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존 케이지 (Jogn Cage)
4.1.1 동양 사상의 영향
프리페어드 피아노
1938년에서 만들어진 “프리페어드 피아노(prepared piano)”는 존 케 이지가 타악기적 리듬에 대한 연구중 하나였다. 그는 평범한 그랜드 피 아노의 줄 사이에서 못, 고무, 볼트, 너트, 나사못, 가죽 조각, 나무 등 물건을 끼웠다. 그리하여 피아노를 연주할 때 다양한 악기로 합주하는 것처럼 무궁무진한 소리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의 전통 음악 합주 형태 인 “가믈란”의 소리와 비슷하다. 존 케이지는 프리페어드 피아노를 위해 서 여러 작품을 창조했으며 그 중에서는 유명한 <소나타와 간주곡 (Sonatas and Interludes, 1946 - 1948)>의 세트가 있었다. 이 곡은 케 이지의 동양 철학에 대한 애착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41 이 작품을 통 해서 연주에 대한 고정된 생각을 깨고 타악기의 새로운 가능성을 다시 찾아낸 것이다.
<그림17> 프리페어드 피아노
41 크리스틴 포니, 조지프 매클리스, 「음악의 즐거움(하)」,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5, p. 645
<4’33’’>
중국 《역경(易經)》42에서 동전이나, 표지, 막대 등을 던져 우연의 수 를 얻고 점을 치는 방식은 존 케이지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음악 작품을 만들 때조차《역경》을 응용했다. “64라는 숫자는《역경》
의 기본 수(數)인데 나는 64보다 크거나 적은 수가 이와 관련되었다는 것을 알아 냈다. 그래서 많은 가능성이 대답으로 나올 수 있는 어떤 문 제도《역경》은 해답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역경》의 영향하에 서 존 케이지가 수많은 우연성(偶然性)에 대한 작품을 창조했다. 그중에 서 가장 유명한 작품은 1952년에 나온 <4’33’’(4분33초)>다.
<그림18> 《역경》 64괘
42 《역경》은 유학(儒學)의 “오경(五經)”중 하나로, 중국 고전적 문화의 철학과 우주관을 기술한 책이라고일컬어지고 있다
<4’33’’>에서 3악장이 있는데 모든 악장에 음표가 쓰여 있지 않는다.
그래서 연주자가 무대에서 처음에 건반 뚜껑을 열 때부터 마치고 나서 뚜껑을 닫을 때까지 피아노를 안 친다는 방식으로 연주를 진행한다.
매번 연주할 때 연주자, 청중, 장소가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가 모두 다르고 유일무이하다. 따라서 해프닝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그의 연주는 대부분 현장에서 녹음하는 것으로 보존된다. 존 케이지는 자기의 애호가 작품에 영향을 안 끼쳤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기 때문이 다. 음악을 창작할 때는 작곡가의 느낌과 생각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하며 우리를 에워싸고 주변에 있는 소리마저 흥미롭다고 주장한다. 여 기서 존 케이지가 도가(道家)의 철학에서 “天下萬物生於有,有生於無;
有即是空,空即是有。 (천하의 모든 사물이 있음에서 생겨나고 있음은 없음에서 생겨난다, 있는 것이 없는 것이며 없는 것이 있는 것)”라는 개념에 영향을 받았다.
<그림19> <4’33’’> 제1악장 악보
<4’33’’>은 무성 연주지만 청자들이 이 무성의 환경에서 오히려 다 양한 생각과 상상을 창조할 수 있다는 콘셉트는 바로 “있음은 없음에 서 샹겨난다”에서 온 것이다. 또한 <4’33’’> 연주에 대해서 “침묵”이 라기 보다는 “우발적인 소리들”로 꽉 차 있었다고 생각한다.43 침묵은 의도적으로 소리를 안 만드는 것이고 소리와 침묵의 구분 방식은 의도 적인지 아닌지에 달려 있다. <4’33’’>에서 완전한 침묵이 아닌 미세하 고 의도적이지 않은 소리를 곳곳에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 국 불교의 “禪(선)” 사상은 이 작품에서도 들어 있다. 본질적으로 선 (禪)은 자신의 본성(本性)을 탐색하는 예술이고 속박에서 자유를 향하 는 도로를 가리킨다. 존 케이지는 자곡가가 음악을 지배하는 욕심을 버리고 “소리의 본질”을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4’33’’>에서 대중 들이 “음악을 듣는 감상자” 입장에서 “음악을 만드는 참여자”로 바뀌 었다.
43리처드 코스텔라네츠, 「케이지와의 대화」,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p.40, p112
출처 사상 세부 내용 대표 작품
인도 전통
영원한 감정
- 영웅적 - 에로틱하다 - 경이롭다 - 유쾌하다 - 슬픔 - 두려움 - 분노 - 끔찍하다
- 평온함에 대한 경향
- 16Dances (1950-1951)
계절에 대한 관점
- 겨울: 정지 - 여름: 보유 - 가을: 파괴 - 봄: 창조
- The Seasons (1947)
선(禪) 방해를 받지않 다, 상호 침투
- 완벽한 균형은 개체(個體) 과 일반성에 대한 통적이 고 동시적인 반영 사이에 존재한다.
- 만물 사이에 상호관계가 존재해서 명확한 경계선 이 없고 또한 이중적이지 않는다.
- Juilliard Lecture
(1952): 침묵이 소리들을 둘러싸기 때문에 소리들 이 서로 공간에서 방해 없이 존재할 수 있다.
- 아무것도 생각하지 않고 비어 있는 정신 상태, 소 리에 집중하지만 음악에 대한 생각을 듣지 않는 것이다.
- Concerto for Prepared Piano (1950)
- <4’33’> (1952)
역경(易經) 우연성
- 우주의 진화, 사회의 변 천, 생명의 유전 등 모두 불확정한 변화에 있다.
- 64괘의 사용
- <4’33’’> (1952) - Music of Changes
(1951)
- <Fontana Mix>
(1958)
<표14> 존 케이지의 동양 철학 개념이 포함된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