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데이터 준비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3-71)

본 연구는 도로의 구간(segment)이 긴 경우 차량의 속도 변화에 따른 분할 및 속도 동질공간 최적화를 목적으로 하므로, 도시 지역 등 구간의 길이가 짧고 제한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단속류에 따른 교통 흐름의 변화가 있는 지역보다 구간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고 제한속도가 높아 연속류의 분·합류부, 사고, 비반복적 정체가 발생하는 고속도로를 대상으 로 한다. 또한, 차량 각각의 위치정보와 속도정보 등 데이터의 수집이 가 능하고 고속도로 상의 데이터 수집이 충분히 가능하며, 지정차로 등 주 행 차로의 영향이 적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택시 DTG 데이터의 경우 도 시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승객의 탑승, 하차, 대기의 영향에 의해 임의 주정차가 발생할 수 있고, 버스 DTG의 경우도 도시지역에 주로 분포하 며 도시 간 버스의 경우 버스전용차로 등에 따른 주행 차로의 영향에 따 라 주변 교통류와 다른 특성으로 나타날 수 있어, 화물차 DTG 자료를 활용하였다. 화물차의 경우도 주행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으며, 주행 차로 도 우측인 경우가 많으나 고속도로를 포함한 전국 도로에 고르게 분포하 여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한 데이터의 범위는 다 음과 같다.

시간적 범위 : 2018년 4월 1일∼30일(1개월), 데이터 개수(약 223억 5천만 개), 크기(약 3.13TB), 시간간격(1초 간격)

공간적 범위 : 경기지역 고속도로

차량대수 : 2775대

수집된 DTG 데이터 중 교통량이 가장 많은 시간을 적용하는 것이 속 도 동질공간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화물차 주중 첨 두시간인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또한, 화물차 교통량은 요일별 평균 통행시간 중 화요일이 평균통행시간 339.5분, 통행 거리 165.1km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요일 평균 통행시간(분) 평균 통행거리(km) 평균 통행수

338.0 167.3 3.4

339.5 165.1 3.5

335.9 161.6 3.4

334.5 163.3 3.4

325.3 157.5 3.4

241.0 114.6 2.7

231.4 125.1 2.3

<표 4-1> 영업용 화물차의 요일별 통행특성 비교(국토교통부, 2019)

<그림 4-1> 영업용 화물차의 주중 시간대별 통행 수(국토교통부, 2019)

화물차 DTG의 원시자료 필드 중 암호화되어 제공되는 트립키와 차대 번호는 오류 데이터의 발견 시 일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였으 며, 차량속도, 차량위치, GIS방위각 필드는 본 연구의 주 적용 데이터로 사용하였고, 적용 시간 필터를 위하여 ‘TIME’ 필드를 사용하였다. 원시 자료 형태 및 적용 자료는 <표 4-2>와 같다.

No 필드명 속성명 적용 비 고

1 T_KEY 트립키 암호화코드

2 CARNUM 차대번호 암호화코드

3 CAR_TYPE 자동차유형 -

4 CAR_NO 자동차 등록번호 암호화코드

5 TRANS_REG_NO 운송사업자

등록번호 -

6 DRIVER_CODE 운전자 코드 -

7 SPEED 차량속도 km/h

8 RPM 엔진회전수 회/min

9 BREAK_ON 브레이크 신호 1 or 0

10 WGS84_X 차량위치 X 경위도좌표(WGS84)의

위도좌표(X)

11 WGS84_Y 차량위치 Y 경위도좌표(WGS84)의

경도좌표(Y)

12 AZIM GIS방위각

13 ACCEL_X 가속도Vx -

14 ACCEL_YY 가속도Vy -

15 REGION_CODE 운행지역코드 41

16 TIME 정보발생일시 18042809074000

<표 4-2> DTG 원시자료 및 적용자료

화물차 DTG 데이터에는 주행 노선정보가 없기 때문에 고속도로 노선 별 데이터의 추출이 필요하였다. 이를 위해 노드링크는 지능형교통체계 관리시스템의 표준노드링크를 사용하였으며, 노드링크 데이터는 <표 4-3>과 같은 필드로 구성된다. 경기도 지역 고속도로의 노드는 951개, 링크는 2,133개로, 전국 대비 노드링크 수는 <표 4-4>와 같다.

No 필드명 속성명 비 고

1 LINK_ID 링크번호 2440063100

4 LANES 차로 수 5

7 ROAD_NO 도로번호 1

8 ROAD_NAME 도로명 경부고속도로

11 CONNECT 연결로 000 / 101

12 MAX_SPD 제한속도 110

13 LENGTH 링크길이 344.77237550

<표 4-3> 경부고속도로(경기지역) 노드링크 데이터

구분 고속도로 도시고속도로

노드 링크 노드 링크

전국 4,501 9,835 1,341 2,285

경기도 951 2,133 195 385

<표 4-4> 고속도로/도시고속도로 노드링크 데이터 개수 비교

2. 데이터 전처리

화물차 DTG 데이터에서 대상 구간과 시간 범위 내 데이터 추출 방법 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쳤다.

[1단계] ITS 표준 노드링크 중 경부, 서해안, 서울양양, 광주원주, 영 동, 중부, 제2중부, 평택시흥, 평택제천 고속도로의 링크(코드 000)를 적 용하고, 진출입 링크(코드 101)는 제외한다.

[2단계] 링크의 차로 수별 버퍼를 주고, DTG 데이터의 좌표로 맵핑하 여 범위 내 데이터를 추출하며, 대상 시간 범위 내 데이터를 추출한다.

[3단계] 추출한 데이터 중 대상 날짜 데이터만 재추출 한다.

<그림 4-2> 링크 및 DTG 데이터 처리과정(경부고속도로)

<그림 4-3> DTG 데이터 3단계 처리 예

<그림 4-2>는 링크 데이터의 처리와 DTG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단 계별로 경부고속도로의 예로 보여주며, <그림 4-3>은 1개월 동안의 5분 DTG 데이터에서 1일 5분 데이터만 추출한 사례를 보여준다. 추출한 데 이터는 고속도로 차로 당 3.5m의 버퍼를 두었으며 졸음쉼터, 휴게소 등 주정차를 고려하여 속도 데이터가 0kph인 경우와 제한속도를 20% 초과 하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DTG 데이터 중 위치정보는 GPS 경위도 좌표로, 평면 직각 좌표로 변 환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 경위도 좌표계는 WGS84이며 이를 중부원 점(N38, E127), TM 좌표계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좌표변환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4-1)

        

 

  

  ta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4-2)

여기서

  tan

 

  



   

cos여기서 와 

값임

 위도 에서의 묘유선의 곡률 반경       

sin

 자오선장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sin  





 

제이심률   

 

′

제이심률    

 

 

위도

 

경도 

투영원점 위도 

투영원점 경도

 

타원체 장반경  편평률  타원체 단반경   

원점축척계수

Y  Y축East

원점 가산값

X  X축North

원점 가산값

DTG 원시데이터는 ASCII8)로 구성되어 있고 트립키부터 정보 발생 일시까지 구분자 ‘|’로 데이터를 구분하고 있으며, <그림 4-4>는 DTG 원시데이터 예이다. 위의 좌표변환 과정을 통해 기존 위·경도좌표를 평 면직각좌표로 변환한 예를 <그림 4-5>에 보여준다.

<그림 4-4> DTG 원시데이터 예 <그림 4-5> 좌표변환 예

8)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6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