권역의 생 명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

○ 영국의 [Millennium Seed Bank]는 2000년부터 종자 분야에서 전 세계 10% 확보를 목표로 우위 선점 추진

○ 영국의 Darwin Initiative 프로그램은 생물다양성의 보존을 위해 1993 년부터 80개 이상 연구기관이 생물다양성 각 분야의 전문가를 100개 국 이상의 개발도상국(주로 아프리카 및 아시아지역)에 파견하여 개 도국 연구소나 해당기관과 공동으로 연구과제 수행(1백만파운드 투 자, 106개 과제를 진행)

 생명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종합 연계체제 구축 강화

○ 생명자원정보의 지능형 검색시스템 구축(예. 영국 e-Science, 미국 NCBI 분류검색(Taxonomy Browser)

○ 대량 생명정보 분석을 위한 유기적 국가 핵심 거점망 운영 (예. 영국 은 Sanger 연구소에 생명자원 기반의 대량․대형 데이터가 필요한 연구사업 지원, 일본은 국가생명자원프로젝트(NBRP) 진행)

 세계생물다양성정보기구 (GBIF) 는 생물자원의 표준화 및 글로벌 종합검색시스템 구축을 추진 중에 있는 바 생명자원에 대한 전략적 ․ 종합적인 관리는 점점 더 중요시되고 있음

○ 미국은 GBIF에 1,300만건의 생명자원 정보를 등록하고 정보표준화를 달성하여 세계적 우위를 선점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32

Dalam dokumen 해외 해양생물자원 개발연구 (Halaman 3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