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식 연구 초반부터 논의되어 왔다. 심리적 주인의식의 개념이 1970년대 미국의 종업원 지주제에서부터 출발하였는데, 종업원 지주제와 성과 간 의 관계에서 일관된 결과를 얻지 못하였기 때문에 성과에 대한 종업원 지주제의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상황변수들을 밝히는 연구가 있었다(Hammer & Sern, 1980). 스탁 옵션 등 주식소유 가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심리적인 소유감을 불러일으켜야만 성과로 이어진다는 것으로, Pierce et al.(1991)은 심리적 주인의식이 매개 역할 을 할 때만 종업원 지주제가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

직무 임베디드니스와 성과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 역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직무 임베디드 니스가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제시하였으나(Lee et al., 2004; Sekiguchi et al., 2008; Burtom et al., 2010),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심리적 주인의식을 통하여 성과행동에 미치는 매개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는 없는 실정이며, 그 관계 사이에서 매개 변수나 조절 변수의 탐색에 관한 연구 역시 찾아보기 어렵다.

구성원에 대한 동기부여는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며, 직무수행에 대한 에너지의 원천이 된다. 또 한, 상사와의 관계나 전문지식 등 상황요인을 통해 심리적 주인의식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조직 목표 달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으 며(Oldham & Cummings, 1996), 구성원이 자발적으로 직무목표를 설정 하고 그것을 평가하면 직무자체로부터 많은 의미를 부여받기 때문에 심 리적 주인의식으로 동기가 유발되어 직무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Manz & Sims, 1987). 이와 같이 조직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구 성원들의 행동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직무수행에 대한 욕 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필요하다.

Schneider(1987)의 ASA(Attraction-Selection-Attrition) 모델에 의하면 개인은 자신의 목표, 성격, 가치, 흥미 등에 부합되는 조직에 매력을 느

끼게 되고, 그러한 조직에 선발되어 일할 확률이 더 크고, 더 오랜기간 조직에 머물고,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고도로 직 무와 조직에 배태된(embedded)개인들은 조직의 가치와 개인의 가치의 부합 정도가 높기 때문에 조직과의 관계를 오래 지속할 것이며 그들 간 의 동질성이 더욱 강화될 것이다. 이것은 곧 조직이 개인의 일부분이 되 기에 심리적 주인의식의 근원 중에 하나인 안식처에 대한 동기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장소에 대한 동기는 곧 그 대상에 대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도록 동기부여 될 수 있다.

Blau(1964)는 조직 구성원과 조직과의 교환관계를 사회적 교환(social exchange)과 경제적 교환(economic exchange)으로 구분하였는데, 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도움행동, 즉 역할 외 행동은 조직과의 관계가 경 제적 교환보다는 사회적 교환으로 인식될 때 가능할 것이다. 자신의 가 치를 높이는 조직의 성공은 자신의 자아가치의 향상과 긍정적인 자아존 중감의 형성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상이 없더라도 조직 에 복종하며, 조직의 성공과 발전을 위한 자발적인 노력과 협력행동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인다(Tyler, 1999).

사람들은 자신에게 긍정적 가치를 주는 조직에 소속되기를 원하므로 그러한 집단에게 강한 소속감을 가지게 되고, 그 집단의 소속감이 커지 면 집단의 규범, 가치를 다루는 과정에서 보람과 행복을 느끼는 감정적 반응이 나타난다. 긍정적 감정은 조직에 호의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 으므로 사회정체성이 강한 사람일수록 ‘나’보다는 ‘우리’의 관점에서 자신 과 세상을 바라보게 되고, 집단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다(Van Knippenberg & Ellemers, 2003). 사회정체성이 높은 조직 구 성원은 조직의 성공을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소속된 집단이나 조직 이 자신에게 가치 있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들 은 역할 기대를 더 잘 따르고(Ashforth & Mael, 1989), 집단에 대해 지 원적 태도를 보여주며, 집단이나 조직의 목표와 일관된 의사결정을 하는

디드니스를 가진 조직구성원들은 그 집단에 강한 소속감을 갖게 되고, 그러한 구성원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의 성공을 위하여 성과를 높이는 행동을 할 것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심리적 주인의식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 임베디드니스 와 성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서 구체적인 경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 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4: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성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 4-1: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역할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

가설 4-2: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 임베디드니스가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