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독립변인은 사회적 자본이다. 사회 적 자본은 사회구조화 과정에서 활용되는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지방적 가치체계, 신념체계, 활동방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즉 사회적 자본의 측정은 사회구조화의 단 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리 접근해야 한다. 직장 단위에서 의 사회적 자본인지 지역사회 단위에서의 사회적 자본인지에 따라 표 현인자가 달리 개발되어야 하는 것이다(소진광, 2004). 따라서 본 연 구의 대상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경계 짓고 있는 사회적 영역, 그들이 맺고 있는 사회적 네트워크를 고려한 사회적 자본의 표현인자 를 통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라는 사회적 자본 구성요소를 포함 하면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사회 맥락을 고려하 여 가정, 학교, 지역사회로 분석단위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가정 사 회적 자본을 측정하고자 한 Coleman(1988), Edwards와 Warin(1999)의 연구에서 문항을 추출함에 있어 안우환(2006)의 연구 를 참고하였다. Coleman(1988)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관심의 수준과 질, 자녀의 학습활동에 대한 부모의 지원 빈도, 부모와 자녀와의 대화 빈도, 학생의 전학 건수, 학교 모임 참석,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기대교 육 수준 등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Edwards와 Warin(1999)는 부모 와 학생간의 응집성, 부모와 자녀와의 관계, 자녀의 학습활동에 대한 부모의 지원, 부모의 교육활동 참여도 등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또 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진행한 홍영란 외(2007)의 사회적 자본 지표 개발 및 측정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참고하였다. 홍영란 외(2007)는 미국의 Saguaro 세미나 보고서와 그에 기초한 SCCBS(Social Capital Community Benchmark Survey: 사회적 자
본 지역사회 벤치마크 조사), 영국의 국가통계청에서 실시하는 사회적 자본 측정 연구 및 사업, OECD와 World Bank에서 실시하는 사회적 자본 관련 연구물에서 지표를 선정한 뒤,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를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였다. 이들의 설문지를 재구성하여 사용한 문항의 구성은 <표 Ⅲ-2>와 같다.
<표 Ⅲ-2> 사회적 자본 설문 구성 분류 하위
영역 내용 요소 문항
번호
Chron bach’s α
사회적 자본
가정
• 부모와의 대화 및 상호이해
• 친구들에 대한 신뢰도
• 가정 내 규칙준수
• 부모의 학습 및 생활통제
• 학생의 전학 건수
• 자녀 교육에 대한 정보 수집
• 부모의 자녀 학교 활동 참여
1, 2, 9, 10,
17*, 18, 19
.719
학교
• 친구들과의 친밀도
• 학교 선생님에 대한 신뢰
• 학교 규칙 준수에 대한 인식
• 학급 내의 질서
• 학생 역할에 대한 기대
• 친구 수에 대한 인식
• 친구와의 연락 정도
• 학교 행사 참여 정도
3, 4, 5, 6, 11, 12, 13, 14, 20, 21, 22, 23
.891
지역 사회
• 일반적인 사람들에 대한 신뢰
• 사람들의 정직성에 대한 인식
• 공동체의 기본규칙 준수 여부
• 공동체 규범에 대한 인식
• 지역사회 활동 참여 정도
7*, 8, 15, 16,
24
.637
*는 역채점 문항
가정 사회적 자본은 총 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그 구성요 소에 따라 가정 내 신뢰 수준을 측정하는 2문항(예: 우리 부모님은 나 를 잘 이해해주신다, 우리 부모님은 사소한 질문도 잘 듣고 대답해 주신다), 규범 수준을 측정하는 2문항(예: 우리 가족은 각자 해야 할 집안일이 정해져있다, 우리 부모님은 나의 평소 생활을 확인하고 학 교, 학원 등 하루의 일정을 챙겨주신다), 네트워크 수준을 측정하는 3 문항(예: 우리 집은 초등학교 입학 후 전학을 한 적이 있다, 우리 부 모님은 나를 위한 학습‧진로 정보를 알아보신다, 우리 부모님은 교통 지도 등 학교 봉사활동에 참여하신다)를 제시하였다.
학교 사회적 자본은 총 12개 문항이다. 학교 내 신뢰 수준을 측정 하는 4문항은 또래 학생 간의 신뢰 수준과(예: 나는 내 친구들을 믿는 다, 나는 내 친구들에게 나의 속마음을 이야기할 수 있다), 교사-학생 간의 신뢰 수준(예: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본받을 만한 점이 많으시 다, 내 고민을 털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선생님이 계시다)의 두 종 류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 내 규범 수준을 측정하는 4문항 (예: 나와 친구들은 우리 학교의 규칙을 잘 지킨다, 우리 반에서는 힘 센 친구가 약한 친구를 괴롭히지 않는다,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학생 들이 해야 할 일에 최선을 다하기를 기대하신다, 우리 학교 선생님들 은 학생들이 잘못된 행동을 할 때마다 바로잡아 주신다), 네트워크 수 준을 측정하는 4문항(예: 나는 친구가 많은 편이다, 나는 방과후에도 친구들에게 쉽게 연락할 수 있다,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나의 이름을 다정하게 불러주신다, 나는 학교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를 제시 하였다.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총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 수준을 측정하는 2문항(예: 나는 사람을 대할 때 조심할수 록 좋다고 생각한다, 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정직하다고 생각한다), 규범 수준을 측정하는 2문항(예: 나의 주변 사람들은 교통질서를 잘
지킨다, 우리나라는 국민의 생활을 위한 법이 잘 만들어져있다), 네트 워크 수준을 측정하는 1문항(나는 학교 밖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여한다)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적 자본 측정 설문지는 사회과교육전문가 와 초등학교 교사 3인의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또한 각 문항은 Likert 5점 척도에 따라 응답하도록 하였다. 사회적 자본 의 분석 단위에 따라 각 하위영역의 점수를 합산한 후, 평균화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크론바흐 알파(Chronbach’s α) 값을 추출하였다. 이는 측정도구의 문항들이 측정하고자 하는 내 용을 얼마나 일관성 있게 측정하였는지 추정하는 신뢰도 계수이다.
전체 사회적 자본의 알파 계수는 .912이며, 하위 영역별 알파 계수는 각각 가정 사회적 자본 .719, 학교 사회적 자본 .891, 지역사회 사회 적 자본 .637로 나타났다. 사회과학에서 알파계수가 .6이상일 때 일반 적으로 척도의 신뢰성이 있다고 인정되므로 본 연구는 신뢰도를 확보 한 측정도구를 사용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