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데이터 집계 시간의 민감도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30-136)

이상의 분석은 5분간의 데이터를 분석한 것이며, 데이터 집계 시간의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경부고속도로 동탄분기점 약 2.4km 하행 구간의 09시 30분부터 데이터를 15분, 10분, 5분, 3분 간격으로 집 계하였다.

<표 4-28>은 15분과 5분 데이터를 비교한 것으로, 9시 30분부터 45분 까지 15분간 데이터를 동시 집계한 것과 35분, 40분, 45분의 5분 간격으 로 집계한 것이다. 초기 5분에는 상류부 속도 저하가 나타났으며 점차 하류부로 속도 감소가 전파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때 15분 데이터는 상류부 속도 저하와 동탄분기점에서 합류되는 지점의 속도 저하를 볼 수 있다. 따라서 5분 데이터는 속도의 변화 구간을 설명할 수 있으며 15분 데이터는 9시 30분부터 15분간의 전반적 속도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표 4-29>는 15분과 3분 데이터를 비교한 것으로, 9시 30분부터 45분 까지 15분간 데이터를 동시 집계한 것과 33분, 36분, 39분, 42분, 45분의 3분 간격으로 집계한 것이다. 33분까지의 3분 데이터 집계는 상류부 속 도 감소가 나타났으며 36분까지는 하류부까지 속도 감소가 전파되며, 39 분까지는 상류부의 속도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이며, 42분, 45분까지는 상

류부 속도가 완전히 회복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상류부의 분류부 영 향에 의한 속도 저하가 교통량 감소로 회복되며, 하류부의 합류부 영향 에 의한 속도 저하도 점차 회복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집계

주기 15분 5분

동질 공간 속도

공간

개수 29 8 15 29

시간 9:30∼9:45 9:30∼9:35 9:35∼9:40 9:40∼9:45

<표 4-28> 데이터 집계 시간별 분석 결과(15, 5분)

집계

주기 15분 3분

동질 공간 속도

공간

개수 29 10 6 11 27 27

시간 9:30∼9:45 9:30∼

9:33

9:33∼

9:36

9:36∼

9:39

9:39∼

9:42

9:42∼

9:45

<표 4-29> 데이터 집계 시간별 분석 결과(15, 3분)

<표 4-30>은 10분과 5분 데이터를 비교한 것으로, 9시 30분부터 40분 까지 10분간 데이터를 동시 집계한 것과 35분, 40분의 5분 간격으로 집 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5분 집계 데이터는 시간 경과에 따라 하류부로 이어지는 속도 저하를 보여주며 10분 데이터는 같은 시간의 5분 데이터

<표 4-31>은 10분과 5분 데이터를 비교한 것으로, 9시 50분부터 10시 까지 10분간 데이터를 동시 집계한 것과 50분, 55분의 5분 간격으로 집 계한 것이다. 동탄분기점 합류부의 짧은 구간에 속도 감소가 나타나지만 전반적으로 원활한 속도 분포를 보여주며, 10분과 5분 집계 결과의 차이 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집계

주기 10분 5분

동질 공간 속도

공간

개수 17 8 15

시간 9:30∼9:40 9:30∼9:35 9:35∼9:40

<표 4-30> 데이터 집계 시간별 분석 결과1(10, 5분)

집계

주기 10분 5분

동질 공간 속도

공간

개수 29 27 29

시간 9:50∼10:00 9:50∼9:55 9:55∼10:00

<표 4-31> 데이터 집계 시간별 분석 결과2(10, 5분)

이상의 민감도 분석에서 집계 시간이 작아짐에 따라 속도 분포의 해석 을 짧은 시간 주기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속도 동질공간의 분포와 관계가 있는데, <표 4-30>의 5분 집계 결과에서 속도 동질공간 의 개수가 8개 15개로 크게 변할 경우 집계 간격을 짧게 하고, <표

4-31>의 5분 집계 결과에서 속도 동질공간의 개수가 27, 29개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는 집계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4-66>은 속도 동질공간 변화와 데이터 집계 시간의 관계로, 초 기 5분 데이터 집계 결과가 지속될 경우 10분, 15분으로 집계시간을 길 게 하며, 공간이 변화하면서 속도 변화가 나타날 경우 10분, 5분으로 집 계시간을 짧게 하고, 다시 공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경우 집계시간을 길 게 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림 4-66> 속도 동질공간 변화에 따른 데이터 집계 시간

대상 구간에서 속도 동질공간이 일정하게 지속될 경우, 즉 속도가 원 활하거나 긴 정체가 이어지는 경우와 같이 시계열 상 속도의 변화가 둔 감할 경우에는 데이터를 10분 이상 집계하여 적용하며, 속도 동질공간이 변할 경우, 즉 정체가 시작되거나 완화되는 경우와 같이 시계열 상의 속 도가 민감할 경우에는 5분 이하로 집계하여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130-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