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대외무역의 80% 정도를 차지하는 북·중무역과 남북교역 현황을 검토한 결과, 2009년 북·중무역은 4% 감소하였으며, 남북교역은 전년 동기대비 7.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2009년 6월 이후 북·중무역 감소는 주로 북한 핵실험의 영향에 기인 하는 것으로 보이나 양국관계 개선으로 3/4분기 이후 회복세로 돌아 선 것으로 평가됨.
- 남북교역은 전년과 비교하면 감소하였지만, 월간 추세를 살펴보면 2009년 3월부터 다소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
가. 북 · 중무역
○ 2009년 북·중무역은 26.8억 달러로 전년 대비 4% 감소하였음.
- 북한의 대중국 수출은 7.9억 달러로 전년 대비 5.1% 증가, 수입은 18.9억 달러로 7.1% 감소하였음.
- 북·중무역 세부 통계는 8월 이후 발표되지 않고 있어 세부 추세와 구조를 파악할 수 없음.
○ 2009년 6월 이후의 감소세는 2009년 5월 25일 북한 2차 핵실험과 이후
6월 13일 유엔 안보리 제재(1874호) 결의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2009년 북한경제 실적 • 35
<그림 1> 북한의 월별 대중국 수출 및 수입(2008.1~2009.12)
(단위: 백만 달러)
수 출 수 입
○ 그러나 2009년 10월 4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북 이후 양국간 관계가 개선될 조짐을 보이면서 북한과의 경협이 확대될 전망
○ 2009년 북한의 대중국 수출은 광물성 연료(대부분 무연탄)와 의류가 증 가세를 나타냈고, 나머지는 감소 추세를 보임.
- 북한 대중국 수출의 27%(2008년 기준)를 차지하는 무연탄(HS 2701) 수출은 115.4% 증가
<표 1> 북한의 대중국 주요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명 2006 2007 2008 2009.1~7.
1 광, 슬랙, 회 118(28.3) 164(38.5) 213(29.7) 56(-62.1) 2 광물성 연료 102(-8.8) 170(66.1) 208(22.1) 210(115.4) 3 철 강 35(-51.1) 45(28.2) 78(73.6) 32(-37.2) 4 의 류 63(8.6) 60(-4.7) 77(28.0) 46(31.1) 5 어 류 27(79) 30(-30.8) 40(33.6) 16(-6.0) 총 계 468(-5.8) 582(24.3) 754(29.7) 436(3.2) 주 1: 품목은 HS code 2자리수를 기준으로 하였고 우선순위는 2008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주 2: ( )내는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2009년 8월 이후 품목별 통계 미발표.
출처: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 2009년 북한의 대중국 주요 수입품목은 광물성 연료(주로 원유) 및 기계 류, 전기기기 등이 감소
- 원유는 가장 큰 수입품목으로서 수입단가는 크게 하락하였으나 수입량 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표 2> 북한의 대중국 주요 품목별 수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품목명 2006 2007 2008 2009.1~7.
1 광물성 연료 347(21.6) 402(15.7) 586(45.8) 183(-49.8) 2 보일러와 기계류 83(7.8) 104(25.0) 145(40.1) 76(-7.4) 3 전기기기, 장비 98(72.5) 69(-29.0) 101(45.3) 52(12.8) 4 플라스틱류 39(33.7) 52(35.4) 89(46.6) 33(15.5) 5 차량 및 부속품 28(-1.3) 54(92.1) 67(25.4) 59(58.9) 총 계 1,232(13.6) 1,392(13.0) 2,033(46.0) 895(-10.6) 주 1: 품목은 HS code 2자리수를 기준으로 하였고 우선순위는 2008년을 기준으로 하였음.
주 2: ( )내는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2009년 8월 이후 품목별 통계 미발표.
출처: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나. 남북교역
▢
전년 동기대비 비교○ 2009년 남북교역은 16.8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7.8% 감소
- 남북교역은 남북관계 경색으로 반출(남→북)액은 7.5억 달러로 16.1%
감소하였고, 반입(남←북)액은 9.3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0.2% 증가
2009년 북한경제 실적 • 37
<표 3> 최근 남북교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2006 2007 2008 2009
반출(남→북) 830(16.1) 1,033(24.5) 888(-14.0) 745(-16.1) 반입(남←북) 520(52.9) 765(47.1) 932(21.8) 934(0.2)
교역수지 310 268 -44 -189
교역총액 1,350(28.0) 1,798(33.2) 1,820(1.2) 1,679(-7.8) 주: ( )내는 대남한 반출입의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출처: 통일부.
○ 2009년 거래내용별 남북교역을 보면, 상업적거래(교역+협력사업)는 16.4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1% 감소하였고, 비상업적거래(지원) 역시 0.4억 달러에 그쳐 65.9% 감소
○ 상업적거래 가운데 일반교역(2.6억 달러, 35.9% 감소), 위탁가공교역(4.1억 달러, 0.3% 증가)은 감소하였지만 개성공단사업(9.4억 달러, 16.3% 증가) 은 증가
○ 비상업적거래 가운데 인도적 지원은 0.4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45.8%
감소
<표 4> 부문별 남북교역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항 목 2006 2007 2008 2009
상 업 적 거 래
교 역
일 반 교 역 304(44.9) 461(51.7) 399(-13.4) 256(-35.9) 위탁가공교역 253(20.6) 330(30.4) 408(23.8) 410(0.3) 교역소계 557(32.7) 791(42.0) 807(2.0) 666(-17.6)
협 력 사 업
개성공단사업 299(69.0) 441(47.4) 808(83.2) 941(16.3) 금강산관광사업 57(-34.9) 115(102.5) 64(-44.4) 9(-86.3) 기타경제협력사업 16(149.1) 12(-23.2) 20(66.7) 27(35.6)
경공업협력 - 73(-) 12(-83.6) -
협력사업 소계 372(37.3) 641(72.3) 904(41.0) 976(8.0) 상업적 거래 합계 929(34.6) 1,432(54.2) 1,712(19.6) 1,642(-4.1) 비
상 업 적 거 래
지 원
민 간 지 원 408(67.8) 250(-38.6) 67(-73.2) 22(-67.5) 정 부 지 원 12(-90.4) 79(574.2) 0(-99.5) 15(3838.6) 지원소계 420(14.8) 329(-21.5) 67(-79.6) 36(-45.8) 기
타
사회문화협력
에너지지원 등 - 37(-) 41(10.8) 1(-98.6) 비상업적 거래 소계 420(14.8) 366(-12.6) 108(-70.5) 37(-65.9) 총 계 1,349(27.8) 1,798(33.2) 1,820(1.2) 1,679(-7.8) 주: ( )내는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출처: 통일부.
○ 2009년 개성공단의 생산은 256백만 달러, 수출은 29백만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2.0% 증가, 20.2% 감소
2009년 북한경제 실적 • 39
<표 5> 개성공단의 생산 및 수출 현황
(단위: 백만 달러)
2006 2007 2008 2009
생 산 74(393.3) 185(150.0) 229(38.6) 256(2.0) 수 출 20(2122.2) 40(100.0) 34(-5.3) 29(-20.2) 반출(남→북) 223(42.0) 339(52.3) 518(52.8) 523(0.8) 반입(남←북) 76(280.0) 101(33.2) 290(181.7) 418(44.1) 반출입 합계 299(69.0) 441(47.4) 808(83.2) 941(16.3) 주 1: ( )내는 전년 동기대비 증가율.
주 2: 2009년 가동 업체 수는 117개, 북측 근로자수는 42,561명.
출처: 통일부.
▢
전월대비 비교○ 2009년 월별 남북교역 추이를 보면, 2009년 3월부터 북한의 제2차 핵실 험(2009.5) 등에도 불구하고 다소 회복 추세를 보임.
- 남북교역은 2007년 10월 2.1억 달러를 기록한 이후 정권교체를 계기로 크게 줄기 시작하였고, 특히 2008년 7월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 이후 크게 감소
- 2009년 상반기 월별 개성공단사업도 2009년 3월 이후 다소 회복 추세를 보임.
- 동 기간 남북교역 가운데 개성공단사업은 9.4억 달러로 크게 증가하여
전체 남북교역의 56.0%를 차지
<그림 2> 월별 남북교역 추이(2007.1~2009.12)
(단위: 백만 달러)
출처: 통일부.
다. 대외 경제협력
○ 2009년 상반기 북한의 핵, 미사일 실험 이후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 분위기가 상당기간 지속되면서 중국을 제외한 대외경제협력 실적은 저조 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 더구나 북한은 유엔개발계획(UNDP)이 추진하고 있는 북한·중국·러 시아 3국 국경개발계획에서도 올해 초 일방적으로 탈퇴한 것으로 알 려짐(일본 NHK방송, 2009년 12월 2일).
- UNDP가 추진하고 있는 북한·중국·러시아 3국 국경개발계획은 두만 강 유역에 대규모 공단 등을 개발하는 ‘두만강유역개발계획’으로, 북한·
중국·러시아 3국과 한국·몽골을 포함한 5개국이 17년 전부터 공동 개 발계획을 추진해 왔음.
- 북한이 탈퇴한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두만강 유역 개
발로 국경지역에서 물적·인적 교류가 활발해질 경우 사상 통제와 주
민 통제에 문제가 생긴다는 내부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 아니냐는
관측과, 유엔이 북한의 지난 4월 로켓 발사와 5월의 핵실험과 관련 제
재를 가하자 이에 대한 불만의 표시라는 견해가 있음.
2009년 북한경제 실적 • 41
○ 2009년 상반기에는 중국 내에서도 북한의 핵실험을 성토하는 분위기가 강했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도 부분적으로 동참하면서 북·중무역도 크게 위축되었으나 하반기에 한반도 긴장이 완화되고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의 방북을 계기로 북·중관계도 호전되면서 경협 관련 다양한 합의들이 가시화됨.
- 新압록강 대교 건설 합의, 중국기업의 남포항 진출문제 등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러시아와도 제한적인 경제 관련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 북한의 국가과학원은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분원과 「2009~2011년 과 학협조에 관한 의정서」를 2009년 11월 25일 노보시비르스크에서 조인 (조선중앙통신, 2009년 11월 28일).
- 또한 러시아는 유엔의 대북제재가 계속되는 가운데 북한에 대한 식량을 지원(9월 25일~11월 17일 사이, 조선중앙통신, 2009년 11월 17일).
북한 통신은 러시아 연방정부가 식량을 기증한 것은 “두 나라 정부와 인 민들 사이에 존재하는 전통적인 친선관계의 표시”라고 의미를 부여했으 나 식량의 종류와 규모는 밝히지 않았음.
- 하지만, 러시아와 2009년 5월에 개최할 예정이었던 경제공동위원회가 연기되는 등 한계를 노출하기도 함.
○ 베트남 정부도 북한에 쌀을 지원한 것으로 보도됨.
- 지원 규모는 언급되지 않음(조선중앙통신, 2009년 11월 28일).
○ 스웨덴의 의류업체인 ‘노코 진스’가 북한 내 위탁가공으로 생산한 청바지
1,000벌을 12월 4일부터 스웨덴에서 판매한다고 발표(자유아시아방송
(RFA), 2009년 11월 25일).
- 노코 진스가 시판하는 북한산 청바지는 남녀용 각 2종으로 이 회사 공동대표 3명이 직접 디자인한 것으로, 노코 진스의 주문에 따라 전량 수출용으로 제작됨.
- 이 회사는 청바지 착용을 금지하는 북한에 진출하기 위해 상당한 공을 들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다 2008년 7월 스웨덴 주재 북한대사관과 협상을 벌여 어렵게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짐.
○ 그 밖에 주목되는 경제협력은 이집트의 오라스콤이 75%, 북한이 25%를 투자해 설립한 이동통신사 ‘고려링크’가 2008년 12월 15일 북한에서 휴 대전화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1년 만에 휴대폰 가입자가 급증해 2010년 초까지 12만 명의 이용자가 예상되는 것으로 알려짐(AFP통신, 2009년 12월 9일).
- 휴대폰은 중국산으로 가격은 200유로(약 34만 원). 선불(先拂)카드를 통 해 통화가 가능하며, 카드 종류는 3유로와 5유로짜리 두 종류가 있음.
- 민간인은 평양 시내에만 통화가 가능하며, 최근에는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도 시작했다고 함.
○ 또한 전력난 해소의 차원에서 풍력에너지 개발을 위해 국제사회와 교류 를 추진함(조선신보, 2009년 12월 4일).
- 북한은 풍력에너지 개발, 이용을 위한 국제협력을 위해 세계풍력에너 지협회(WWEA)와 독일교회개발봉사 그리고 중국의 풍력에너지 설비 협회 등과 협력 방안 논의
- 북한은 또 올해 4월 상하이에서 열린 제3차 국제풍력에너지전시회에 대표단을 파견, 세계풍력에너지협회 및 중국 전문가들과 소형 풍력발 전기 생산, 인력양성 등 문제를 논의
- 이 사업은 평양 국제새기술경제정보센터(PIINTEC)가 주도하고 있는데,
2009년 북한경제 실적 •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