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본이 정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사회의 미래 구성원으로 서 정치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 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적 자본의 맥락에 따라 정치 태도의 구 성요소에 각각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주가설 3개와 각각의 주가설 밑에 하위가설 3개 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본은 정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주가설 1]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본은 정치신뢰감에 영향을 미친다.

∙하위가설 1-1. 초등학생의 가정 사회적 자본은 정치신뢰감에 영향 을 미친다.

∙하위가설 1-2. 초등학생의 학교 사회적 자본은 정치신뢰감에 영향 을 미친다.

∙하위가설 1-3. 초등학생의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정치신뢰감에 영향을 미친다.

[주가설 2]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본은 정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하위가설 2-1. 초등학생의 가정 사회적 자본은 정치효능감에 영향 을 미친다.

∙하위가설 2-2. 초등학생의 학교 사회적 자본은 정치효능감에 영향 을 미친다.

∙하위가설 2-3. 초등학생의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정치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주가설 3] 초등학생의 사회적 자본은 정치참여 의무감에 영향을 미친다.

∙하위가설 3-1. 초등학생의 가정 사회적 자본은 정치참여 의무감에 영향을 미친다.

∙하위가설 3-2. 초등학생의 학교 사회적 자본은 정치참여 의무감에 영향을 미친다.

∙하위가설 3-3. 초등학생의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정치참여 의무 감에 영향을 미친다.

위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 교육청 산하 6개 교육지 원청 소속 10개 학교의 6학년 14학급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배포한 설문 중 284부를 회수하였으며, 수합된 설문지 중 불성 실하거나 누락된 응답이 있는 설문지 20부를 제외하고 총 264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초 등학생의 가정, 학교,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과 성별, 사회과 성적, 아 버지의 학력, 주관적 가정 경제 수준, 시사문제 관심 정도를 독립변인 으로, 정치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 다. 초등학생의 가정, 학교,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각각 모두 정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회 적 자본의 분석단위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표 Ⅴ-1>과 같다.

회귀분석의 결과로 첫째, 초등학생들의 사회적 자본은 모든 정치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협력의 공동체성과 신뢰가 높아짐과 동시에 자발적인 참여가 강화되 어 정치 태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표 Ⅴ-1> 정치 태도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종합 종속변인

독립변인

정치신뢰감 정치효능감 정치참여 의무감

회귀

계수(B) P 회귀

계수(B) P 회귀

계수(B) P 사회적 자본 5.386 0.000*** 3.959 0.000*** 2.378 0.000***

사회적 자본

가정 0.474 0.237 0.291 0.441 0.313 0.300 학교 0.600 0.192 1.230 0.005** 1.108 0.002**

지역 4.332 0.000*** 2.425 0.000*** 0.938 0.006**

*p<.05, **p<.01, ***p<.001

둘째, 정치 태도의 하위 영역에 따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맥락이 상이했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태도를 촉진 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을 시사한다. 정 치신뢰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을,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 의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 사회적 자본과 지역사회 사 회적 자본을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가정 사회적 자본은 본 연구에서 설정한 정치 태도인 정치신 뢰감, 정치효능감, 정치참여 의무감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가정은 개인이 태어나서부터 성인이 될 때까지 중요한 정치사회화 기 관으로서 개인의 정치적 정향을 형성하는데 많은 영향을 끼친다고 알 려진 연구 결과와 다르다(Lanton, 1969; Tedin, 1974). 이는 자녀가 정치적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가 부모 외에도 대중매체, 인터넷, SNS 등으로 다양해진 것과 가정 내 의사소통의 방식이 시대의 흐름에 따 라 달라짐으로써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자녀들은 부모로부터 전수 받거나 부모를 모방함으로써 획득했던 정치적 견해나 태도를 다양한

과정을 통해 형성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의 부모들은 과거 의 부모들보다 자녀들의 자유로운 선택을 더 존중하고 기존에 자신이 믿었던 견해나 가치와 자녀의 그것이 다르더라도 수용하고자 노력한 다. 따라서 가정 내에서 정치적 정향이 일방적으로 전수될 가능성은 이전보다 낮아졌을 것이다. 또한 가정 사회적 자본은 결속형 네트워 크를 형성함으로써 가정 내 형성된 사회적 자본의 신뢰나 규범이 정 치 영역으로 전환되는 데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넷째, 학교 사회적 자본은 정치효능감과 정치참여 의무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학교는 형식적인 교육과정과 교사와 학생,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정치 태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치사회화 기관 임이 다시 한 번 확인되었다. 교육을 더 받은 개인들은 타인에 대한 신뢰를 더 보내고, 그들의 지역사회에서 시민참여의 경향이 더 강하 며, 자발적 모임에 더 참가하며, 정치와 정치활동에 더 관심을 보인다 (Green, Preston & Sabates, 2003).

다섯째,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은 모든 정치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를 정치사회화의 핵심적 영 역으로 볼 수 있다. 하트(Hart, 1997)는 지역참여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기술이나 책임감에 대한 경험 없이 16세, 18세 또는 21세가 되면서 갑자기 책임감을 가지고 사회문제에 참여하 는 성인으로 변화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고 지적한다. 학 생들은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킴으로써 자신과 지역사회의 의존관계를 확인하고, 자신의 새로운 역할에 대해 고민해봄으로써 정 치시민으로서의 삶에 대한 주체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 로 지역사회에서 공공성이 확보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제 도적 장치의 확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