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디드니스를 가진 조직구성원들은 그 집단에 강한 소속감을 갖게 되고, 그러한 구성원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의 성공을 위하여 성과를 높이는 행동을 할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 임베디드니스 와 성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구체적인 경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4: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성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 4-1: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역할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 4-2: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조직 구성원과 소통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조직과 구성원의 중개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조직 구성원은 리더를 통해 조직을 하나의 인격 체로 보고 상사의 우호적이거나 비우호적인 태도를 조직지원의 암시로 여긴다(Eisenberger et al., 1986).

지원은 조직관련 연구에서 개인의 인지적인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 수로써 개인적 차원의 지원 중에서도 리더의 지원(Supervisory Support) 은 조직구성원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서 직접적인 영향관계에 있는 직속 상관으로부터 받는 지원이나 격려, 관심, 배려 등에 대해서 지각하는 정 도라고 할 수 있다(Babin & Boles, 1996). 이러한 리더의 지원 행동에 대한 구성원의 인식 정도와, 조직구성원의 역할 내 행동과의 관계는 사 회교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리더와 구성원 모두는 본인이 상대 에게 잘해준 노력에 대한 보상이 반드시 상대방으로부터 제공될 것이라 는 믿음을 가진다(Blau, 1964). 즉, 리더의 지원에 대하여 구성원은 리더 에게 긍정적 호혜, 즉 긍정적 보상을 해야 한다는 심리적 의무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의무감은 과업에 대한 리더의 기대를 충족시켜 성과를 높 이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Rhoades & Eisengerger, 2002). 따라서, 리 더지원인식의 수준에 따라 심리적 주인의식이 종업원의 행동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리더지원인식이 높은 구성원은 리더를 조직의 대리인으로 느끼며 리더의 지원행동을 바탕으로 용기와 자신감을 얻고 업무를 수행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호혜성에 따라 자신을 지원해주는 상사에게 보답하기 위해 성과를 창출하는 행동을 할 가능성이 있고, 조세형․윤동열(2013)의 연구에서 팀 리더의 조직 구성원 에 대한 감정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태도를 통해 조직에 정착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직무요구-자원 모형(job demands-resources model)을 통해 직무 임베 디드니스가 높은 직원들은 조직에 많은 연계와 이직시 손실 등을 고려하 여 조직에 잔류하며 높은 애착을 형성하고, 그것이 곧 자원으로 작용하

여 조직 유효성을 증가시키는 긍정적인 태도를 유발할 수 있음을 설명하 였다. 이 관계에 있어 리더의 지원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직무 자원으로 인식될 수 있다. 적절한 직무자원은 동기화 과정(motivational process)으 로 우수한 업무성과를 창출할 수 있고, 업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본 질적인 동기유발 역할을 한다(Bakker & Demerouti, 2007). 이처럼 리더 지원 인식이 성과행동을 창출하는 경로 즉,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성과행 동간의 관계와, 심리적 주인의식과 성과행동 간 관계를 더욱 강화할 것 이라고 가정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5-1: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리더지원은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역 할 내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직무 임베디드니스 와 역할 내 행동과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리더 지원 인식하에서 더욱 긍 정적일 것이다.

가설 5-2: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리더지원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할 내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 할 내 행동과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리더 지원 인식하에서 더욱 긍정적 일 것이다.

가설 5-3: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리더지원은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역할 외 행동과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리더 지원 인식하에서 더욱 긍정 적일 것이다.

가설 5-4: 조직구성원이 인지하는 리더지원은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할 외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 할 외 행동과의 관계는 높은 수준의 리더 지원 인식하에서 더욱 긍정적 일 것이다.

또한, 가설5에 근거하여 인지된 리더지원의 이중조절 효과에 대한 가

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6-1: 가설 5-1과 가설5-2에 근거하여, 인지된 리더지원은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역할 내 행동의 관계,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할 내 행동 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가설 6-1: 가설 5-3과 가설5-4에 근거하여, 인지된 리더지원은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역할 외 행동의 관계,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할 외 행동 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다.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본 연구는 직무 임베디드니스를 독립변수로 하고 성과행동을 종속변 수, 심리적 주인의식을 매개변수로, 리더지원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모든 변수들은 Likert 5점 척도(매우 그렇지 않다, 대체로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대체로 그렇다, 매우 그렇다)를 사용하여 설문을 통해 측정하 였다. 각 변수의 설문문항은 제시된 출처로부터 원문을 가지고 지도교수 님 및 연구실 박사과정생과 함께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번역하고, 한글 로 재번역하여 검증하는 작업을 거쳐 확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