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몽골 물류인프라 현황 및 물동량

3. 한국 ․ 몽골 물류현황 및 복합운송 경로

3.1.2 몽골 물류인프라 현황 및 물동량

몽골은 내륙국가로서 풍부한 지하자원을 지니고 있으며, 아시아와 유럽을 잇 는 중국과 러시아에 인접하고 있어 유라시아 국제물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고 있다. 주요 지하자원으로서는 석탄 및 철광석 등으로 중국 등 인접국가로 수출하고 있으며, 주요 운송수단은 철도를 통하여 중국 또는 러시아를 운송하 고 해당국가의 항만을 이용하여 목적지까지 운송하고 있으나, 많은 운송시간과 높은 물류비용에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한편, 지정학적으로 몽골은 성장하는 아시아권역내의 물류 경로에서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아시아하이웨이(Asian Highway) 노선들과 연결시켜 몽골물 류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경우, 몽골의 국가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제물 류비용 절감에 기여가 예상된다. 이에, 최근 몽골 정부에서는 풍부한 지하자원 을 철도 및 항만을 통해 세계시장으로 수출하기 위한 전략 및 계획을 세웠으며 (Ministry of Road, Transport, 2014), 특히 공로, 철도 및 항만을 발전시키기 위 한 10년 장기계획을 발표하였다.

베를린과 서울에 정기적으로 항공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MIAT 항공사는 또한 오사카, 싱가포르 및 기타 도시에 전세기를 운항하고 있다.

또한 철도분야는 중국과 근접한 국경 도시인 Zamiin-Ude에 수리부을 위치시 켰으며, 이로서 몽골을 유럽과 아시아의 중간에서 도로망을 연결하여 대양에 접근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절에서는 몽골의 공로 운송, 수로운송, 항공운송, 철도운송에 대한 인프라 및 개발 현황과 물동량을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3.1.2.1 공로운송 인프라 현황 및 물동량

몽골의 교통 인프라는 철도와 도로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제가 급속 히 발전하고 있는 현재 철도 운송의 한계로 도로의 역할이 더욱 증대되고 있

다. 2013년 기준으로 몽골의 도로 총 연장은 49,000㎞에 이르지만 비포장도로는

40,324km(82%)이며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8,875㎞(16%)에 불과했다(몽골도로건

설부, 2014). 포장도로는 시내를 제외한 외곽의 도로들은 편도 1차선이 대부분

이며 비포장도로는 지반 그대로를 도로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포장도로는 수도 Ulaanbaatar 인근지역에 국한되어 건설되어 있기 때문에 Ulaanbaatar를 제외한 지방도로의 대부분은 비포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몽골과 같은 내륙 국가에서 도로망의 낙후는 화물의 이동 시 높은 비용을 발생시킨다.

몽골 정부에서 도로망 확충을 위해 도로확충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지역 지방 도시를 연결하고, 주변국가인 중국과 러시아를 잇는 동-서, 남- 북 종단 도로 건설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16년까지 수출입 및 화물 이동이 제 일 많은 중국 몽골 국경지역인 Zamiin-Ude에서 수도 Ulaanbaatar를 거쳐서 러 시와 국경지역인 Altanbulag까지 처음으로 국제 고속도로가 완공을 앞두고 있 다.

Fig. 4 몽골 고속도로 건설 계획

몽골 정부에서는 국가 발전의 종합정책(Millennium Development Goals Based Complex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에서 2016년까지 8,000㎞, 2021

년까지 11,000㎞의 포장도로 공사계획을 단계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또한, 몽골

은 아시아하이웨이 총 87개 구간 중 3개의 구간과(AH3, AH4, AH32) 겹쳐서 건설할 계획이다(몽골도로건설부, 2014).

Fig. 5 아시아하이웨이 건설 계획

도로들이 계획대로 완공될 경우 몽골의 도로사정이 훨씬 더 개선되어 물류운 송기간의 단축뿐만 아니라 비용이 감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전반적인 물류 조 건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공로운송은 2014년 상반에 1,970만톤에 이르며, 2013년도에 비하여 120.1%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도로 내 총 화물 운송거리는 3,815백만 ton·km 로서 2013년도에 비하여 9.5%로 성장했고, 총 수입액은 137,6백만 [USD]로서 2013년도에 비해 88% 증가하였다(몽골도로건설부, 2014).

Fig. 6 몽골 포장 및 비포장도로 현황

몽골의 총 도로는 49,250km이며 21개의 Aimag(시 같은 의미), 160개의 Sum (구 같은 의미)을 연결하고 있다. 90%는 비포장도로이며 10%는 포장도로로서, 몽골정부에서 앞으로 모든 길을 포장도로 만들 계획을 가지고 있다.

3.1.2.2 수로운송 인프라 현황 및 물동량

육로를 통해 운송할 수 있는 물동량보다는 바다를 통해 대형 선박으로 운송 하는 것이 운송비가 절감되고 동시에 많은 양의 화물 운송이 가능하여 경제적 이익이 높으나, 몽골은 내륙국가로서 바다가 없어 해상운송은 몽골의 총 운송 수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작다. 몽골 서북지역에 위치하는 Khuvsgul lake 포함하여 Selenge(270km)강 및 Orhon(175km)강을 연결하는 총 580km의 수로 운송망이 구축되어 있다. 또한, Selenge강 및 Orkhon강은 주로 5월부터 9 월까지 여객운송으로만 이용되고 있을 뿐, 나머지 기간에는 동결 때문에 화물

운송에 이용되고 있지 못하다. 또한, Khuvsgul 호수는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물의 깊은 호수로 UNESCO에 등록되어 있어 환경보호 문제 때문에 2000년 이 후부터 화물 및 관광 목적으로 소량의 화물운송이 행해지고 있다.

몽골의 대륙성으로 인해 대외 무역에서 주요한 수출처가 중국과 러시아가 대 부분이다. 따라서 몽골은 항구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해상운송이 불가능해 러시아와 중국의 항구를 이용해 한국과 일본, 동남아시아 국가로 수 출을 확대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해운분야 역량과 경험이 거의 없다는 어려움 에 부딪히고 있다. 몽골 국경에서 가장 가까운 항만은 중국의 Tianjin(싱강

-XIngang 이라기도 함) 항만이며 800㎞ 떨어져 있다. 몽골 정부에서 중국의

Tianjin항과, 러시아의 Vladivostok항을 임대하여 해외 운송량을 증가시킬 계획

이 있으며, 이에 대해 러시아와 중국정부간과 장기임대계약에 대해 검토 중에 있다(몽골도로건설부, 2014).

Fig. 7 몽골 수로운송

국제적으로 편의치적(Flag of Convenience)4)라고 부르는 조세 방식은 전 세

4) 편의치적 제도는 1609년 네덜란드에서 동인도회사를 설립하여 포르투갈과 다투게 된 사건을 계기로 당 시 네덜란드를 옹호하던 그로티우스의 나포법규론 , 해양자유론 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인다. 해운 자유의 원칙은 자연법을 기본으로 항해 및 통상은 누구에게나 자유라는 주장으로 영국을 중심으로 점차 적으로 인정되어져 갔다. 박명섭, 김은주 국제운송의 이해”, 2010, p.158

계인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바다에 항해 하는 선박의 세금을 부과하는 제 도이다. 이를 위해 주민등록처럼 등록지가 필요한데,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선적등록업무이다. 편의치적으로 국가수입의 대부분을 채우는 국가로 파나마, 라이베리아 등이 있다. 몽골 정부에서도 해운에 눈을 뜨고 싱가포르에 몽골 교 통부 “해양청“, “선박등록국”을 개설하였다.

2015년 기준으로 1,600여척 이상의 선박이 편의치적 제도를 통해 몽골 국적 을 가진 상태이고, 33여개 국가로부터 545여척 선박이 몽골국기를 달도록 등록 되어 있다. 현재 몽골의 선박등록의 주요 고객으로는 싱가포르 179척 (싱가포르 선박이 몽골 국적을 취득), 말레이시아 94척, 홍콩 37척, 인도네시아 28척, UK 20척, 필리핀 16척 이외 많은 국가들의 선박이 등록되어 있다. 몽골은 실제 해 운회사를 운영하지 않아도 선박등록 업무만으로도 충분한 수입이 발생하고 지 속적인 세금을 과세할 수 있다(선박등록 싱가포르 개설)(몽골도로건설부, 2014).

3.1.2.3 항공운송 인프라 현황 및 물동량

몽골 정부에서 항공운송 부문의 기반시설 확충 및 항공운송부문 경쟁력 강화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몽골은 22 개의 국내 항공노선과 Beijing, Berlin, Irkutsk, Moscow, Seoul, Hong Kong, Tokyo, Paris, Shanghai, Manchurian를 연결하는 10개의 국제 항공노선을 가지 고 있다. 최근에 몽골은 항공운송 부문의 개혁을 강화하고 관련 인프라 발전 및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1986년도에 러시아의 도움으로 현재 몽골의

“Chinggis Khan” 국제공항을 건설했으며 그 당시에 수도 Ulaanbaatar의 인구

가 40만 명이었으나 현재 Ulaanbaatar 인구가 1백 70만 명이 넘었다. 인구가 늘어나면서 현재 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승객 및 화물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 나, 현재 공항 상태로는 인구 및 항공수요 증가를 수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Fig. 8 몽골항공 노선(국내 및 국제선)

2008년도부터 신 국제공항을 건설할 계획을 세웠지만 투자 및 제정 문제로 계속 미루어졌다. 신 공항 건설에 498백만불(약 5억 달러) 정도의 건설비용이 필요하여 몽골과 일본 정부 간의 협의로 일본에서 자금을 투자하기로 하여 2013년 4월부터 첫 공사가 시작했다. 신 공항은 Ulaanbaatar에서 60㎞ 떨어져 있는 “Khushigtiin Khundii”라는 곳에 위치하며 2016년에 완공 될 예정이다. 신 공항이 완공됨으로 철도 및 도로 등 인프라 문제를 완벽히 갖춰 항공운송 서비스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신 공항이 완공되면 연평균 3백만 명의 승 객이 이용가능하며 날씨와 상관없이 24시간 비행이 가능한 국제표준에 맞는 공 항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국제 및 국내 화물 운송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Fig. 9 몽골 신공항 예상도

몽골의 항공화물 운송량은 2014년 상반기에 총 1,633톤이었으나, 이는 2013년 에 비하여 15% 감소한 수치이다. 그러나 총 화물 운송거리로 봤을 때 398.3만

ton·km 로서 전년도에 비하여 2.6%로 증가한 수치이다(몽골도로건설부, 2014).

이는 상대적으로 장거리 국제항공 화물량의 증가하였음을 시사한다.

지방 공항의 경우 비포장 활주로가 많으며 정부에서 지방 공항에 포장활주 로, 조명 및 착륙 시스템 설치, 항공운송 분야에 대한 민간부문의 참여 확대, 국제선 여객기 취항 지역 및 편수 증진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3.1.2.4 철도운송 인프라 현황 및 물동량

몽골의 철도 노선의 총 길이는 1,810km으로 1,520mm의 넓은 궤간으로 구성 되어 있고 몽골철도공사(MTZ)는 러시아와 51:49 비율로 설립된 합작투자기관 이다. 몽골철도는 북쪽으로 러시아횡단철도(Trans-Siberian Railway)의 Ulan- Ude역과 연결이 되고 남쪽으로는 중국횡단철도(Trans Chinese Railway)의

Erlian역과 연결되어 있다. 러시아횡단철도는 몽골과 동일한 넓은 궤간을 사용

하고 있어 국가간의 철도운송에 추가 작업이 소요되지 않지만, 중국횡단철도는