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적 리더십을 측정하여 객관적 수치로 나타낸다는 것은 매우 어려 운 일이다. Brown et al.(2005)이 그들의 논문 ‘Ethical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for construct development and test’에서 윤 리적 리더십의 구성요인을 비교적 체계화하여 제시한 이래로 발전적 논 의들이 진행되어 왔고 보편적 지지를 받고 있지만 모든 조직에 적합한 개념으로 볼 수는 없다. 이는 문화나 상황에 따라 윤리적 리더십의 주요 구성요인들 각각의 중요성은 상이하게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Eisenbeiss & Giessner, 2012).
국내연구 대다수는 윤리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해 Brown et al.(2005)의 설문항목(ELS)을 사용한 설문조사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개인의 인지와 가치의 영향을 크게 받는 설문조사 방법이 아닌 새로운 측정지표를 논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윤리적 리더십의 구성요인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한데 김호정(2013)은 공공조직에서 적용 될 윤리적 리더십의 내용을 고찰하고 있다. 윤리적 리더십에서 강조된
‘인간 지향’과 ‘정의 지향’의 차원 외에도 고결, 신중, 용기, 절제, 진정성, 양심, 집단적 동기부여, 권한부여, 격려, 투명성, 책임성, 사회적 책임성 등의 가치가 구성요소로 제시되고 있다고 한다. 앞서 살펴본 여러 학자 들이 제시한 윤리적 리더십의 구성요소들 각각은 지향하는 가치나 성격 적 특질, 관리상 특성 등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 정의들에서 자주 논의된 가치들을 Brown et al.(2005)가 제시한 네 가지 구성요인에 맞춰 선정해보고자 한다.
우선 개인 행위와 대인관계를 통해 규범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것(the demonstration of normatively appropriate conduct through personal actions)은 도덕적 개인으로서 리더의 행동을 의미한다. 즉 규 범적으로 옳고 가치 있는 행동을 함으로써 도덕적 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며 그러한 모습이 개인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는 것을 의미한 다. 도덕적 개인은 정직하고 신뢰를 형성하며 타인의 신용을 받을 만한 사람이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단어를 선정하고자 한다.
★정직, 신뢰, 신용, 적절, 정당, 모범, 도덕, 윤리, 청렴
강화(reinforcement)는 리더, 기관장 개인의 도덕적 가치와 윤리성을 조직 구성원들에게 전파하기 위한 효과적 관리기법의 일환이다. 조직 내 부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영향력을 발휘하여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기관장 본인이 의도하고 대외적으로 선언한 대로 운영상에 있어 윤리적 방식이 적용된다고 구성원들이 인식해야만 한다. 이는 정해진 내부의 룰 (rule)이 예외없이 적용되는 등의 ‘관리적 노력’에서 발견되는 일관성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해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윤 리적 리더십을 의미하는 것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공정, 반부패, 규범, 신상필벌, 준수, 위반, 보상, 처벌, 규율, 규정, 지침, 청탁
상호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은 기관장과 부하들 간에 조직의 ‘윤리적’ 운 영 방향과 관련하여 소통이 가능하고, 토론과 대화를 통해 가치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며, 의사결정시 조직의 울타리를 넘어서 사회와 공동체 전반에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윤리적 관점을 채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폐쇄적인 상하 명령에서 벗어나 조직의 구성원으로서 부하들
을 존중하고 납득할 만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참여를 보장한다. 이렇 게 설정된 윤리적 기준은 참여를 통해 결정됐다는 점에서 정당성과 자율 적 실효성을 확보하게끔 하는 개인적·관리적 특성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단어를 선정하였다.
★책임, 책무, 개방적 대화, 논의, 존중, 배려, 참여, 투명, 소통
<표 3> 윤리적 리더십 측정 지표
윤리적 리더십의 측정 매개 단어 규범적으로 적절한
행동 강화 상호 의사소통과
의사결정 정직, 신뢰, 신용,
적절, 정당, 모범, 도덕, 윤리, 청렴
공정, 반부패, 규범, 신상필벌, 준수, 위반,
보상, 처벌, 규율, 규정, 지침, 청탁
책임, 책무, 개방적 대화, 논의, 존중, 배려, 참여, 투명, 소통
일견 유사한 의미를 지닌 것 같은 단어들을 중복 선정한 것은 특정 단 어가 반복 사용될수록 의도는 더욱 명확해진다고 봤기 때문이다. 형식적 으로 공공조직의 장으로서 언급하는 것과 윤리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자 할 때의 어휘 선택은 분명히 차이가 있을 거란 전제 하에 단어의 유 사 중복을 감안하였다.
Microsoft Excel 2016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 대상인 각 신년사마 다 선정된 단어들이 쓰인 빈도를 측정하였다. 해당 단어들은 그 자체로 윤리적 리더십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단어의 빈도수를 그대로 윤리적 리더십의 측정점수로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